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t. Jiri

검색결과 158건 처리시간 0.026초

한국산 고등균류기 (IX) (Notes on the Korean Higher Fungi (IX))

  • 조덕현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63-70
    • /
    • 1995
  • 많은 고등륜류가 1990년 9월부터 1991년 10월까지 만덕산, 덕유산, 지리산에서 채집되었다. 이 고등균류들을 동정한 결과 Strobilurus(솔버섯속)은 한국산 미기록속이었다. 그리고 Strobilurus oshimae(가지솔버섯), Mycena chlorophos(야광애주름버섯), Mmarasmius pulcerripes(예쁜낙엽버섯), Pholiota astragalina(빨강비늘버섯), Cortinarius subdelibutus(물끈적버섯아재비), Boletellus shichianus(가시노랑그물버섯)은 한국산 미기록종으로 확인되었다.

  • PDF

한국산 소나무림의 식물사회학적연구 (Plant Sociological Studies on the Pinus densiflora Forest in Korea)

  • Lee, Woo-Tchul;Lee, Cheol-Hwan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2권4호
    • /
    • pp.257-284
    • /
    • 198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haracterize pinus densiflora forests in middle province (Mt. Seolag, Mt. Taebaik) south province (Mt. Sokli, Mt. Jiri) and south-coast province (Mt. Daedun) of Korea. The appearance species in the P. densiflora alliance included 325 taxa and vari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slopes. The steeper the slope was, the fewer number of taxa were observed. The floristic composition of south-coast province was gradually changing to the south hemispheric factors. Dominant species groups of P. densiflora alliance were classified into P. densiflora, Quercus serrata ( layer), Rhus trichocarpa ( layer), Lespedeza maximowiczii var. tomentella (S layer), Artemisia keiskeana, Carex humilis var. nana, Spodiopogon sibiricus (K layer). Quercus variabilis, Fraxinus sieboldiana and Styrax japonica association were formed under the P. densiflora alliance. Quercus, Rhus, Lespedeza and Rhododendron groups maintained high ecological relationships one another. The soil factors (pH, organic matters, and water field capacity)and relative light intensity tended to show negative correlation, which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provinces. The P. densiflora forests of Korea were classified into one alliance and four associations, that is, pinion densiflorae Suz.-Tok. 1966, Quercetum variabilae ass. nov., Quercetum mongolicae ass. nov. Fraxinetum sieboldianae ass. nov. and Styraxetum japonicae ass. nov.

  • PDF

Selection of Superior Trees for Larger Fruit and High Productivity in Sorbus commixta Hedl.

  • Kim, Sea-Hyun;Jang, Yong-Seok;Chung, Hun-Gwan;Choi, Myoung-Sub;Kim, Sun-Chang
    • Plant Resources
    • /
    • 제6권2호
    • /
    • pp.120-128
    • /
    • 2003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n analysis of the variation for leaf and fruit characteristics among the selected ten populations of Sorbus commixta Hedl. could be used for the conservation of gene resources and could provide information to superior trees selection.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Approximately, the Mt. Sungin population at Ulleung island showed larger values in overall characteristics and populations. On the other hand, Mt. Halla population at Jeju island showed the smaller values of the overall characteristics and populations. ANOV A tests show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leaf characteristics among the populations as well as individual trees within populations. But, for fruit characteristics, differen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only among the populations. Cluster analysis using single linkage method based on leaf and fruit characteristics showed that ten selected populations of S. commixta in Korea could be clustered into three groups. Group I is Mt. Sungin at Ulleung island, Group II is Mt. Halla at Jeju island, and Group III comprises Osan, Mt. Kaji, Mt. Duckyoo, Mt. Balwang, Mt. Sobaek, Mt. O-dae, Mt. Jiri, and Mt. Taebaek. The selection level based on major agronomic traits, which are the Number of Fruit per Fruiting Lateral(NFL) over 50, and Fruit Length(FL) and Width(FW) over 10 mm, and Weight of 100 Fruit(WFI00) over 66 g, was applied on 100 sample trees, and five trees were selected. The selection effects from selected trees in NFL, FL, FW, and WF100 were evaluated as 132%, 151 %, 142%, and 264% compared to the mean of those 100 sample trees, respectively. Especially, Ulleung 2 showed excellent values that NFL and WFI00 were 95, and 69 g, respectively, suggesting a promising new cultivar for larger fruit and high productivity.

