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t. Cheonggye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31초

한북정맥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상 - 광덕산, 청계산, 죽엽산을 중심으로 - (Vascular Plants Distributed in the Hanbuk-Jeongmaek - Focused on Mt. Gwangdeok, Mt. Cheonggye and Mt. Jukyeop -)

  • 오현경;김동필;유주한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41-61
    • /
    • 2016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ffer th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the management plan and constructing the ecological data by surveying and analysing the flora distributed in main survey sites(Mt. Gwangdeok, Mt. Cheonggye and Mt. Jukyeop), Hanbuk-Jeongmaek. The flora were summarized, numbering 659 taxa including 99 families, 341 genera, 575 species, 4 subspecies, 69 varieties and 11 forms. The rare plants were 16 taxa including Tylophora floribunda, Hanabusaya asiatica, Lilium cernuum, Belamcanda chinensis and so forth. The Korean endemic plants were 24 taxa including Salix koriyanagi, Aconitum pseudolaeve, Clematis trichotoma, Hosta minor and so forth. The specific plants by floristic region were 95 taxa including 32 taxa of grade I, 31 taxa of grade II, 25 taxa of grade III, 5 taxa of grade IV and 2 taxa of grade V. The naturalized plants were 38 taxa including Fallopia dumetorum, Silene armeria, Cosmos bipinnatus, Poa pratensis and so forth. The invasive alien plants were 4 taxa including Ambrosia artemisiifolia, Ambrosia trifida, Aster pilosus and Eupatorium rugosum.

산간계류(청계산)의 물리적 환경요인과 생물지수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Environmental Factors and Biological Indices of A Mountain Valley Stream (Mt. Cheoggye))

  • 여민정;공동수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288-301
    • /
    • 2023
  • This study aims to identify benthic macroinvertebrate fauna inhabiting at the mountain valley stream (Mt. Cheonggye) in Korea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environmental factors and biological indices. Benthic macroinvertebrates were collected at five locations on August 24 and October 14, 2020, and were identified as 4 phyla, 7 classes, 16 orders, 42 families, and 72 species. Dominance ranged from 0.38 to 0.59, diversity 2.81 to 3.75, richness 3.25 to 4.63, evenness 0.65 to 0.84, and %EPT (Ephemeroptera-PlecopteraTrichoptera) richness value 42% to 73%, respectively. All sites were evaluated as a very good status by mostly biological indices based on tolerance of indicator organisms in Korea. As a result of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biological indices are classified into species-level indices and higher cartegory-level indices according to the taxonomic level of the indicator organism considered in each index. As a result of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current velocity was a major factor that increased species richness and classified biological indices according to taxonomic category level. Water depth was a major factor related to the community indices, and the deeper the water depth, the lower the diversity and the evenness.

Do Physiognomically Designated Protected Areas Match Well with Ecological Data based upon Diversity Indices and Ordination? Implications for Urban Forest Conservation

  • Kee Dae Kim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329-341
    • /
    • 2023
  • We surveyed the vegetation of an ecological landscape preservation area (legally protected conservation areas or national parks) and the surrounding areas of Mt. Cheonggye, Republic of Korea, to explore the conservation implications for preservation areas and surrounding transition areas. We calculated diversity indices to identify the properties of the preservation and surrounding areas that are relevant to conservation efforts. We then compared the plant community composition between the areas using field and quadrat surveys in the preservation and surrounding areas. The cover of the dominant species in all tree and herb layers was markedly higher in the preservation area than in the peripheral zones. The species richness indic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preservation area than in the peripheral zones. Ordination using detrended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es showed that the cover of the dominant tree species and rocks could explain the distribution of plant species in the Cartesian space of the ordination. Our results demonstrate that physiognomically designated protected areas match well with ecological data based on diversity indices and ordination analyses and that disturbances in the areas surrounding the ecological landscape of preservation areas can have considerable impacts on plant diversity indices. Hence, the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surrounding areas are essential conservation elements for protecting the entire ecological landscape of preservation areas.

