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lberry Leaves

검색결과 339건 처리시간 0.042초

누에인공사료의 사료효율증진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Efficiency of the Artificial Diet for the Silkworm, Bombyx mori L.)

  • 김주읍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38-47
    • /
    • 1986
  • 누에 인공동류에 망초, 결명차, 방둠산이 및 동부의 엽분말을 혼입하여 조제한 동료로 누에를 동육한 결과와 그 누에의 체액 중장 견사선등의 전기영동상 및 공식식물의 성분분석내용을 다음과 같이 요약한다. 1. 기본누에인공동료에 망초, 결명차, 방둠산이, 동부의 엽분말을 건물동으로 2-5%정도 혼입한 구에서 섭식과 소화가 조장되었으며 누에의 각종 실용형질도 양호한 경향이었으며 특히 동부와 방둠산이는 첨가효과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2. 4종의 공식식물엽분말을 2-4종씩 여러 조합으로 혼입한 동료로 누에를 동육한 결과 누에의 섭식과 소화에 대한 각식물성분간의 상승효과는 인정되지 아니하였다. 3. 누에의 채액, 중상 및 견사선의 Esterase Protease Phosphatase의 전기영동상은 처리간에 다소 차이가 인정되었다. 일반적으로 섭식과 소화가 양호한 구에서는 1-2개의 영동대가 더 검출되는 경향이 있었다. 4. 공식식물성분은 상엽에 비해서 전분조지방조단백질무기염류등의 함유율이 현저히 높았으며 섭식에 직접 관여하는 휘발성성분은 찾아내지 못하였다.

  • PDF

연화병의 병원체를 경구 또는 피하접종했을 때에 출현하는 왜소잠에 관한 조사연구 (Studies on the Appearance of the Dwarfishness Silkworm caused by Peroral and Hypodermic Inoculation of the Flacherie Virus, Bombyx mori)

  • 윤종관;사기언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63-68
    • /
    • 1975
  • Flacherie of all other silkworm diseases greatly affects cocoon crop as it is far-reaching and wide spreading. Fleacherie which kills silkworms caused by bacteria can be classified as bacterial digestive organ disease, and "Sotto" disease. Bacterial digestive organ disease is caused by the bacteria living in the silkworms alementary canal and a majority of flacherie belongs to this disease. Septicemia is caused by bacterias breeding in silkworms body fluid but its attach is comparatively limited during the larva period. "Sotto" disease is caused by eating mulberry leaves infected with bacteria which produce toxin and silkworms are intoxicated and killed by the toxin. The cause of flacherie is mainly due to a poor environment. The unclean and unsanitary silkworm rearing beds help bacterias breeding and bacteria enter silkworms body through mouth organ or skin. The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various causes of flacherie by means of pulverization of silkworm. Filtrated fluid is extracted by centrifuge and hypodermic of peroral inoculation-is given to young and medium silkworms of spring and autumn. The gained results of the experiment are summarized as follows: 1. Silkworms infected with flacherie were pulverized and their filtrated fluid was extracted by centrifuge and inspected under microscope to find polyhedron from the fluid. 2. The experimenting group of peroral inoculation. a) From the third day of peroral inoculation silkworms appetite generally decreased and ate les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b) After 7 days of the inoculation silkworms suffered from empty head, loose bowels and fainting. c) Some of the silkworms still ate but as were shown in Fig. 3 and 4 some dwarfish silkworms were found. d) There was no remarkable difference between 1st and 2nd instar inoculation groups. e) There was a tendency that the number of diseased silkworms was decerased as the increase of instars. 2. The experimental group of hypodermic inoculation a) Both of 3rd and 4th instar inoculation groups showed no remarkable singularity and the number of diseased silkworms decreased. b) The rate of diseased silkworms was comparatively low because the body fluid was acidy or toxin was hard soluble. Hypodermic inoculation could not give much harm to the silkworms compared to peroral inoculation.

