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Red Pine (Pinus densiflora S. et Z.) Forest on Mt. Nam as a Long Term Ecological Research (LTER) Site

국가장기생태연구 장소로서 구축된 남산 소나무림의 생태적 특성

  • Lee, Chang-Seok (Faculty of Environment and Life Sciences, Seoul Women's University) ;
  • Cho, Yong-Chan (Faculty of Environment and Life Sciences, Seoul Women's University) ;
  • Shin, Hyun-Cheol (Faculty of Environment and Life Sciences, Seoul Women's University) ;
  • Lee, Choong-Hwa (Faculty of Forest Environment,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Lee, Seon-Mi (Faculty of Environment and Life Sciences, Seoul Women's University) ;
  • Seol, Eun-Sil (Faculty of Environment and Life Sciences, Seoul Women's University) ;
  • Oh, Woo-Seok (Faculty of Environment and Life Sciences, Seoul Women's University) ;
  • Park, Sung-Ae (Faculty of Environment and Life Sciences, Seoul Women's University)
  • 이창석 (서울여자대학교 환경.생명과학부) ;
  • 조용찬 (서울여자대학교 환경.생명과학부) ;
  • 신현철 (서울여자대학교 환경.생명과학부) ;
  • 이충화 (국립산림과학원 산림환경부) ;
  • 이선미 (서울여자대학교 환경.생명과학부) ;
  • 설은실 (서울여자대학교 환경.생명과학부) ;
  • 오우석 (서울여자대학교 환경.생명과학부) ;
  • 박성애 (서울여자대학교 환경.생명과학부)
  • Published : 2006.12.31

Abstract

Species composition, spatial distribution of major species, diameter and height classes distribution, and species diversity were .analyzed in the Korean red pine (Pinus densiflora, hereafter referred as pine) forest in the permanent quadrats, which were designed for Long Term Ecological Research (LTER). Collected data were compared with those from the other areas including urban center (Mt. Inwang and Hongneung) and boundary areas (Mts. Acha, Bukhan, Bulam, Cheonggye, Daemo, and Surak), and natural areas (Mts. Seolak, Songni, and Wolak) to clarify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pine forest on Mt. Nam. Species composition of pine forest on Mt. Nam showed a similarity with those of urban center but did a little and big differences with those on urban boundary and natural areas, respectively. Such differences that pine forest on Mt. Nam showed, were usually due to Styrax japonicus, Sorbus alnifolia, Oplismenus undulatifolius, Ailanthus altissima, Ageratina altissima and so on, which showed higher coverage there. Predicted from diameter and height classes distribution of tree species, pine forest on Mt. Nam showed a possibility to be replaced by a S. japonica. Considered that this replacer species is not only a sub-tree but also shade intolerant, such successional trend could be interpreted as a sort of retrogressive succession. Those on urban boundary and natural areas showed a difference by displaying probabilities to be maintained as themselves as an edaphic climax or succeeded to oak forests. Species diversity of pine forest on Mt. Nam was lower than those in urban boundary and natural areas due to excessive dominance of several species, which led to different species composition from the other areas. Plants, which produced the differences, were species that flourishes in the polluted industrial area (S. japonica and S. alnifolia), favors the disturbed site (O. undulatifolius), and exotic species (A. altissima and Eupatorium rugosum). Those results reflects that pine forest of Mt. Nam was exposed on severe environmental pollution and excessive human interferences.

