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t. Halla)

검색결과 225건 처리시간 0.023초

Selection of Superior Trees for Larger Fruit and High Productivity in Sorbus commixta Hedl.

  • Kim, Sea-Hyun;Jang, Yong-Seok;Chung, Hun-Gwan;Choi, Myoung-Sub;Kim, Sun-Chang
    • Plant Resources
    • /
    • 제6권2호
    • /
    • pp.120-128
    • /
    • 2003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n analysis of the variation for leaf and fruit characteristics among the selected ten populations of Sorbus commixta Hedl. could be used for the conservation of gene resources and could provide information to superior trees selection.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Approximately, the Mt. Sungin population at Ulleung island showed larger values in overall characteristics and populations. On the other hand, Mt. Halla population at Jeju island showed the smaller values of the overall characteristics and populations. ANOV A tests show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leaf characteristics among the populations as well as individual trees within populations. But, for fruit characteristics, differen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only among the populations. Cluster analysis using single linkage method based on leaf and fruit characteristics showed that ten selected populations of S. commixta in Korea could be clustered into three groups. Group I is Mt. Sungin at Ulleung island, Group II is Mt. Halla at Jeju island, and Group III comprises Osan, Mt. Kaji, Mt. Duckyoo, Mt. Balwang, Mt. Sobaek, Mt. O-dae, Mt. Jiri, and Mt. Taebaek. The selection level based on major agronomic traits, which are the Number of Fruit per Fruiting Lateral(NFL) over 50, and Fruit Length(FL) and Width(FW) over 10 mm, and Weight of 100 Fruit(WFI00) over 66 g, was applied on 100 sample trees, and five trees were selected. The selection effects from selected trees in NFL, FL, FW, and WF100 were evaluated as 132%, 151 %, 142%, and 264% compared to the mean of those 100 sample trees, respectively. Especially, Ulleung 2 showed excellent values that NFL and WFI00 were 95, and 69 g, respectively, suggesting a promising new cultivar for larger fruit and high productivity.

  • PDF

심부 지열에너지 개발 가능성 파악을 위한 제주도 증산간 지역에서의 MT 탐사 (Magnetotelluric surveys from mid-mountain area of Jeju Island for evaluating possible structures for deep-seated geothermal energy)

  • 이태종;이성곤;송윤호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34-437
    • /
    • 2006
  • Though numerous drilling has been performed in Jeju Island for development of ground water, the wells are mostly located along the coast lines or at low altitude area, and can hardly be found on the mid-mountain area. Two-dimensional magnetotelluric (MT) surveys have been carried out to cover the lack of geological Informal ion on the mid-mountain area and to figure out any possible structures or evidences for deep geothermal energy remained. Two-dimensional (2-D) inversion of MT data for four survey lines surrounding the Halla mountain show a thick layer having around 10 ohm-m in the depth of a few hundred meters throughout the survey area, which can be considered as the unconsol idated sedimentary layer. And they also show a conductive anomaly extending to more than 2km depth at the central part of each survey lines, which can possibly be related with old volcanic activities during the formation of Halla Mt.. Further seological/geophysical investigations should be followed.

  • PDF

제주도 산딸나무 군락의 생태적 특성 (Native Cornus kousa Community and Its Habitat in Jeju Island)

  • 안영희;심경구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5-22
    • /
    • 2003
  • Fifteen major naturally populated habitats around the Mt. Halla, Jeju province for wild Cornus kousa are mostly located on the southeast side of the mountains at 850-1,550m in altitude at sea level and are in half sunney areas. More than 40.0% of the naturally populated area of Cornus kousa are edge of forest areas and 53.3% populate on the steep slope of the mountain in 0-5℃. The direction of the slop for about 40.0% of total populated areas is southeast. In the naturally populated areas, total of 64 taxa dividing into 42 families, 59 genera 56 species and 8 varieties have been shown, mostly Hydrangea petiolaris, Rubus oldhamii, Ilex crenata, Sasa quelpaertensis, Ligustrum obtusifolium. It is suggested that these areas are secondary forest in a typical deciduous forest in Mt. Halla where the second transition had been progressed after forest damage or environmental stress. The index of species diversity of plant groups in these areas is 1.286-4.238 based on the Shannon-Wiener's method.