  • PDF

"Candidatus phytoplasma asteris" Group에 속하는 아까시나무 빗자루병 검출 (Detection of "Candidatus Phytoplasma Asteris" Associated with Black Locust Witches' Broom in Korea)

  • 한상섭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6권6호
    • /
    • pp.737-741
    • /
    • 2007
  • 전형적인 파이토플라스마성 빗자루증상을 보이는 아까시나무가 전북지방에서 발견되었으며, 일반적으로 작은 잎들이 총생하였고, 마디와 마디 사이가 좁고, 가지가 위축되어 있는 증상을 보였다. 파이토플라스마 검출 primer인 P1/P7(약 1.8 kb)과 R16F2n/R2(약 1.2 kb)를 이용하여 증폭한 결과 빗지루증상을 보인 아까시나무에서 파이토플라스마 검출되었으며, 건전한 아카시에서는 PCR산물이 증폭되지 않았다. 염기서열 분석에 의한 유의성 검정결과 아까시나무 빗자루병 파이토플라스마는 aster yellow, 뽕나무오갈병, maize bushy stunt, 물푸레나무 빗자루병, 붉나무 빗자루병 파이토플라스마와 99.2% 이상의 유의성을 보였으며, 아까시나무 빗자루병 (GeneBank Accession No. AF 244363) 및 대추나무 빗자루병 파이토플라스마와는 각 각 88.6% 및 87.7%의 유의성을 보여 본 연구에서 분석한 아까시나무 빗자루병 파이토플라스마는 Candidatus phytoplasma asteris(16Sr I) group에 속하였으며, 16Sr III(peach X-disease phytoplasma group) group에 속하는 아카시나무 빗자루병 파이토플라스마와는 다른 계통으로 분류되었다.

PCBs의 식물에 대한 침착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PCBs Deposition on Plants)

  • 김태욱;여현구;최민규;천만영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99-107
    • /
    • 2001
  • 경기도 안성시에 소재한 한경대학교에서 1999년 7월부터 1999년 11월까지 식물과 대기중에서 PCBs의 농도 분포 및 침착특성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대기중 총 PCB 중 tri-CBs(PCB 28)과 tetra-CBs(PCB 52)가 차지하는 분율은 49%로 염소화가 덜 된 성분이 대기중에 존재하는 PCB congeners의 주요 성분임을 확인하였다. 2. 두 식물간의 PCB congeners별 상관계수(r)는 0.83 (P<0.01)으로 물리/화학적 특성이 다른 식물일지라도 주변 환경중에 잔류하는 PCB congeners별 오염도를 간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passive sampler 역할을 하였다. 3. 두 식물종과 대기에서 PCB 110/PCB 52의 평균비는 각각 2.4(뽕), 부추(2.0) 및 0.5(대기)로 식물에서 PCB 110/PCB 52의 평균비가 대기 보다 높았는데 이는 PCB 110이 PCB 52에 비해 친지질성을 비롯한 생물학적 특성이 반영된 것으로 판단 되었다.

  • PDF

염화제2철이 유도하는 경동맥 손상 렛트 모델에서 상엽 추출물의 혈행개선 효과 (Effect of Mori Folium Extract on Improvement of Blood Flow in Ferric Chloride-Induced Carotid Artery Damage Rat Model)

  • 강현주;전인화;권태오;최지원;김성주;장선일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607-613
    • /
    • 2014
  • In a previous study, we have shown that mulberry leaves (Mori Folium) extract MFE) and its compounds have the antioxidant effect in human red blood cells. However, the possible effect of MFE and its compounds on improvement of blood flow were not reported.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FE and its compounds on improvement of blood flow in a rat model of topical ferric chloride ($FeCl_3$)-induced carotid artery damage. The $FeCl_3$ treatment seriously damaged the carotid artery: the walls of the artery, blood flow rate, blood vessel diameter, blood vessel area and blood flow amount. However, administration of MFE or its compound has ameliorated the blood flow and suppressed thrombus in blood vessels. Moreover, the concentrations of serum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s, and LDL cholesterol in the MET and its compound groups were remarkably reduced in comparison to the control group, and HDL cholesterol concentration was higher in the MET and its compound groups than in the control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MFE and its compounds ameliorate the thrombosis against blood vessel damage.