  • PDF

유전다양성 복원을 위한 지리산 구상나무 아집단의 유전변이 (Genetic Variation of Korean Fir Sub-Populations in Mt. Jiri for the Restoration of Genetic Diversity)

  • 안지영;임효인;하현우;한진규;한심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6권4호
    • /
    • pp.417-423
    • /
    • 2017
  • 구상나무(Abies koreana)의 유전다양성 복원 전략 수립을 위해 지리산의 반야봉, 벽소령, 천왕봉 아집단들에 대한 유전다양성과 아집단 간 유전분화율을 추정하였다. 아집단 평균 유전다양성은 대립유전자수(A)가 7.8개, 평균 유효대립유전자수($A_e$)가 4.9개, 이형접합도 관찰치($H_o$)가 0.578, 이형접합도 기대치($H_e$)가 0.672이었다. 3개 아집단들의 평균 유전다양성($H_e=0.672$)은 지리산 집단 수준의 유전다양성($H_e=0.778$)과 구상나무 종 수준의 유전다양성($H_e=0.759$)보다 낮았으나, 전나무 속 타 수종들과 비교하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집단 간 유전분화율은 F-통계분석($F_{ST}$)에서 0.014였고, AMOVA 분석(${\Phi}_{ST}$)에서 0.004로 나타났다. 베이지안 군집분석에서 지리산 내 아집단 간 유전분화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3개 지역으로부터 모수들을 충분히 선정하여 종자를 채취한다면, 유전적으로 다양한 복원재료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지리산국립공원 자연관찰로 주변의 식생구조 (Vegetation Structure around Natural Trails in Mt. Jiri National Park)

  • 조규남;김덕성;조민기;정혜란;문현식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260-269
    • /
    • 2006
  • 이 연구는 지리산국립공원 자연관찰로의 합리적 관리를 위한 기초정보를 제공할 목적으로 지리산국립공원내 유평, 중산리, 하동, 백무동 지역 자연관찰로 주변의 식생구조를 조사하였다. 교목층과 관목층은 각각 유평 지역 16종과 11종, 중산리 지역 14종과 16종, 하동 지역 10종과 13종 그리고 백무동 지역은 19종과 10종으로 이루어져 있다 유평, 중산리, 백무동 지역 자연관찰로의 교목층은 굴참나무의 중요치가 가장 높았으나 하동 지역은 소나무의 중요치가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유평, 중산리, 하동과 백무동 지역 자연관찰로의 초본층은 각각 70종, 53종, 65종, 57종으로 이루어져 있다. 종다양도 지수는 교목층 $0.752{\sim}1.162$, 아교목층 $0.957{\sim}1.085$, 관목층 $1.283{\sim}1.506$ 범위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지리산국립공원 내에 조성되어 있는 유평, 중산리, 하동, 백무동 지역 자연관찰로의 균재도는 전층에서 0.752에서 0.983의 범위에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지리산(智異山) 지역(地域)의 해발고(海拔高)에 따른 왕대의 간형질(稈形質) 변이(變異) (The Variation of Culm Characteristics of Phyllostachys bambusoides Associated with Altitudinal Gradient in Mt. Jiri)

  • 정종성;이강영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7권2호
    • /
    • pp.235-241
    • /
    • 1988
  • 경남(慶南) 산청군(山淸郡) 시천면(矢川面) 소재(所在) 지리산(智異山) 일대(一帶)에서 재배(栽培)되고 있는 왕대 임분(林分)에 대(對)하여 해발고(海拔高)에 따른 간형질(桿形質) 변이(變異)를 분석(分析) 한 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해발고(海拔高) 400m의 평균기온(平均氣溫)은 약(約)$12^{\circ}C$로서 수평적(水平的)인 왕대 분포지역(分布地域)의 기온(氣温)과 일치(一致)하였다. 해발고별(海拔高別) 간고(稈高), 직경(直徑), 지하고(枝下高) 등(等)에 있어서 평균치(平均値) 출현율(出現率)의 범위(範囲)는 400m까지는 넓었으나 500m이상(以上)에서는 매우 좁게 나타났다. 지하고(枝下高)에 대(對)한 간고(稈高)의 형상비(形狀比)에 있어서 출현율(出現率)의 범위(範囲)는 해발고(海拔高) 모두 동일(同一)한 경향(傾向)이었다. 변이계수(變異係數)에 있어서 간고(稈高), 직경(直徑), 지하고(枝下高)/간고(稈高)의 형상비(形狀比)는 15~25%의 범위(範囲)를 나타내었으나 지하고(枝下高)에 있어서는 25%이상(以上)의 큰 폭(幅)을 나타내었다. 해발고(海拔高)에 따른 간형질(稈形質)은 모두 1% 수준(水準)에서 유의성(有意性)이 인정(認定)되었다. 간형질(稈形質)에 대(對)한 Duncan의 다중검정(多重檢定)을 한 결과(結果), 해발고(海拔高) 400m이하(以下)와 500m이상(以上)으로 구분(區分)되었다. 해발고(海拔高)에 따른 간형질(稈形質) 상호간(相互間)에는 대부분(大部分) 정(正)의 상관(相關)을 보였다. 이상(以上)의 결과(結果)에서 지리산(智異山) 일대(一帶)에 있어서 간형질(稈形質) 특성(特性)으로 보아 해발고(海拔高) 400m이하(以下)의 지역(地域)이 왕대 재배(栽培)에 적합(適合)한 지역(地域)으로 사료(思料)된다.