국가 장기 생태 연구를 위해 구축된 서울 남산의 영구 방형구에서 소나무림의 종 조성, 주요 종의 공간분포, 직경 및 수고 계급 빈도 분포,그리고 종 다양성이 분석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도심의 다른 지역(인왕산 및 홍릉),도시 외곽 지역(아차산, 북한산, 불암산, 청계산, 대모산 및 수락산) 및 자연 지역(설악산, 속리산 및 월악산)의 자료와 비교하여 남산 소나무림의 특징을 밝혔다. 남산 소나무림은 도심의 다른 지역의 소나무림과 유사한 종 조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도시 외곽의 것과는 약간의 차이를 보였고, 자연 지역의 것과는 큰 차이를 보였다. 남산 소나무림이 보여준 그러한 차이는 대체로 그곳에서 높은 식피율을 나타낸 때죽나무, 팥배나무, 주름조개풀, 가중나무, 서양등골나물 등에 기인하였다. 주요 수종의 직경 및 수고 계급 분포를 분석하여 예측한 결과, 남산의 소나무림은 때죽나무 숲으로 천이될 가능성을 보였다. 이러한 대체 수종은 아교목일 뿐만 아니라 비내음성 종으로서 그러한 천이 경향은 퇴행 천이로 해석될 수 있었다. 도시 외곽 및 자연 지역의 소나무림들은 각각 토지 극상으로서 그 자체가 유지되거나 참나무 숲으로 천이될 가능성을 보여 남산 지역과 차이를 나타내었다. 남산 소나무림의 종 다양성은 도시 외곽 및 자연 지역의 것보다 낮았다. 이처럼 낮은 종 다양성의 원인은 이 지역의 종 조성을 다른 지역의 것과 다르게 하는데 기여한 몇몇 종의 과도한 번성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러한 차이를 가져온 식물들은 오염된 공업단지에 번성하는 종(때죽나무와 팥배나무), 교란된 지소를 선호하는 종(주름조개풀) 및 외래종(가중나무와 서양등골나물)이었다. 그러한 결과는 남산이 심한 환경 오염과 과도한 인간 간섭에 노출되어 있음을 반영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지홍, 이병천, 이유미. 1996. 남산 및 광릉 산림생태계의 식물 종 다양성의 비교 평가. 한국임학회지 85: 605-618
  2. 박봉규. 1987. 남산공원 (서울)의 식생과 토양요인에 관하여. 자연보존 60: 13-18
  3. 서울특별시. 1992. 남산 제 모습 가꾸기 기본계획. 서울특별시, 서울. 23
  4. 서울시. 2000. 서울시 비오톱 현황조사 및 생태도시 조성 지침. 서울특별시, 서울
  5. 이경재. 1986. 남산공원의 자연환경실태 및 보전대책. 서울특별시, 서울. 78p
  6. 이은복. 1987. 남산의 식물상. 자연보존 59: 36-48
  7. 이창석, 이안나. 2003. 한국에서 수분수지의 생태적 중요성과 대기오염 및 토양 산성화로 인한 식물의 수분스트레스 증대 효과. 한국생태학회지 26: 143-150
  8. 이창석, 조현제, 문정숙, 김재은, 이남주. 1998. 복원 및 경관생태학적 원리에 근거한 남산의 생태공원화 계획. 한국생태학회지 21: 723-733
  9. 이창석. 1995a. 한국 소나무림의 교란체제. 한국생태학회지 18: 179-188
  10. 이창석. 1995b. 한국 소나무림의 교란 후 재생. 한국생태학회지 18: 189-201
  11. 이창석. 1989. 솔잎혹파리 피해 소나무림의 천이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서울
  12. 이창석. 1992. 대기오염으로 파괴된 식생의 복원에 관한 연구 (박사후 과정 연구보고서). 한국과학재단, 서울
  13. 임양재, 박재홍, 한창섭. 1987. 서울 남산의 식생. 중앙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논문집 제1편, 서울
  14. 전병익. 1995. 남산의 식생과 자연보존대책. 광복 50주년 기념 남산 제모습 찾기 학술발표회. 산림청, 서울, pp 1-18
  15. 전영우. 2004.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 소나무. 현암사, 서울
  16. 최기룡. 1998. 한반도 후빙기의 저지대 식생사. 한국생태학회지 21: 169-174
  17. Barbour MG, Burk JH, Pitts WD, Gilliam FS, Schwartz MW. 1999. Terrestrial Plant Ecology, 3 Ed. Addison Wesley Longman, New York
  18. Braun-Blanquet J. 1964. Pflanzensoziologie: Grundzude der Vegetationskunde, 3rd ed. Springer-Verlag, New York
  19. Critchfield, WB, Little, EL. 1966. Geographic distribution of the pines of the world. USDA Forest Service Miscellaneous Publication 991
  20. Environmental System Research Institute (ESRI). 2005. ArcView GIS. Environmental System Research Institute, Inc., New York
  21. Freedman B. 1995. Environmental ecology : The impacts of pollution and other stress on ecosystems structure and function. Bill Freedman, Canada
  22. Grey GW, Deneke FJ. 1986. Urban forestry, 2nd ed.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23. Hill MO. 1979. DECORANA -A FORTRAN program for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 and reciprocal averaging. Cornell University Ithaca, New York
  24. Hong SK, Nakagoshi N. 1996. Biomass changes of a human-influenced pine forest and forest management in agricultural landscape system. Korea J Ecol 19: 305-32
  25. Lee CS, Hong SK. 1998. Changes of landscape pattern and vegetation structure in rural area disturbed by fire. Korean J Ecol 21: 389-399
  26. Lee, CS, Kim JH, Yi H, You YH. 2004. Seedling establishment and regeneration of Korean red pine (Pinus densiflora S. et Z.) forests in Korea.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199: 423- 432 https://doi.org/10.1016/j.foreco.2004.05.053
  27. Lee CS, Moon JS, Hwangbo JK, You YH. 2002. Selection of pollution- tolerant plants and restoration planning to recover the forest ecosystem degraded by air pollution in the industrial complex. Korean J Biol Sci 6: 59-64 https://doi.org/10.1080/12265071.2002.9647634
  28. Lee HW, Lee CS. 2006.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establishment and expansion of the invasive alien species of tree of heaven (Ailanthus altissima) in Seoripool Park, Seoul. Integrative Biol Sci 10: 27-40
  29. Magurran AE. 2004. Measuring biological diversity. Blackwell, New York
  30. Miller RW. 1997. Urban forestry. Planning and managing urban greenspaces. 2nd ed. Prentice-Hall Inc., Landon
  31. Smith WH. 1990. Air pollution and forests. 2nd ed. Springer-Verlag, New York
  32. Swearingen JM. 2006. Tree-of-Heaven. Ailanthus altissima (Mill.) Swingle. Quassia family (Simaroubaceae). Available from www.nps.gov/plants/alien/fact/ aial1.htm
  33. Taoda H. 1979. Effect of urbanization on the green broad-leaved forest in Tokyo, Japan. In: Vegetation and Landschaft Japans (Miyawaki A, Okuda S eds). The Yokohama phytosociological Society, Yokohama. pp 161-165

Cited by

  1. Distribution, vegetation characteristics and assessment of the conservation status of a rare and endemic plant, Coreanomecon hylomeconoides Nakai vol.42, pp.2, 2012, https://doi.org/10.11110/kjpt.2012.42.2.116
  2. Changes of Understory Vegetation Structure for 10 Years in Long-Term Ecological Research Site at Mt. Gyebang vol.103, pp.1, 2014, https://doi.org/10.14578/jkfs.2014.10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