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ving distance

검색결과 996건 처리시간 0.022초

두 이동질량이 단순보의 동특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Two Moving Masses on Dynamic Behavior of a Simple Beam)

  • 윤한익;최창수;임순홍
    • 동력기계공학회지
    • /
    • 제4권4호
    • /
    • pp.70-77
    • /
    • 2000
  • On the dynamic behavior of a simple beam the influences of the velocities and distance of two moving masses have been studied by numerical method. The instant amplitude of a simple beam is calculated and analyzed for each position of the moving masses represented by the time functions. As increasing the velocties of two moving masses on the simple beam, the amplitude of the transverse vibration of the simple beam is decreased and the frequency of the transverse vibration of the simple beam is increased. As the distance between two moving masses increase, the transverse displacement of the simple beam is decrease. The simple beam is very stable in second mode at $\bar{a}=0.5$ and in third mode at $\bar{a}=0.3$.

  • PDF

해상물체탐지시스템 거리오차 보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stance Error Correction of Maritime Object Detection System)

  • 강병선;정창현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39-146
    • /
    • 2023
  • 양식장 부표 등과 같은 해상의 소형 장애물을 탐지하고 거리와 방위를 시각화시켜 주는 해상물체탐지시스템은 선체운동으로 인한 오차를 보정하기 위해 3축 짐벌이 장착되어 있지만, 파도 등에 의한 카메라와 해상물체의 상하운동으로 발생하는 거리오차를 보정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외부환경에 따른 수면의 움직임으로 발생하는 해상물체탐지시스템의 거리오차를 분석하고, 이를 평균필터와 이동평균필터로 보정하고자 한다. 가우시안 표준정규분포를 따르는 난수를 이미지 좌표에 가감하여 불규칙파에 의한 부표의 상승 또는 하강을 재현하였다. 이미지 좌표의 변화에 따른 계산거리, 평균필터와 이동평균필터를 통한 예측거리 그리고 레이저 거리측정기에 의한 실측거리를 비교하였다. phase 1,2에서 불규칙파에 의한 이미지 좌표의 변화로 오차율이 최대 98.5%로 증가하였지만, 이동평균필터를 사용함으로써 오차율은 16.3%로 감소하였다. 오차보정 능력은 평균필터가 더 좋았지만 거리변화에 반응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해상물체탐지시스템 거리오차 보정을 위해 이동평균필터를 사용함으로써 실시간 거리변화에 반응하고 오차율을 크게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동질량과 등분포접선종동력이 외팔보의 동특성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Moving Masses on Dynamic Behavior of a Cantilever Pipe Subuected to Uniformly Distributed Follower Forces)

  • 손인수;윤한익;김현수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80-85
    • /
    • 2002
  • A conveying fluid cantilever pipe system subjected to an uniformly distributed tangential follower force and three moving masses upon it constitute this vibrational system. The influences of the velocities of moving masses, the distance between two moving masses. and the uniformly distributed tangential follower force have been studied on the dynamic behavior of a cantilever pipe system by numerical mettled. The uniformly distributed tangential follower force is considered within its ciritical value of a cantilever pipe without moving masses, and three constant velocities and three constant distance between two moving masses are also chosen. When the moving masses exist on pipe, As the velocity of the moving mass and distributed tangental force increases, the deflection of cantilever pipe conveying fluid is decreased, respectively. Increasing of the velocity of fluid flow make the amplitude of cantilever pipe conveying fluid decrease. After the moving mass passed upon the pipe, the tip displacement of pipe is influenced by the potential energy of cantilever pipe.

  • PDF

소형 공기청정기 하우징의 성형성 향상을 위한 런너시스템 설계 및 스크류 전진 거리 예측 (Design of Runner System and Prediction of Moving Distance of the Screw for the Improvement of Formability of a Housing Part of Small-Size Air Cleaner)

  • 김동인;이호진;안동규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33권12호
    • /
    • pp.1021-1030
    • /
    • 2016
  • The runner system of the injection mould and the injection volume of the injection molding process greatly affect the quality of the produced part. The goal of this paper is the design of the runner system and the prediction of the injection volume for the injection moulding of a housing part of small-size air cleaner to improve the formability through the three-dimensional injection moulding analysis. The effects of the runner system of the mould on the injection moulding characteristics are investigated. From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a proper design of the runner system with uniform filling characteristics and the minimized defect formation is obtained. In addition, the influence of the moving distance of the screw on filling characteristics, weldline formation and deformation characteristics is examined. From the results of the examination, an appropriate moving distance of the screw for the housing part of small-size air cleaner is estimated.

