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ju

검색결과 147건 처리시간 0.031초

하상구조에 따른 4개 하천의 어류 분포 특성 비교 (Comparison of Fish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by Substrate Structure in the 4 Streams)

  • 윤석진;최준길;이황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02-313
    • /
    • 2014
  • 모래형 하천과 자갈형 하천의 어류군집 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4개의 하천을 선정하여 계절별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출현한 어종 중 한국고유종은 Acheilognathus gracilis 외 24종으로 확인되었다. 홍천강과 무주남대천의 우점종은 Zacco koreanus로 각각 39.9%, 28.4%를 차지하였으며, 양화천은 Rhodeus notatus가 13.6%, 갑천은 Z. platypus가 26.0%로 우점하였다. 군집분석 결과 우점도지수는 0.27~0.63, 다양도지수는 1.92~2.67, 균등도지수는 0.6~0.79, 풍부도지수는 3.09~3.53의 범위로 나타났으며, 우점도지수는 홍천강에서 가장 높고, 다양도, 균등도, 풍부도지수는 양화천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내성도 길드 분석 결과 하상구조물이 다양한 홍천강과 무주남대천은 민감종이 각각 50.1%와 46.4%로 비교적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모래 하상이 높은 양화천과 갑천은 민감종이 각각 0.5%와 5.3%의 희소한 비율을 차지하였다. 하천별 출현한 어류의 종별 개체수와 하상구조를 이용하여 유사도를 분석한 결과 자갈형 하천인 홍천강과 무주남대천이 종과 개체수는 50.4%, 하상구조는 95.2%로 가장 유사하였다. IBI 분석결과 홍천강과 무주남대천이 'A등급', 양화천과 갑천이 'B등급'으로 나타났고, 주성분 분석결과 자갈형 하천과 모래형 하천의 2개의 그룹으로 구분되었다.

전북지방의 씨감자 생산을 위한 적지선정 및 감자 바이러스병에 관한 연구(II). 씨감자의 바이러스병 검정 (A Survey of Potato Virus Diseases and Insect Vectors at Seed Potato Production Area in Jeon Bug(II). Serological Test on Virus Diseases of Seed Potatoes)

  • 윤순기;소인영;최성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71-76
    • /
    • 1975
  • 전북지방의 씨감자 생산적지를 선정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고랭지대인 전북 무주군 무풍면 상오정 1대(700-800m)와 평야지인 전주에서 대관령 고랭지 시험장산 원종 남작(Solanum tuberosum Var. Irish Cobbler, Shimabara)과 무주산 재래종 씨감자(품종미상)를 재배하면서 씨감자의 바이러스 이병율 및 재배기간중의 지역별 감염율등을 혈청학적으로 검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우리나라에서 현재 유통되고 있는 씨감자의 감자 바이러스 혼합감염율은 $50.88\%$이며 바이러스별로는 Potato virus Y(PVY)$(34.87\%)$$(40.33%)$$(41.00\%)$< Potato Virus(PVX)$(87.10\%)$로서 PVX가 가장 높은 이병율을 나타내고 있었다. 2. 감자바이러스의 1년차 감염율은 무주지방이 $11.7\%$, 전주지방이 $18.95\%$로서 무주지방이 낮고 특히 곤충매개가 심한 PVY의 감염율은 $6.45\%$ 밖에 안되어 이는 씨감자 생산지로서 적합함을 인정할 수 있었다. 3. 씨감자 자체의 바이러스 이병율은 대관령산이 $41.75\%$, 무주 재래종이 $42.17\%$로서 대관령산과 비슷하였고 작황은 대관령 산이 좋았다.

  • PDF

Six New and Four Unrecorded Species of Tanytarsini (Diptera, Chironomidae, Chironominae) Found in Korea

  • Ree, Han-Il;Jeong, Kyoung-Yong;Nam, Sung-Hyun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7권3호
    • /
    • pp.246-261
    • /
    • 2011
  • Adult chironomid collections were carried out near Namdae stream located at Jeollabuk-do, Muju-gun, Mujueup, Dangsan-ri in 2008 and 2009. Among 21 species of the tribe Tanytarsini identified from Muju collections, six new species (Cladotanytarsus neovanderwulpi, Paratanytarsus paramikesecumdus, Rheotanytarsus parapentapodus, Rheotanytarsus sungili, Tanytarsus neotamaoctavus, and Tanytarsus synyunosecundus) and four previously unrecorded species (Cladotanytarsus vanderwulpi, Paratanytarsus inopertus, Tanytarsus tamagotoi, and Tanytarsus uresiacutus) were confirmed. They are fully described with illustrations. As a result of this report, the Korean fauna of Tanytarsini consists of 37 species, 6 genera. In total, 128 species, 52 genera, 5 subfamilies of the family Chironomidae are listed in Korea.