육잠기술이 잠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ilkworm Rearing Technique on the Cocoon Crops of Sericultural Farmers in Korea)

  • 김문협;김윤식;박광의;이상풍;강석권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25-35
    • /
    • 1972
  • 육잠기술이 수견량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를 알고져 1971년 춘잠기 및 추잠기에 경기도 화성군 정남면 보통리와 용수리 소재 양잠농가중 14호를 선정하여 70년도 상자당 수견량이 평균이상 농가를 상위 농가로 평균이하 농가를 하위농가로 구분하고 71년도에는 이들 농가에게 각농가의 상전상엽을 공유제로 하고 사육조건을 통일시킨 조건하에서의 사육 결과로서 육잠기술이 상자당 수견량에 미친 영향력을 추정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육잠기술이 상자당 수견량에 미치는 영향력은 이들 14개 상하위 양잠농가를 기준 한다면 춘잠기 15% 추잠기 33%이다. 2) 사료조건이 상자당수견량에 미치는 영향력은 이들 14개 양잠농가를 기준한다면 춘잠기 56% 추잠기 69%이며 이에는 기상조건의 상승효과가 포함되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3) 하위농가의 육잠기술중 가장 중요하게 미치는 저위생산요인은 소독의 불이행인것 같다.

  • PDF

적색계 천연염료를 이용한 견직물 무매염 염색의 염색성 (Color Characteristics of Silk Fabrics Dyed with Natural Red Dyes Without a Mordant)

  • 김효진;이주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2호
    • /
    • pp.593-602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적색계 천연염료를 이용한 견직물의 무매염 염색을 다룬 국내논문들을 고찰하여 무매염 염색의 염색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인 천연염재는 자색 고구마, 봉선화, 오디, 광나무 열매, 구아바 잎, 단삼, 히비스커스 꽃, 복숭아나무 전정가지로 총 8가지이다. 염색실험의 결과는 색차식에 의하여 $L^*$, $a^*$, $b^*$, C 및 ${\Delta}E^*$와 Munsell표에 의한 H V/C, Kubelka Munk식에 따라 K/S값을 산출하여 표면색을 측정하여 살펴보았다. 염색실험 변인은 염액농도, 염색온도, 염색시간, 염색반복횟수이며, 변인의 변화에 따라 염색성과 색채특성을 알아보았다. 문헌고찰 결과, 염색실험 변인은 견직물에 대한 천연염료의 염착성과 상관관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적색 발현에도 상관관계가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천연염색 과정에서 환경오염을 일으키는 반복적인 염색이나 매염제 사용 등을 하지 않아도 적색이 다양하게 발현되고 염색성도 우수할 수 있음을 보였다.

Growth effects of novel heating system using heater-installed rearing tray on silkworm, Bombyx mori

  • Jeong, Chan Young;Kim, Kee Young;Kim, Nam-Suk;Kang, Sang Kuk;Park, Jong Woo;Cha, Ik Seob;Kim, Seong-Wan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45권1호
    • /
    • pp.22-28
    • /
    • 2022
  • Silkworms are very sensitive to changes in temperature and humidity, and unless it is a suitable temperature and humidity to grow, the productivity and quality of silkworms are greatly reduced.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manage temperature and humidity for silkworm feeding facilities. In particular, it is essential to install heating facilities in Asian countries with distinct seasonal changes. During the feeding period, many farms manage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feeding facilities by installing and using electric heaters inside the facilities. However, it is very difficult to manage the room temperature stably by the heaters. In addition, unlike the temperature inside the facility, silkworms could undergo severe temperature changes as the inside of the rearing tray could not be warm enough. In this study, in order to improve the previous heating method, the new rearing method that directly heats the bottom of the rearing tray was developed. Compared to the previous room-heating system, the novel heater-installed tray (HIT) system significantly reduced the change in temperature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In addition, the number of days of silkworm growth up to harvest was shortened, which was effective in growth performance, and it was also found that silkworms grew more uniformly in HIT system than in previous system. Moreover, as the heater tubes were installed directly under the rearing tray, it quickly dried mulberry leaves and silkworm feces after feeding, and as a result, the environment in the tray was greatly improved with decrease the labor of breeder.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heater-installed rearing tray method greatly improves silkworm quality, increases weight of silkworms, and final profits compared to the previous room heating system with electric heaters.