서울시내 옹달샘물의 지표미생물 분포현황 (Distribution of Indicator bacteria in Spring Water in Seoul)

  • 류승희;박석기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55-60
    • /
    • 2002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microbiological contamination of spring water, we performed the standard plate count, coliform and psychrotrophilic bacteria in 109 spring waters in Seoul. Of 109 spring waters, geometirc mean standard plate count was 0.19 CFU/ml, and the highest in Mt. Boolam, 4..43 CFU/ml and Mt. Dobong, 3.86 CFU/ml, but not detected in Mt. Woomyun and Mt. Cheonggye. Four spring waters have shown over 100 CFU/ml in standard plate count. The geometric mean psychrotrophilic bacteria was 49.2 CFU/ml, the most prevalent spring water was Mt. Nam, 125 CFU/ml, the lowest Mt. Woomyeun. Among a total of 109, coliform was detected from 21 spring waters(19.3%) and the geometric mean of coliform was 0.005 MPN/100ml. The isolated genera of coliform were 7 isolates of E. coli(33%), 5 Klebsiella(24%), 4 Enterobacter(19%), 3 Citrobacter(14%) and 2 Serratia(10%), respectively. The 22 spring waters(20.2%) failed to meet the standard limits of drinking water based on regulation in Korea. The inappropriate rate of standard plate count in spring water was 4.5%, that of coliform was 81.1% and both of them was 13.6%. There was th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tandard plate count and psychrotrophilic bacteria in spring water(r=0.95, p<0.01).

등산활동의 건강관련 동기요인과 유인요인 분석 (Analysis of Health-related Push and Pull Factors in Mountain Climbing)

  • 김재준;이혜린;이민하;강민지;박수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0권3호
    • /
    • pp.327-333
    • /
    • 2011
  • 본 연구는 등산객의 건강과 관련된 동기요인과 산림환경이 갖는 유인요인을 도출하고 이들 요인 간의 분석을 통하여 산림휴양공간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봉산, 북한산, 관악산, 청계산을 찾은 등산객 440명에 대해 건강과 관련된 15개의 동기항목 및 11개의 유인항목을 설문조사한 결과, 등산동기요인으로 '질병치료 치유', '정신 사회적 건강', '신체적 건강' 등 3개 요인을, 등산유인요인으로는 '인문환경', '사회경제적 환경', '자연환경' 등 3개 요인을 도출하였다. 요인 간 영향관계 분석결과, 질병치료 치유요인과 신체적 건강요인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유인요인은 자연환경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정신 사회적 건강요인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유인요인은 사회경제적 환경요인으로 나타났다.

상두선(象頭山) 바위글씨의 특징과 경관의미 (The Characteristics and Landscape Meanings of Letters Carved on the Rocks of Mt. Sangdu)

  • 노재현;이정한;허준;김정문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13
    • /
    • 2012
  • 본 연구는 전라북도 정읍시와 김제시의 경계에 위치해 있는 상두산 일대 바위글씨의 형식과 내용을 검토하고, 바위글씨가 새겨진 공간의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바위글씨의 경관적 의미와 가치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상두산(象頭山, 575.3m)은 석가모니가 수행하던 인도의 동명(同名)산에서 유래한 명칭이며, 이때, '상두(象頭)'는 상서로움을 의미한다. 조선시대의 고지도와 문헌에서는 풍수도참과 관련된 다수의 명당개념이 전해지고 있어 상두산의 상서로운 이미지를 견고히 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상두산에는 총 4개 수계에 한자로 새겨진 41개의 바위글씨가 존재하는데 바위글씨의 입지는 주로 계곡상 평석 형태의 너럭바위 또는 낙폭이 1m미만인 소폭(小瀑)과 와폭(臥瀑)주변에 새겨져 있는 특징을 보인다. 서체는 전서(篆書)를 비롯한 행서(行書)와 초서(草書)등 다양한 형태를 보이고 있는데, 일부는 각자인(刻字人)의 성명과 집자(集子)한 바위글씨의 서체가 하나의 작품처럼 인식될 정도로 높은 완성도와 예술성을 갖춘 것으로 파악된다. 바위글씨를 새기는데 주도적인 역할을 한 인물은 동초(東樵) 김석곤(金晳坤)을 비롯한 청계시회(淸溪詩會) 회원과 후암(厚庵) 김창석(金昌碩), 월계(月溪) 송영조(宋榮祚) 등으로 이들이 새긴 바위글씨는 조선시대 선비의 덕목인 수신(修身)과 관련된 내용이 25건으로, 비록 일제강점기이나 선비로서의 자존(自存)을 지키고자 하였음을 보여주며 또 일부는 '물외(物外)에서 노니는 탈속(脫俗)의 경지'를 보여주는 내용으로 일제강점기하 선비와 식민지인으로서의 갈등을 표상(表象)한다. 이처럼 상두산 바위글씨는 단지 물리적인 형태뿐만 아니라 민족성을 고취시키는 내용이자 경관상징성을 배가시키는 문화경관 요소로써의 보존적 가치가 크다고 사료된다.