사거리를 이용한 상향, 하향 계단 검출 방법 (Upward, Downward Stair Detection Method by using Obliq ue Distance)

  • 구본근;이하은;권혁민;유지현;이다호;김태훈
    • Journal of Platform Technology
    • /
    • 제10권2호
    • /
    • pp.10-19
    • /
    • 2022
  • 이동의 불편을 겪는 사람을 위한 휠체어 등 이동 보조 장치들이 전동화, 자동화되고 있다. 이러한 이동 보조 장치는 평지 이동에 적합하도록 설계, 제작되어 있어 바닥 면의 높이가 다른 계단 구간의 이동에 적합하지 않다. 전동화, 자동화된 이동 보조 장치는 전방에 계단이 있는 경우 이동 방향을 변경하거나 정지해야 한다. 만약 사용자 또는 자동 제어 시스템이 적절한 시간 내 방향 전환 또는 정지하지 않으면 계단과 충돌 또는 구르는 등의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 개의 거리 측정 센서를 이용하여 바닥 면까지의 사거리를 측정하여 계단을 검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사거리 측정을 위해 센서를 기울이는 각도와 센서가 이동 보조 장치 등의 이동체에 설치되는 높이 등의 매개변수를 고려하여 평지일 때 사거리의 예측 값과 측정값 사이의 차이를 이용하여 상향 계단 또는 하향 계단을 검출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으로 검출된 계단에 대한 정보가 정보를 전동화, 자동화된 이동 보조 장치의 제어기에 제공되면 제어기가 적절한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어 이동 보조 장치가 계단 구역 진입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Fluid flow profile in the "orthotropic plate+compressible viscous fluid+rigid wall" system under the action of the moving load on the plate

  • Akbarov, Surkay D.;Huseynova, Tarana V.
    • Coupled systems mechanics
    • /
    • 제9권3호
    • /
    • pp.289-309
    • /
    • 2020
  • The paper studies the fluid flow profile contained between the orthotropic plate and rigid wall under the action of the moving load on the plate and main attention is focused on the fluid velocity profile in the load moving direction. It is assumed that the plate material is orthotropic one and the fluid is viscous and barotropic compressible. The plane-strain state in the plate and the plane flow of the fluid is considered. The motion of the plate is described by utilizing the exact equations of elastodynamics for anisotropic bodies, however, the flow of the fluid by utilizing the linearized Navier-Stokes equations. For the solution of the corresponding boundary value problem, the moving coordinate system associated with the moving load is introduced, after which the exponential Fourier transformation is employed with respect to the coordinate which indicates the distance of the material points from the moving load. The exact analytical expressions for the Fourier transforms of the sought values are obtained, the originals of which are determined numerically. Presented numerical results and their analyses are focused on the question of how the moving load acting on the face plane of the plate which is not in the contact with the fluid can cause the fluid flow and what type profile has this flow along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strip filled by the fluid and, finally, how this profile changes ahead and behind with the distance of the moving load.

유체유동 외팔 파이프의 고유진동수에 미치는 이동질량들의 영향 (The Influence of Moving Masses on Natural Frequency of Cantilever Pipe Conveying Fluid)

  • 윤한익;손인수;진종태;김현수
    •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 /
    • 제12권11호
    • /
    • pp.840-846
    • /
    • 2002
  • The vibrational system of this study is consisted of a cantilever pipe conveying fluid, the moving masses upon it and an attached tip mass. The equation of motion is derived by using Lagrange equation. The influences of the velocity and the number of moving masses and the velocities of fluid flow in the pipe have been studied on the natural frequency of a cantilever pipe by numerical method. As the size and number of a moving mass increases, the natural frequency of cantilever pipe conveying fluid is decreased. When the first a moving mass Is located at the end of cantilever pipe, the increasing of the distance of moving masses make the natural frequency increase at first and third mode, but the frequency of second mode is decreased. The variation of natural frequency of the system is decreased due to increase of the number of a moving mass. The number and distance of moving masses effect more on the frequency of higher mode of vibration.

스마트폰 기반의 이동상황 판별을 위한 유클리디안 거리유사도의 응용 (Application of Euclidean Distance Similarity for Smartphone-Based Moving Context Determination)

  • 장영환;김병만;장성봉;신윤식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53-63
    • /
    • 2014
  • 이동 컴퓨팅 환경에서 사용자 움직임 판별은 해결해야 할 중요한 이슈중의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는 유클리디안 거리 유사도를 이용하여 스마트폰 사용자의 움직임을 인식하고 판별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한다. 제안된 방법에서는 GPS와 가속 센서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정지, 걷기, 뛰기, 차량이동을 판별한다. 제안된 방법의 타당성과 효율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안드로이드 시스템에 유클리디안 거리 유사도의 여러 변형을 이용한 응용프로그램을 구현하여 그 정확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사용자 움직임 종류를 90% 이상의 정확도를 가지고 판별해 내었다.

스테레오 라인 CCD를 이용한 이동객체감지 및 경로추적 시스템 구현 (Realization for Moving Object Sensing and Path Tracking System using Stereo Line CCDs)

  • 류광렬;김영빈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2050-2056
    • /
    • 2008
  • 본 논문은 스테레오 라인 CCD와 광원을 이용한 2차원 평면에서 이동객체를 인식하고 이동경로를 추적하는 시스템 구현이다. 시스템 구현은 카메라 이미지를 직접 처리하는 대신 두개의 라인 CCD 센서와 입력된 라인 이미지의 밝기를 비교하여 2차원 거리를 측정한다. 알고리듬은 이동객체감지, 경로추적과 좌표변환 기법을 적용한다. 객체의 이동경로를 효과적으로 감지하기 위하여 측정된 거리의 신뢰성을 평가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시스템을 구현하여 실험한 결과 5mm 인식율과 100ms 주기 이상의 이동객체경로 추적이 가능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