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vie Information

검색결과 582건 처리시간 0.033초

증강 책을 위한 적응형 키프레임 기반 트래킹 (Adaptive Keyframe-Based Tracking for Augmented Books)

  • 유재상;조규성;양현승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16권4호
    • /
    • pp.502-506
    • /
    • 2010
  • 증강 책(Augmented book)이란, 컴퓨터 그래픽 기술로 생성된 3D 물체, 동영상, 소리영상과 같은 멀티미디어 요소들을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실제 책에 증강시킨 책을 말한다. 증강 책은 책을 읽는 독자들에게 흥미를 유발시키고, 책에 좀 더 몰입할 수 있도록 하여, 교육 및 엔터테인먼트 효과를 증대시키는 것이 목적이다. 증강 책을 위한 기술은 크게 페이지 인식 그리고 페이지 트래킹으로 나눌 수 있는데, 본 논문에서는 페이지가 인식된 후, 정교한 페이지 트래킹을 위한 카메라의 6 자유도 자세를 추정하기 위해 적응형 키프레임 기반 페이지 트래킹 기술을 제안한다. 페이지가 인식된 이후에는 트래킹을 위해 가장 알맞은 키프레임을 선정한 후 coarse-to-fine의 두 단계에 걸쳐 트래킹을 수행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논문에서 제안된 트래킹 방법은 시점 변화와 조명 변화에 좀 더 강인하고 실시간성을 보장한다.

평가의 시간 순서를 고려한 강화 학습 기반 협력적 여과 (A Reinforcement Learning Approach to Collaborative Filtering Considering Time-sequence of Ratings)

  • 이정규;오병화;양지훈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9B권1호
    • /
    • pp.31-36
    • /
    • 2012
  • 최근 사용자의 흥미에 맞는 아이템이나 서비스를 추천해 주는 추천 시스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최근 종료된 Netflix 경연대회(Netflix Prize)가 이 분야에 대한 연구자들의 연구 의욕을 고취시켰고, 특히 협력적 여과(Collaborative Filtering) 방법은 아이템의 종류에 상관없이 적용 가능한 범용성 때문에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은 강화 학습을 이용해서 추천 시스템의 협력적 여과 문제를 푸는 방법을 제안한다. 강화 학습을 통해, 영화 평점 데이터에서 각 사용자가 평점을 매긴 순서에 따른 평점 간의 연관 관계를 학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협력적 여과문제를 마르코프 결정 과정(Markov Decision Process)로 수학적으로 모델링하였고, 강화 학습의 가장 대표적인 알고리즘인 Q-learning을 사용해서 평가의 순서의 연관 관계를 학습하였다. 그리고 실제로 평가의 순서가 평가에 미치는 영향이 있음을 실험을 통해서 검증하였다.

MPEG 비디오의 통계적 특성을 이용한 검색 시스템 (Retrieval System Adopting Statistical Feature of MPEG Video)

  • 유영달;강대성;김대진
    • 전자공학회논문지CI
    • /
    • 제38권5호
    • /
    • pp.58-64
    • /
    • 2001
  • 현재 많은 정보들이 비디오 데이터로 전송 또는 저장되고 있으며 고성능 PC의 보급과 internet과 같은 통신망의 대중화로 이런 비디오 데이터는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런 비디오 데이터의 검색을 위하여 비디오 스트립을 분석하여 shot을 찾아내고 이들 중 key frame을 찾는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고 이로서 사용자의 질의에 부합하는 비디오를 검색한다. 본 논문에서는 shot 경계 검출을 위해 객체의 움직임에 강인하면서 shot 내에서의 칼라의 변화에 둔감한 새로운 feature를 제안하고, shot frame에서 구한 각 feature들의 통계적 특성을 이용하여 스트립의 특징에 따라 weight를 부가하여 구해진 characterizing value의 시간 변화량을 구한다. 구해진 변화량의 local maxima와 local minima는 비디오 스트림에서 각각 가장 특정적인 frame과 평균적인 frame을 나타낸다. 이 순간의 short frame을 구함으로서 효과적이고 빠른 시간 내에 key frame을 추출한다. 추출되어진 key frame에 대하여 원 영상을 복원한 후, 색인을 위하여 다수의 parameter를 구하고, 사용자가 질의한 영상에 대해서 이들 parameter를 구하여 key frame들과 가장 유사한 대표영상들을 검색한다. 실험결과 일반적인 방법보다 더 나은 결과를 보였고, 높은 검색율을 보였다.