  • PDF

한국산(韓國産) 외대버섯 속(屬)의 기록(記錄) (V) (Notes on the genus Entoloma of Korea (V))

  • 조덕현;이용보
    • 한국균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95-203
    • /
    • 1992
  • 1990년 5월부터 1991년 10월까지 국립공원 내장산, 지리산과 전주근교의 용문사와 전라도 임업시험림이 있는 만덕산, 강원도 평창군의 발왕산에서 다수의 외대 버섯를 채집하였다. 이 외대버섯류를 동정한 결과 한국 미기록종으로 확인된 것은 다음과같으며 이들에 대하여 한국보통명을 신칭하였다. 이것들은 E. fuscodiscum (검댕이 외대 버섯), E. incanum (녹색외대버섯), E. fracturans (파열외대버섯), E. lignoputridum (고목외대버섯), E. nigroviolaceum var. striatulum (흑보라줄외대버섯), E. grayanum var. grayanum (회색외대버섯아재비), E. maleoens (큰렌즈외대버섯) and E. pungens (가시외대버섯)이다.

  • PDF

수동 streptomyces의 분리 동정에 관하여. II (The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Some Streptomyces)

  • 조성호;안정선;권영명
    • 미생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170-175
    • /
    • 1977
  • A taxonomical study was made on the Streptomyces species isolated from soils collected in Heoju and Mt. Jiri, from May to June, 1977. I.S.P. Methods (1966) and I.S.P.Descriptions(1968-1972) were used for the methods and identifications. As a result, 6 species were newly identified as follows ; S.tanashiensis, A.virido-didastaticus, S.rutgersensis, S. citreus, A.alborubidus and S.fragils.

  • PDF

오대산국립공원 지역에 멸종위기종인 사향노루 복원을 위한 주요 서식지 분석에 관한 연구 (Analysis of the Main Habitat for Siberia Musk Deer (Moschus moschiferus) Restoration in Mt. Odae National Park, Korea)

  • 박용수;김종택;이우신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91-102
    • /
    • 200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tain the basic information about Siberia Musk Deer (Moschus moschiferus), and to establish a conservation area for the replacement of Siberia Musk Deer into Mt. Odea National Park, South Korea. We analyzed the main habitat for Siberia Musk Deer restoration in Mt. Odae National Park, Korea. We recorded Siberia Musk Deers' field signs (i.e., bedding sites, feeding areas, feces and tracks), and habitat variables such as nearest distance to the watercourse, trails, slope, aspect, forest type and land cover etc. from Dec. 2004 to Aug. 2007 in Mt. Jiri, Mt. Seorak, and Demilitarized Zone (DMZ). Rocky areas, ridges, mixed coniferous forest (Red pine and Mongolian oak), southern and southeastern slope, elevation of above 800m, and distance from watercourse shorter than 300m etc. were dominant habitat types of Siberia Musk Deer. Based on the significant habitat types, a proper conservation plan should be prepared for the restoration of habitats in order to reintroduce, and to increase the population of Siberia Musk Deer in Mt. Odea National Park, South Korea. Small population size, and limited ecological data are the major constraints for the establishment of conservation areas. Furthermore, other anthropogenic factors including human activities, poaching, and residential area around the park caused the difficulties to qualify as a conservation area. For the successful establishment of conservation area in the future, it is recommended to conduct a comprehensive ecological research, and to survey human disturbances including their impacts on the habitats of Siberia Musk Deer in the Mt. Odea National Park.

보호종인 히어리의 자생지내외 보전과 지역사회 협력 모델 개발 I. 히어리 분포지 특성에 관한 연구 (Conservation of an endangered Corylopsis corona Uyeki in and ex situ and Development of cooperative model within local community I. Study for a Characteristic of Distribution Pattern in Corylopsis coreana $U_{YEKI}$)

  • 임동옥;황인천;정흥락;유윤미
    • 한국환경생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생태학회 2005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대회
    • /
    • pp.85-101
    • /
    • 2005
  • 우리나라 특산수종인 히어리 분포지 특성에 대해 현지조사와 문헌조사를 실시하였다. 히어리 분포는 전라남도 지역의 보성군, 광양시, 순천시일대, 고흥군 점암면, 구례군 간전면, 장흥군 천관산, 지리산 노고단 전라북도 남원시 천황산, 지리산 뱀사골과 반야봉, 경상남도 산청군, 하동군, 남해군, 경기도 포천시 백운산에 출현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히어리 분포역에서 식물상은 70과 159속 216종 22변종 4품종 총 242종류가 확인되었다. 분류군별로는 양치식물이 $5.8\%$, 나자식물이 $3.7\%$, 단자엽식물이 $18.6\%$, 쌍자엽식물이 $71.9\%$로 분석 되었으며, 생활형별 분류에서 1년생이 $1.7\%$, 다년생이 $98.3\%$로 분석되었다. 생장형별 비교에서는 초본성이 $44.2\%$, 덩굴성이 $12.4\%$, 관목성이 $17.8\%$, 교목성이 $25.6\%$로 나타났다. 히어리 군락 분포 유형은 전형적으로 북사면, 북동사면, 또는 북서사면이었으며, 전라남도 승주읍 신전리 자생지는 교목상 숲으로 인해 쇠퇴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