• 제목/요약/키워드: Multi line

검색결과 1,691건 처리시간 0.03초

40MHz ~ 280MHz의 동작 주파수와 32개의 위상을 가지는 CMOS 0.11-${\mu}m$ 지연 고정 루프 (A 40 MHz to 280 MHz 32-phase CMOS 0.11-${\mu}m$ Delay-Locked Loop)

  • 이광훈;장영찬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95-98
    • /
    • 2012
  • 본 논문은 40 MHz에서 280 MHz 동작 주파수에서 32-phase clock을 출력하는 multiphase delay-locked loop (DLL)을 제안한다. 제안된 multiphase DLL은 고해상도의 1-bit delay를 위하여 matrix구조의 delay line을 사용한다. Delay line의 선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matrix 입력단의 비선형성을 보정할 수 있는 기법이 사용된다. 설계된 multiphase DLL은 1.2 V supply를 이용하는 0.11-${\mu}m$ CMOS 공정에서 제작되었다. 125 MHz 동작 주파수에서 multiphase DLL의 DNL은 +0.51/-0.12 LSB 이하로 측정되었으며, input clock의 jitter가 peak-to-peak jitter가 12.9ps일 때 출력clock의 peak-to-peak jitter는 30 ps이다. 면적과 전력 소모는 각각 $480{\times}550{\mu}m^2$과 1.2 V 공급전압에서 9.6 mW이다.

  • PDF

다목적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우수유출 저류지 최적화 방안 (Optimization of Detention Facilities by Using Multi-Objective Genetic Algorithms)

  • 정재학;한건연;김극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1권12호
    • /
    • pp.1211-1218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다목적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우수유출 저류지를 소유역에 분담하여 설치 계획하는데있다. 이를 위해 우수유출 저류지의 위치 및 규모를 최적화하기 위한 모형을 개발하였다. 이 모형은 크게 2가지로 나뉘어 지는데, 유역유출모형과 최적해를 구하기 위하여 도입한 다목적 유전자 알고리즘(MOGAs)이다. 이러한 최적화 모형을 모의하기 위하여 목적함수는 첨두유출량과 저류지 저류용량의 함수로 설정하고, 제한조건은 기본적으로 구조적 제한과 저류용량 및 운영목적에 따라 설정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만들어진 최적화 모형은 안양시 관양유역에 실제 적용해 보았으며, 그 결과 주어진 제약조건내에서 상류지역에 저류지가 설치되는 경우가 최적값으로 나타난 것을 통해 적절하게 잘 모의된 것으로 보인다. 그밖에 On-line 및 Off-line 저류지가 동시에 건설되는 경우에도 함께 최적화 모의가 가능한지도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제시한 방법론은 향후 도시유역내의 홍수피해 저감계획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 modified JFNK with line search method for solving k-eigenvalue neutronics problems with thermal-hydraulics feedback

  • Lixun Liu;Han Zhang;Yingjie Wu;Baokun Liu;Jiong Guo;Fu Li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5권1호
    • /
    • pp.310-323
    • /
    • 2023
  • The k-eigenvalue neutronics/thermal-hydraulics coupling calculation is a key issue for reactor design and analysis. Jacobian-free Newton-Krylov (JFNK) method, featured with super-linear convergence rate and high efficiency, has been attracting more and more attention to solve the multi-physics coupling problem. However, it may converge to the high-order eigenmode because of the multiple solutions nature of the k-eigenvalue form of multi-physics coupling issue. Based on our previous work, a modified JFNK with a line search method is proposed in this work, which can find the fundamental eigenmode together with thermal-hydraulics feedback in a wide range of initial values. In detail, the existing modified JFNK method is combined with the line search strategy, so that the intermediate iterative solution can avoid a sudden divergence and be adjusted into a convergence basin smoothly. Two simplified 2-D homogeneous reactor models, a PWR model, and an HTR model, are utilize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newly proposed JFNK method. The results show that the performance of this proposed JFNK is more robust than the existing JFNK-based methods.

재구성 특성을 갖는 다중대역 이동통신 단말기용 안테나의 설계 및 제작 (Design of a multi-band antenna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reconfiguration characteristic)

  • 임대수;김기래;윤중한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772-779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스위칭 선로를 이용한 다중대역 이동통신 단말기용 재구성 안테나를 설계 및 제작하였다. 제안된 안테나는 평면형 스트립선로와 접지면에 단락되는 스터브, 그리고 2개의 스위칭 선로를 구성함으로써 제안된 대역 LTE band 13, GSM, K-PCS, WCDMA대역을 각각 만족하도록 설계하였다. 얻어진 최적화된 수치를 사용하여 제안된 안테나를 제작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와 측정결과가 어느 정도 일치하고 있는 데이터를 얻었으며 -6dB 임피던스 대역폭을 기준으로 sw1과 sw2의 상태가 ON일 경우 LTE band 13대역을 또한 sw1의 상태가 off, sw2의 상태가 on일 경우 GSM, K-PCS대역을 만족한다. 마지막으로 sw1과 sw2가 off 될 경우 WCDMA대역을 만족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제안된 대역 LTE band 13, GSM, K-PCS대역에서 이득과 방사패턴의 특성을 얻었다.