Landscape Structure in the Greenbelt Zone around the Seoul, the Metropolis of Korea

  • Lee, Chang-Seok;Hong, Sun-Kee;Moon, Jeong-Suk;You, Young-Han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4권6호
    • /
    • pp.385-394
    • /
    • 2001
  • An attempt to clarify the landscape structure of urban areas was carried out in the greenbelt around Seoul, Korea's metropolis. By means of aerial photographs and a field survey, a vegetation map including land-use pattern was made. Landscape structure was described by analyzing this vegetation map and the results of phytosociological survey. Landscape element types identified were (1) secondary forest, (2) plantation, (3) cultivated field, (4) urbanized area, (5) graveyard, and (6) bare rock. Vegetation units, resulting from the phytosociological analysis, included Quercus mongolica, Q. variabilis, Q. acutissima, Pinus densiflora, Q. aliena, and Alnus japonica communities. Plantations were composed of Robinia pseudoacacia, Populus tomentiglandulosa, P. rigida, Larix leptolepis, P. koraiensis, and Castanea crenata stands. Patches near to human settlements in the lower zones of the mountains were fragmented and small but they became larger towards the higher mountain zones. On the other hand, the number of patches was fewer and their size was larger in Mt. Cheonggye more distant from the principal residential area, larger in size, and higher in elevation compared with the other 2 mountains, Mt. Daemo and Mt. Acha. Floristic composition of Mongolian oak(Q. mongolica) stand distributing in the upper part of each mountain, in which artificial interference is rare, showed a difference among those study areas different in parent rock and disturbance regime. But that of black locust(R. pseudoacacia) stand located in lowland of mountainous area, in which artificial interference is frequent was similar to each other. As the results of analyses on the frequency distribution of diameter classes of major species, dominant landscape elements, Mongolian oak forest showed different responses depending on artificial interference as continuous maintenance and retrogressive succession in the sites far from and near to the residential areas,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black locust stands showed a probability to be restore to the native oak forest through progressive succession.

  • PDF

국가장기생태연구 장소로서 구축된 남산 소나무림의 생태적 특성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Red Pine (Pinus densiflora S. et Z.) Forest on Mt. Nam as a Long Term Ecological Research (LTER) Site)