  • PDF

PC 및 PDA 브라우저 지원을 위한 XML 기반의 웹 컨텐츠 개발 사례 연구 (A Case Study of Developing XML-based Web Contents Supporting PC and PDA Browser)

  • 김경아;용환승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3권1호
    • /
    • pp.59-74
    • /
    • 2002
  • PDA, 휴대폰 등 무선 기기의 발달과 대중화와 더불어 무선 인터넷의 사용이 활성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기존 PC 브라우저뿐만 아니라 PDA등에서 검색할 수 있는 웹 컨텐츠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풍부한 양질의 컨텐츠 제공을 위해 이미 제작된 유선 인터넷용 컨텐츠를 무선 인터넷에도 제공하기 위해 컨텐츠 변환 솔루션과 마크업 언어 통합 등의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기종 단말기를 지원하는 웹 컨텐츠 제작을 위해서 XSLT 엔진으로서 공개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기 때문에 고비용의 부담이 없고, 사용하기에도 간편하여 기존 HTML을 사용하는 웹 프로그래머들도 DTD와 XSL에 대한 기본적인 사항만 학습하면 쉽게 사용할 수 있는 XML 기반의 웹 컨텐츠 제작 기법을 사례 개발을 통해 제안한다.

  • PDF

영화 관객 수 예측을 위한 기계학습 기법의 성능 평가 연구 (A Study on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Machine Learning for Predicting the Number of Movie Audiences)

  • 정찬미;민대기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49-63
    • /
    • 2020
  • 영화 제작에 막대한 비용이 투입되지만 관객수요는 매우 불확실하기 때문에 개선된 수요예측은 수익 개선을 위한 의사결정의 중요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영화의 개봉 후 수요를 예측함에 있어 기계학습 기법의 적용 타당성을 예측 성능의 관점에서 검증하였다. 분석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안변수에 대한 통계적 검증 결과 기본 영화 특성(감독, 배우)과 함께 개봉 후 2주차까지의 스크린수, 상영횟수, 관객수, 주요 배우에 대한 관심도 등 시계열 자료가 수요예측에 유의미한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Random Forest Classifier와 SVM(Support Vector Machine) 등 분류 기반 기계학습 기법과 Random Forest Regressor와 k-NN Regressor와 같은 회귀모형 기반 기계학습 기법에 적용하여 예측 성능을 평가한 결과, Random Forest 기법이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셋째, 누적관객수가 1분위보다 작은 영화에서 회귀모형 기반 기법은 낮은 예측 정확도를 보였으며, 분류기반 기법은 반대로 가장 우수한 결과를 얻었다. 즉, 영화 수요의 분포 특성에 따라서 차별화된 기계학습 기법을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소셜 빅데이터 분석과 기계학습을 이용한 영화흥행예측 기법의 실험적 평가 (An Experimental Evaluation of Box office Revenue Prediction through Social Bigdata Analysis and Machine Learning)

  • 장재영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167-173
    • /
    • 2017
  • 인공지능으로 대표되는 4차 산업혁명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사회 전반에 빅데이터 및 머신러닝 활용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다. 이러한 움직임은 다양한 분야에서의 예측 시스템 개발로 현실화되고 있다. 특히 영화 산업에서는 투자, 마케팅 등에 활용을 위해 흥행 여부를 사전에 예측하고자하는 여러 가지 시도가 있어왔다. 예전에는 영화에 대한 정적 데이터만을 고려한 예측이 주류를 이뤘으나, 최근에는 실시간으로 생성되는 소셜 데이터를 활용하여 예측하고자하는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영화의 정적 데이터와 더불어 기사, 블로그, 영화평 등 다양한 피드백 정보를 활용한 예측 기법을 제안한다. 또한 제안한 기법을 활용하여 상대적으로 흥행에 성공한 영화만을 대상으로 이들의 흥행정도를 정량적으로 추정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실험적으로 평가하였다.

<올란도>- 양성의 융합과 조화 - ( - Unity and Harmony of Male and Female)

  • 최선화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7권3호
    • /
    • pp.127-137
    • /
    • 2017
  • 샐리 포터의 영화 〈올란도〉는 버지니아 울프의 "올란도"를 영화로 재편성한 것으로 남녀의 경계를 넘나들며 400여년을 살아가는 영국 귀족의 전기를 다루고 있다. 먼저 울프는 소설을 통해 남성과 여성, 양성을 가진 주인공을 통해 가부장적 사회의 이데올로기를 면밀히 관찰하고 있는 데, 감독 샐리 포터는 소설을 정교하게 재해석할 뿐만 아니라, 영화 전문지식을 사용하여 작가의 페미니즘을 잘 표현하고 있다. 영화에서 가장 극명하게 보여주고 있는 것은 단순한 이야기 구조로 400여년을 살아가는 주인공을 그리고 있으며, 주인공 올란도가 남성에서 여성으로 양성을 자유롭게 여행하는 것은 페미니즘 뿐만 아니라 여성과 남성의 융합과 조화의 상징이라는 것을 잘 표현하고 있다. 이에 본고는 소설 "올란도"와 이를 재해석한 영화 <올란도>를 비교하며 영화에서 궁극적으로 시사하고 있는 페미니스트적 관점과 나아가 한 개인의 성은 여성과 남성이라는 대립구조의 이분법적 관계가 아닌 양성의 융합이 이루어내는 조화라는 것을 고찰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융합의 관점에서 양성을 살펴보는 데, 그 의의가 크다.