수신 안테나 이격거리에 대한 2 X 2 MIMO 전파 채널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2 X 2 MIMO Propagation Channel Characteristics for Receiving Antenna Spacings)

  • 박세현;윤병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747-752
    • /
    • 2009
  • 본 논문은 LOS(Line of Sight) 및 NLOS(Non Line of Sight)등 실제 MIMO(Multi Input Multi Output) 환경에 서의 수신 안테나의 간격에 따른 전파 채널 특성에 관하여 기술 하였다. $2\times2$ MIMO 채널 측정 시스템을 구축하여 2.3GHz Wibro 대역에서 측정을 하였다. 수신안테나의 간격에 따른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반파장 표준 다이폴 안테나의 간격을 0.25, 0.5, 0.75 1.0 파장 간격 이격시켜 MIMO 안테나 수신 성능을 측정 하였으며, 측정 위치는 LOS 2곳 NLOS 4곳에 대하여 행하였다. 측정 곁과 직접파를 수신 하는 LOS 환경에서는 공간 상관계수가 NLOS 환경에 비해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MIMO 시스템에서는 0.9 이상의 높은 공간 상관계수는 성능의 열화를 가져 올 수 있으므로 이를 극복하기 위한 안테나 및 시스템의 설계가 이루어져야 한다.

링 구조 NUMA 시스템에서 적응형 다중 그레인 원격 캐쉬 설계 (Application Behavior-oriented Adaptive Remote Access Cache in Ring based NUMA System)

  • 곽종욱;장성태;전주식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30권9호
    • /
    • pp.461-476
    • /
    • 2003
  • 메모리 병목현상의 완화와 구현상의 용이함으로 인해 NUMA 시스템이 지난 수년 동안 전형적인 다중 프로세서 시스템으로 자리를 잡아 왔다. 하지만 NUMA 시스템은 그 구조의 특성상 원격 메모리로의 접근 비율이 커질수록 응답 속도의 지연이 심화되므로, NUMA 시스템의 구현에 있어서 원격 캐쉬의 효율적인 설계를 요구한다. 본 논문에서는 보다 효율적인 원격 캐쉬의 설계를 목표로 하여, 원격 캐쉬 상에서 실제 응용 프로그램의 공유 단위(Granularity of Sharing)의 패턴을 분석하여 원격 캐쉬의 라인 사이즈를 실행 시간에 가상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다중 그레인 원격 캐쉬”방식을 제안한다. 그리고 이를 MINT를 통해 모델링한 후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분석한다. 시뮬레이션에서는 먼저 Profile-Based 방식을 이용하여 각 응용 프로그램별 최적의 원격 캐쉬 라인 사이즈를 찾아내고, 이를 이용하여 기존의 일반적인 NUMA 시스템에서의 원격 캐쉬와 본 논문에서 제안한 다중 그레인 원격 캐쉬와의 상호 비교를 통해 성능상의 차이점을 비교, 분석한다. 그 후 다중 그레인 원격 캐쉬가 시스템과 응용 프로그램간의 다양한 관계 속에서도 항상 최악의 경우를 피하면서 최적의 경우와 유사한 결과를 가짐을 보인다.

자기조정 뉴로-퍼지제어기를 이용한 다지역 전력시스템의 부하주파수 제어 (Load Frequency Control of Multi-area Power System using Auto-tuning Neuro-Fuzzy Controller)

  • 정형환;김상효;주석민;허동렬;이권순
    • 대한전기학회논문지:전력기술부문A
    • /
    • 제49권3호
    • /
    • pp.95-106
    • /
    • 2000
  • The load frequency control of power system is one of important subjects in view of system operation and control. That is even though the rapid load disturbances were applied to the given power system, the stable and reliable power should be supplied to the users, converging unconditionally and rapidly the frequency deviations and the tie-line power flow one on each area into allowable boundary limits. Nonetheless of such needs, if the internal parameter perturbation and the sudden load variation were given, the unstable phenomenal of power system can be often brought out because of the large frequency deviation and the unsuppressible power line one.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design the robust neuro-fuzzy controller which can stabilize effectively the given power system as soon as possible. In this paper the robust neuro-fuzzy controller was proposed and applied to control of load frequency over multi-area power system. The architecture and algorithm of a designed NFC(Neuro-Fuzzy Controller) were consist of fuzzy controller and neural network for auto tuning of fuzzy controller. The adaptively learned antecedent and consequent parameters of membership functions in fuzzy controller were acquired from the steepest gradient method for error-back propagation algorithm. The performances of the resultant NFC, that is, the steady-state deviations of frequency and tie-line power flow and the related dynamics,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in detail by being applied to the load frequency control of multi-area power system, when the perturbations of predetermined internal parameters. Through the simulation results tried variously in this paper for disturbances of internal parameters and external stepwise load stepwise load changes, the superiorities of the proposed NFC in robustness and adaptive rapidity to the conventional controllers were prov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