한라산 아고산 초지대 나지의 확대속도와 침식작용 (Rates and Processes of Bare Patch Denudation in the Subalpine Grassland of Mt. Halla)

  • 김태호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657-669
    • /
    • 2006
  • 한라산 아고산대의 초지박리에 관여하는 침식작용을 규명하기 위하여 표고 1,710m와 1,600m 지점에 출현하는 나지를 대상으로 지형특성과 확대속도를 조사하였다. 나지는 가장자리에 단애가 출현하므로 와지형태를 이룬다. 단애의 높이는 최고 85cm부터 단차가 나타나지 않는 경우까지 다양하다. 단애 최상부는 앞쪽으로 $2\sim38cm$ 정도 튀어나와 있으며, 많이 돌출한 최상부는 시간이 지나면서 아래쪽으로 드리워져 단애를 가리게 된다. 나지 표면은 중력과 대력 크기의 각력으로 덮여 있으며 암괴도 산재한다. 2002년부터 2004년까지 2년간 발생한 단애의 평균후퇴량은 39.2mm로서 연간 19.6mm의 후퇴량을 기록하였다. 계측지점별로 후퇴량을 비교하면 최고치와 최소치는 각각 131mm와 0mm로서 차이가 크다. 단애 후퇴량은 계절에 따라서도 달라져 4월의 융해진행기에 가장 크고 10월, 11월의 동결진행기와 6월, 7월의 장마기에도 큰 편이다. 나지확대에는 동결작용을 비롯하여 취식, 우세, 우적침식 및 동물작용 등 다양한 유형의 침식작용이 관여하고 있다. 이 가운데 우세나 취식과 결합된 서릿발작용은 한라산 아고산대의 100일 이상으로 추정되는 동결융해 교대일, 융설, 강풍환경 등을 고려할 때 가장 탁월한 침식작용이다. 한라산은 국내 최다우지이므로 릴침식과 같은 우세도 간과하기 어렵다. 그러나 우적침식은 단애 위쪽에 출현하는 식생 돌출부로 인하여 미약하다 최근 개체수가 증가하고 있는 노루도 나지확대에 영향을 주고 있다.

한라산 구상나무 구과 해충 발생 현황 (Occurrence status of cone insects on Korean fir (Abies koreana) in Mt. Halla)

  • 김도성;이영돈;좌명은;이차영;남영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9권4호
    • /
    • pp.417-420
    • /
    • 2020
  • 한라산 구상나무 군락지에서 구과 해충의 발생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2019년 8-10월에 3개 지역의 4개 조사구에서 구과 117개를 수집하여 생육상에서 우화시킨 후 출현종과 개체수를 확인하였다. 지역별 구과 해충의 피해율 조사를 위해 4개 조사구에서 93그루 1,235개 구과의 구과해충 피해를 확인하였다. 조사 결과, 채집된 117개 구과에서 솔알락명나방 233개체, 구상애기잎말이나방 101개체, 똥파리 4개체가 확인되었다. 구과 당 평균 개체수는 솔알락명나방 1.99, 구상애기잎말이나방은 0.86개체로 솔알락명나방이 2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한라산 4개 조사구 전체 구상나무 구과의 평균 피해율은 49.7에서 80.1%로 조사구별 차이를 보였다. 또한, 구과 피해율은 수목 당 구과 수가 많을수록, 피해 구과에서 우화하는 구과해충 수는 구과의 크기가 클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에서 확인된 구과 해충은 수목 당 구과 수가 많으면서 상대적으로 큰 구과를 갖는 구상나무를 선호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漢拏山國立公圓 植物群集의 植物社會學的 分類 (Phytosociological Classification of Plant Communities on Mt. Halla National park, Korea)