유당, 카세인, 및 요소의 경구투여용 누에병치료약 부형제로서의 응용가능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Applicability of Lactose, Casein, and Urea for the Silkworm Rearing Industry as the Useful Vehicles in a Series of Attempts to find Some Therapeutic Agents that can be administered orally for treating Silkworm Diseases)

  • 이장락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33-139
    • /
    • 1975
  • 경구투여용 누에 병치료약을 개발하고 이를 임상적으로 적용하려면 필연적으로 이러한 치료약물에 대한 부형제를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본인은 이러한 효용의 부형제로서 유당, 카페인 및 요소를 추정하고서 이들 세가지 약제의 경구투여용 누에병치료약의 부형제로서의 응용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한 기초적 실험을 1974년 춘잠기, 1975년 춘잠기 및 1975년 추잠기의 세차례에 걸쳐 서울대학교 농과대학 잠실에서 실시했다. 1974년 춘잠기에는 4령기 5령기에 걸쳐, 1975년 춘잠기와 추잠기에는 각기 5령기 동안에 유당 카세인 및 요소를 투여량과 투여회수를 달리하면서 누에유충에 투여하여 이들 세가지 약제의 누에유충발육에 미치는 영향과 고치만들기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했다. 유당은 실험관찰 한 모든 조건에 있어서 누에유충발육과 고치만들기에 사실상 아무런 영향도 미치지 않았다. 카세인은 이틀 걸러 한번씩 투여하는 경우는 대체로 무난했으나 모든 투여조건에 있어서 비정상고치의 발생이 비교적 많았다. 그리고 요소는 대체로 모든 투여조건에 있어서 누에유충의 발육을 억제했다. 유당, 카세인 및 요소의 누에유충발육과 고치만들기에 미치는 영향은 누에의 암수별과는 아무런 관계도 없는 것으로 보였다. 이들 세가지 약제의 실험적 누에병 치료에 있어서의 부형제적 효과와 견사품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서는 앞으로 계속해서 검토해 보는 것이 바람직해 보인다.

  • PDF

푸라졸리돈의 누에병치료약으로서의 응용가능성에 관한 연구 (제1보) (Studies on the Applicability of Furazolidone to the Silkworm Rearing Industry as a Useful Remedy for Certain Silkworm Diseases (Report I))

  • 이장락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5-25
    • /
    • 1973
  • 본인은 1972년 춘잠기와 추잠기에 걸쳐서 서울대학교농과대학 잠실에서 FZD의 누에병치료약으로서의 응용가능성을 검토한바 있다. 첫째로 FZD의 누에에의 경구적투약이 가능함을 알아낸 본인은 FZD의 4가지 누에병병원체 (Bacillus thuringiensis, Aspergillus flavus, Aspergillus oryzae, Isaria farinosa)에 대한 시험관내 항균력 측정, B.thuringiensis 로써 일으킨 실험적연화병에 대한 FZD의 발병억제효과 내지는 치료효과 관찰 등 일련의 실험을 거쳐, FZD은 실험적세균성연화병에 대해서 발병 억제효과와 치료효과를 겸해서 발휘한다는 기본적 사실을 밝혔다. 즉, 푸라졸리돈은 시험관내항균력측정에 있어서 세균성 연화병의 병원체인 Bacillus thuringiensis에 대해서는 시험관법으로써는 1$\mu\textrm{g}$/mι의 농도로써 그리고 한천평판법으로써는 $\mu\textrm{g}$/mι의 농도로써 완전한 발육억제효과를 발휘했으며, 한편 B. thuringiensis가 접종된 5령기 누에에 대해서는 잠정적인 용량인 누에 10마리당 150mg. 비율의 용량(누에체액 1ml당 약 2.2mg. 비율의 용량)에 있어서 1일 1회색 2일(2회)투여할 때 거의 완전한발병억제효과와 상당히 좋은 치료효과를 발휘했다. FZD의 임상적 응용에 따르는 용량, 투약시기, 제제형태 등의 여러가지 문제는 앞으로 세밀히 검토되어야 할 것으로 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