3D 콘텐츠 깊이 측정기를 이용한 오브젝트의 돌출거리 측정 (Measuring Perceived Depth For The Object Using 3D Content Depth Measuring Instrument)

  • 한동희;강행봉;김석호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6권9호
    • /
    • pp.1109-1118
    • /
    • 2013
  • 최근 들어 S3D 콘텐츠가 광범위하게 대중화되고 있다. 하지만, 일부의 사람들은 3D 정보를 정확하게 인지하지 못하고 있다. 기존의 입체시 검사 도구는 입체의 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테스트만 수행하고, 피험자가 인지하는 정확한 깊이 정보를 측정할 수 없다. 따라서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검사도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3D 콘텐츠 깊이 측정기 및 측정기에 적합한 3D 콘텐츠를 제작하고, 3D 오브젝트의 양안시차(disparity)에 대한 피험자가 인지하는 3D 오브젝트의 돌출거리를 측정하고, 이론값(예측값)과 측정값을 비교 및 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측정값은 이론값보다 약간 크게 나타났으며, 돌출거리가 클수록 편차가 크게 나타났다.

셔레이드 기법이 인물의 성격구축 결정에 미치는 영향 : 영화 "4월 이야기"를 중심으로 (Effect of Charade Techniques on a Character's Personality Development : Focusing on the Movie "April Story")

  • 김성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127-141
    • /
    • 2012
  • 영화에 있어서 등장인물은 곧 영화의 구성이며 이야기를 이끌어 나가는 주요한 요소이다. 인물은 성격 묘사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인물의 연령과 배경 그리고 학력, 직업은 성격을 판단하는 자료가 된다. 셔레이드가 중요한 이유는 셔레이드 기법을 쓰면 대사나 나레이션으로 설명하는 것보다도 훨씬 강한 인상으로 인물의 심리를 표현 할 수가 있다. 인간은 생각이 바뀌어야 행동이 바뀌고 행동이 반복되면 습관이 되고 습관이 반복이 되면 성품이 되는 것이다. 성품은 곧 인물의 성격, 캐릭터라 부른다. 셔레이드 기법이 인물의 심리를 잘 표현하는 것이기에 인물의 성격구축에 중요한 축을 유지 하고 있고 인간 심성과 심리적인 심층묘사는 곧 인물의 성격 구축과 일맥상통하는 것이기에 본 연구를 통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이와이 슈운지 감독의 "4월 이야기"를 텍스트로 선택하여 인물들이 행하는 섬세한 셔레이드 연기기법을 통해 인물의 성격을 어떻게 구축하는지의 방법론을 찾아 제시하여 작품 속의 셔레이드 기법이 인물의 성격구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하겠다.

멀티플랙스 영화관 선택속성의 중요도-성취도 분석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of Multiplex Cinema Attributes)

  • 김재홍;고선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587-595
    • /
    • 2018
  • 본 연구는 멀티플렉스 영화관 관람객을 대상으로 영화관 선택속성에 대한 중요도 및 성취도를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이에 멀티플렉스 영화관을 방문하여 영화를 관람하고자 하는 관람객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하였으며 유의한 차이가 있는 속성과 각 선택 속성들 간의 순위를 살펴보았다. 또한 요인분석을 통하여 주요서비스, 인적서비스, 물리적 환경, 보조서비스의 4가지 하위요인을 도출하였으며,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기법을 이용하여 집중 영역, 유지 영역, 저순위 영역, 과잉노력 지양 영역의 항목들을 도출하였다. 분석결과는 아래와 같다. 제 I사분면은 노력집중영역은 상영시간대의 다양성, 상영영화장르의 다양성, 모바일 앱 이용의 편리성, 주차시설의 규모와 편리성으로 나타났다. 제 II사분면인 지속유지 영역은 웹사이트 예매의 편리성, 카드제휴를 통한 할인혜택, 직원의 친절성, 직원의 정확한 서비스 정보전달, 편안한 좌석, 스크린 크기, 영화관 사운드 품질, 주변 환경과의 연계성, 대중교통의 편리성 등으로 나타났다. 제 III사분면인 저순위 영역은 멤버십제도, 직원복장의 단정함, 대기시간을 위한 휴식 공간, 주변접근성, 스넥코너의 다양성, 전반적 청결도로 나타났다. 제 IV사분면은 과잉노력 지양 영역으로 상영관 온도의 적정성과 서비스 숙련도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