  • Yim Yang-Jai;Jeong-Un Kim;Nam-Ju Lee;Yong-Beom Kim;Kwang-Soo Paek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3권2호
    • /
    • pp.101-130
    • /
    • 1990
  • The forest vegetation of Mt. Halla national park area. Cheju island, Korea, was classified into six associations in three alliances and two associations in unidentified alliances by Z-M school method as follows: Unidentified alliance Saso-Abietetum Koreanae assoc. nov. Acero-Quercion mongoliae Kim et Yim 1988 Hepatico-Quercetum mongolicae assoc. nov. Saso-Carpinioin laxiflorae all. nov. Saso-Carpinetum laxiflorae assoc. nov. Daphniphyllo-Carpinetum tschonoskii assoc. nov. Asaro-Quercetum serratae assoc. nov. Rhododendro-Pinion densiflorae Kim et Yim 1988 Saso-Pinetum densiflorae assoc. nov. pinus thunbergii community Unidentified alliance Ardiso-Torretum nuciferae assoc. nov. Among them one now alliance and seven new associations were found and marked with "nov."

  • PDF

한라산의 세포성 점균 (IV) 극낭 음성 종의 기록 (Cellular Slime Molds of Halla Mountain, IV Description of Polar Granule Negative Species)

  • 홍정수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6권1호
    • /
    • pp.9-17
    • /
    • 1993
  • Seven dictyostelid cellular slime molds isolated from the forest soils of Mt. Halla were described and illustrated. Dictyostelium flavidum Hong et Chang and three unidentified Dictyostelium, HL-2, HL-3 and CJ-9 were compared and discussed. All the isolates were cultivated on low nutrient media, 0.1- L-P(pH6) with Escherichia coli at 20-22$^{\circ}C$. Seven unrecorded species were all polar granule (PG) negative. These were Dictyostelium crassicaule Hagiwara, D. sphaerocephalum (Oud.) Sacc. et March, D. macrocephalum Hagiwara, Yeh et Chien, D. capitatum Hagiwara, D. brefeldianum Hagiwara, D. aureum var. aureum Cavender, Worley and Raper, and D. giganteum Singh.

  • PDF

한라산과 다랑쉬오름 등산로의 답압에 의한 토양 압밀현상 (Soil Compaction of Hiking Trails Induced by Human Trampling in Mt. Halla and Darangshiorum)

  • 김태호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69-179
    • /
    • 2003
  • 답압으로 인하여 등산로에 발생하는 난투수층의 특성과 형성요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한라산 석굴암코스와 다랑 쉬오름 등산로에서 토양의 압밀 상태와 물리특성을 조사하였다. 토양경도를 비롯하여 건조밀도와 고상 비율은 대체로 등산로 중앙에서 가장 높고, 가장자리로 가면서 점진적으로 감소하여 자연사면에서 최저치를 보인다. 즉 모든 등산로에서 토양의 압밀화가 진행됨으로써 등산로 중앙부에 난투수층이 출현하고 있다. 난 투수층의 형성에는 등산객의 답압뿐아니라 지형, 지질, 토양, 식생과 같은 환경요인이 관여하고 있다. 지형조건으로서 등산로의 배와 출현위치는 답압의 강도에 차이를 일으킬 뿐 아니라 우세작용에 의한 표토의 유실과 지표류에 의한 토사의 운반 퇴적을 통하여 난투수층의 형성에 관여한다. 또한 토성을 지배하는 지질 및 토양조건은 토양의 물리특성을 통하여 등산로의 압밀화에 영향을 미친다. 반면에 식생은 난투수층의 형성에 직접 관여하기보다는 등산로의 확대속도에 작용함으로써 난투수층의 규모에 차이를 가져온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