무주군 진도리의 생태마을 조성계획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co-village Planning in Chindo-ri, Muju-kun)

  • 장원;김경화;최귀선
    • 환경영향평가
    • /
    • 제8권1호
    • /
    • pp.141-146
    • /
    • 1999
  • This paper proposes the planning and design of the Eco-village centering around Chindo-ri, Muju-kun. The Eco-village project has three basic objects the Eco-village residents' lives adapting to ecological principles such as regeneration and circulation, life agricultural techniques based on organic cycle, and residents' harmonious lives with the surrounding nature. For constructing of the Eco-village, first, the subject area was analyzed in terms of the natural and cultural environment and then, on this analytic ground the concrete concept and the specific plan were set up. The following details also should be considered: the scale of the residential household, the population, the space arrangement of the village, the material cycling structure, the waste treatment, the purification of the sewage, the energy supply, the landscape architecture, the production activity, the conservation of the ecosystem and so on.

  • PDF

Inhibitory Effects of Fermented Gastrodia elata on High Glucose-induced NO and IL-8 Production in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 Kwon, Se-Uk;Jeon, Sung-Bong;Xin, Mingje;Kim, Jun-Ho;Im, Ji-Young;Cha, Ji-Yun;Jee, Ho-Kyun;Lee, Oh-Gu;Kim, Dae-Ki;Lee, Young-Mi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8권4호
    • /
    • pp.266-272
    • /
    • 2012
  • Hyperglycemia or high glucose (HG), is the hallmark of diabetes, known to induce oxidative stress, release of chemokines, and cytokines, which confer endothelial cell damage. On the other hand, microbial transformation of organic materials often leads to certain changes in their product structures which could enhance their biological activiti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beneficial effects of fermented Gastrodia elata (FGE) in HG induced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HUVECs) dysfunction. GE, fermented by Saccharomyces cerevisiae, which has an extensive history of safe use, exhibited higher phenolic compounds content than those of Gastrodia elata (GE). The HG-induced production of nitric oxide (NO) and interleukin-8 (IL-8) were significantly attenuated by FGE pretreatment to the cells, in a concentration dependent manner. In addition, FGE showed marked activity in free radical scavenging. These results suggest that FGE possesses beneficial effects in protecting against the oxidative stress, and inflammatory conditions in endothelial cells, caused by HG.

무주지역 수질특성자료의 통계학적 분석에 의한 소유역 구분 (Watershed Classification Using Statistical Analysis of water Quality Data from Muju area)

  • 한원식;우남칠;이기철;이광식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7권3호
    • /
    • pp.19-32
    • /
    • 2002
  • 본 연구는 무주군 적상산 부근에 위치하는 소유역에서 지표수의 수질과 인접한 천층지하수 수질사이의 관계 및 지질매체와 오염원의 유입에 의한 계절적인 변동을 규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8월과 10월 두 차례의 조사결과 이곳 지표수와 지하수 수질은 Ca-$HCO_3$유형이 주를 이루고 있었으며 인근 광산부근에서는 중금속에 의한 오염이 나타나고 있었다. 10월 조사시에 인가가 밀집한 지역에서는 질산성 질소의 의한 오염 또한 높게 나타나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자료를 토대로 군집분석(Cluster Analysis)과 주성분 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군집분석결과 지표수는 5개의 그룹으로 구분되었고 지하수는 3개의 그룹으로 구분되었다. 주성분분석 결과는 군집분석 시에 나타난 결과를 효과적으로 지지하고 있으며 (1)지질매체의 수리지화학적 반응, (2)오염물질의 유입 (3) 인근광산에 의한 중금속 오염이 복합적으로 반응하여 나타난 결과로 해석된다.

국가산림자원조사 자료와 임상도를 활용한 리기다소나무림의 탄소 저장량에 대한 공간분포도 작성: 무주군의 사례로 (Mapping of Spatial Distribution for Carbon Storage in Pinus rigida Stands Using the National Forest Inventory and Forest Type Map: Case Study for Muju Gun)

  • 서연옥;정성철;이영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6권2호
    • /
    • pp.258-266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산림자원조사 자료와 수치임상도를 활용하여 무주군 지역 리기다소나무림의 추정된 탄소 저장량에 대한 공간분포도를 작성하고자 하였다. 국가산림자원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바이오매스 추정식을 개발하기 위해서 수고, 임령, 흉고직경, 수관밀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수관밀도(0.74)인자가 가장 높은 양(+)의 상관성을 보였고, 다음으로는 수고(0.61)인자에서 높은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상관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탄소 저장량 추정식을 도출한 후 수치임상도를 활용하여 추정된 탄소 저장량 공간지도를 작성하였다. 수관밀도와 수고를 적용하여 추정된 탄소 저장량을 산출한 결과, 평균 58.2 ton C/ha로 나타났으며 전북 무주지역 리기다소나무림의 지상부 총 탄소저장량은 430,963 C ton으로 추정되었다.