  • 이창석;조용찬;신현철;이충화;이선미;설은실;오우석;박성애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29권6호
    • /
    • pp.593-602
    • /
    • 2006
  • 국가 장기 생태 연구를 위해 구축된 서울 남산의 영구 방형구에서 소나무림의 종 조성, 주요 종의 공간분포, 직경 및 수고 계급 빈도 분포,그리고 종 다양성이 분석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도심의 다른 지역(인왕산 및 홍릉),도시 외곽 지역(아차산, 북한산, 불암산, 청계산, 대모산 및 수락산) 및 자연 지역(설악산, 속리산 및 월악산)의 자료와 비교하여 남산 소나무림의 특징을 밝혔다. 남산 소나무림은 도심의 다른 지역의 소나무림과 유사한 종 조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도시 외곽의 것과는 약간의 차이를 보였고, 자연 지역의 것과는 큰 차이를 보였다. 남산 소나무림이 보여준 그러한 차이는 대체로 그곳에서 높은 식피율을 나타낸 때죽나무, 팥배나무, 주름조개풀, 가중나무, 서양등골나물 등에 기인하였다. 주요 수종의 직경 및 수고 계급 분포를 분석하여 예측한 결과, 남산의 소나무림은 때죽나무 숲으로 천이될 가능성을 보였다. 이러한 대체 수종은 아교목일 뿐만 아니라 비내음성 종으로서 그러한 천이 경향은 퇴행 천이로 해석될 수 있었다. 도시 외곽 및 자연 지역의 소나무림들은 각각 토지 극상으로서 그 자체가 유지되거나 참나무 숲으로 천이될 가능성을 보여 남산 지역과 차이를 나타내었다. 남산 소나무림의 종 다양성은 도시 외곽 및 자연 지역의 것보다 낮았다. 이처럼 낮은 종 다양성의 원인은 이 지역의 종 조성을 다른 지역의 것과 다르게 하는데 기여한 몇몇 종의 과도한 번성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러한 차이를 가져온 식물들은 오염된 공업단지에 번성하는 종(때죽나무와 팥배나무), 교란된 지소를 선호하는 종(주름조개풀) 및 외래종(가중나무와 서양등골나물)이었다. 그러한 결과는 남산이 심한 환경 오염과 과도한 인간 간섭에 노출되어 있음을 반영한다.

서울근교 약수터에서 분리한 Pseudomonas속균의 혈청생화학적 특성 및 항균제 감수성 (Serob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Antibiotic Sensitivity of Pseudomonas spp. Isolated from Spring Waters in Seoul Area)

  • 박석기;김무상;함희진;김은정;황광호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305-312
    • /
    • 1998
  • 서울시내 약수에서 Pseudomonas속균의 균종분포, 생화학적 특성, 혈청학적 특성 및 항생제 감수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약수 57개소에 대하여 봄, 여름, 가을에 걸쳐 조사하였다. 총 57개 약수를 조사한 결과, 33개 (57.9%)의 약수에서 Pseudomonas속균이 검출되었다. 봄, 여름, 가을에 모두 검출된 곳은 1곳(1.8%) 이었으며, 2회에 걸쳐 검출된 곳은 9곳 (15.8%)이었으며, 1회만 검출된 곳은 13곳 (22.8%)이었다. 지역별로는 청계산이 50%의 검출율을 나타내었으며, 북한산, 35.7&, 대모산 33.3%, 도봉산 29.6%, 수락산 25.9%, 우면산 22.2%, 불암산 7.4% 순이었다. 분리된 균종은 Ps. putidark 22주(50%)로 가장 많았으며, Ps. aeruginosa, Ps. fluorescens 및 Ps. mendocins 각 6주(13.6%), Ps.aureofaciens 4주(9.1%)이었다. 분리된 Ps. aeruginosa6주의 혈청형은 모두 5종으로 A형 2주 , B, C,E 및 G형 각 2주씩이었다. 분리된 Ps. aeruginosa의 항생제에 대한 내성은 Amoxicillin 90.9%, Chloramphenicol 84.1%, Carbenicillin 81.8%, Nalidixic acid 68.2%, Neomycin 38.6%, Streptomycin 31.8%, Gentamicin 4.6%, Kanamycin 4.6% 그리고 Colistin 2.3%이었다. Ps.aeruginosa는 다른 슈도모나스균에 비해 carbenicillin에 대한 감수성이 있으나 kanamycin에 대한 내성이 높았다. Ps. aureofaciens는 다른 슈도모나스균에 비해 streptomycin에 대하여 내성이 없었다. 분리된 Ps.aeruginosa의 항생제에 대한 다제내성양상은 5제내성이 31.8%로 가장 높았으며, 내성양상에서는 NA-CB-CTE-AMC가 18.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