지역특산물 브랜드 개발 사례 연구 - 무주군 복분자 음료 생산 농가를 중심으로 - (Brand Development for Rural Specialty Products - A Case Study of Bokbunja Drink in MuJu -)

  • 전영미;안윤수;안옥선;김미희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655-670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brand naming strategy for rural specialty products of Muju. This study was to apply brand development research to the field. The selected investigation subject, a local farming operation producing a specialty product, was chosen from a New Enterprise Support Project of Farm Women ('06). The selected subject was a farming operation producing bokbunja drink in Muju. The data was derived from 137 female consumer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rocess of brand development strategy was advanced by six steps: Step 1, environment analysis; Step 2, brand case study; Step 3, SWOT analysis (Strength Weakness, Opportunity, Threat factor analysis); Step 4, direction design for brand naming development (Targeting, Brand focus concept extraction); Step 5, brand logo and symbol production; and Step6, Evaluation. Second, to extract brand naming development direction, key concepts in association with natural connection, area features, representative resources, and natural friendship were investigated. Namely, the health function concept was selected on the basis of a consumer recognition investigation where results appeared most highly favorable. Also, it was decided that the direction of brand naming should emphasize a green image and the location name of Muju. Finally, the brand name was decided to be "Saenggichan" bokbunja liquid and the slogan went with "guchondon-native thorn bokbunja from jar maturing."

  • PDF

무주지역 소유역내 지표수와 지하수의 안정동위원소 조성의 시공간적 변화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 of Stable Isotopic Compositions of Surface Water and Ground Water in a Small Catchment, Muju, Korea)

  • 한원식;우남칠;이광식;이기철
    • 자원환경지질
    • /
    • 제36권5호
    • /
    • pp.329-338
    • /
    • 2003
  • 이 연구는 무주군 적상산 부근에 위치하는 소유역(100$Km^2$)에서 지표수와 천부 지하수의 안정동위원소 조성의 시공간적 변화를 조사하기 위해서 실시되었다. 시료채취는 2001년 8월(여름)과 10월(가을), 2002년 4월(봄), 3회에 걸쳐 실시되었다. 지표수의 동위원소 조성은 계절에 따라 뚜렷이 구분되어 도시되지만 천부 지하수에서는 이러한 변화가 줄어든 것이 관찰되었다. 하지만 지표수와 지하수의 안정동위원소 조성의 변화 폭은 계절별로 서로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것은 이 지역에서 강수, 지표수 및 지하수 사이의 상호작용이 매우 활발하며 지속적으로 일어나고 있음을 의미한다. 무주지역 지표수의 안정동위원소 조성은 남쪽에 위치하는 섬진강의 조성보다는 가벼운 “위도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하천수에는 동위원소 조성의 계절변화와 아울러 강수의 “고도효과”와 “우량효과”가 잘 반영되어 있음이 관찰되었다.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Clonorchiasis among Residents of Riverside Areas in Muju-gun, Jeollabuk-do, Korea

  • Park, Do-Soon;Na, Sung-Jin;Cho, Shin Hyeong;June, Kyung Ja;Cho, Young-Chae;Lee, Young-Ha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2권4호
    • /
    • pp.391-397
    • /
    • 2014
  • We evaluated the status of Clonorchis sinensis infection and potential risk factors among residents of riverside areas (Geumgang) in Muju-gun, Jeollabuk-do (Province), Korea. From January to February 2010, a total of 349 (171 males, 178 females) stool samples were collected and examined by the formalin-ether concentration technique. Also, village residents were interviewed using questionnaires to obtain information about C. sinensis infection-related risk factors. Overall egg-positive rate of C. sinensis was 13.2%. Egg-positive rat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males, farmers, and residents who had lived there more than 20 years, and in residents who had eaten raw freshwater fish than in opposite groups, respectively.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ge groups, education levels, cigarette smoking, alcohol drinking, health status, past history of infection, and experience of clonorchiasis medication and examination.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risk factors for clonorchiasis. On univariate analysis, the odds ratios for males, farmers, those who had lived there more than 20 years, and who had eaten raw freshwater fish were 2.41, 4.44, 3.16, and 4.88 times higher than those of the opposites, respectively. On multivariate analysis, the odds ratio of residents who had eaten raw freshwater fish was 3.2-fold higher than that of those who had no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residents living in Muju-gun, along the Geum River, Korea, have relatively high C. sinensis egg-positive rates, and the habit of eating raw freshwater fish was the major factor for the maintenance of clonorchia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