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uthguard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27초

Lesch-Nyhan syndrome 환아의 oral self-mutilation에 대한 증례보고 (ORAL SELF-MUTILATION IN THE LESCH-NYHAN SYNDROME : CASE REPORT)

  • 전진용;이제호;최형준;최병재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51-156
    • /
    • 1999
  • 1. 하순에 심한 self-mutilation wound를 야기한 Lesch-Nyhan syndrome 환아에서 상하악 유전치에 치관부 절단 및 치수 절제술을 시행하여 치아에 의한 자해를 방지하였다. 2. 장치를 이용한 치료가 어려운 경우 발치가 고려되기도 하나 본 증례에서는 발치보다 보존적인 술식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다.

  • PDF

구강보호장치에 관한 인식도 조사 (The Survey for the Knowledge of Mouth Protector to the Sports Player in Korea)

  • 황선달;이성복;김형섭;최대균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3권3호
    • /
    • pp.205-218
    • /
    • 2007
  • Statement of problem, and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make good foundations for better development of mouth guards by surveying, analyzing and finding the understanding or opinions of athletes on mouth guards. Material and Methods: 617 sports players comprised the data base of the Survey, 230 contact sports, 387 non-contact sports. We surveyed and analyzed by asking following questions for athletes. 1. The sort of sports in which the player is majoring. 2. How long the players career is. 3. Whether the player has received prize or not. 4. The condition of stomatognathic system. 5. His or her eating habits. Results and conclusion: 1. Inconveniences should be minimized in wearing mouth guards. 2. The differential designs are thought to be needed for different sort of sports and for frequently affected regions 3. The changes in acknowledgment of athletes in mouth guards is necessary, that is mouth guard is very important & essential to prevent or minimize the traumatic damages. 4. Keeping in intimate and close contact with related athletic associations and putting athletes under the obligation to wear it for themselves, should be required.

구강보호 장치에 관한 인식도 조사 (The Survey for the Knowledge of Mouth Protector to the Sports Player in Korea.)

  • 황선달;이성복;김형섭;최대균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3권2호
    • /
    • pp.105-117
    • /
    • 2007
  • Statement of problem,and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make good foundations for better development of mouth guards by surveying, analyzing and finding the understanding or opinions of athletes on mouth guards. Material and Methods: 617 sports players comprised the data base of the Survey, 230 contact sports, 387 non-contact sports. We surveyed and analyzed by asking following questions for athletes. 1. The sort of sports in which the player is majoring. 2. How long the players career is. 3. Whether the player has received prize or not. 4. The condition of stomatognathic system. 5. His or her eating habits. Results and conclusion: 1. Inconveniences should be minimized in wearing mouth guards. 2. The differential designs are thought to be needed for different sort of sports and for frequently affected regions 3. The changes in acknowledgment of athletes in mouth guards is necessary, that is mouth guard is very important & essential to prevent or minimize the traumatic damages. 4. Keeping in intimate and close contact with related athletic associations and putting athletes under the obligation to wear it for themselves, should be required.

자해로 인한 구강내 손상의 치과적 조절 : 증례 보고 (THE DENIAL MANAGEMENT OF SELF-INFLICTED ORAL MUTILATION)

  • 이상익;김영재;이상훈;김종철;한세현;장기택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44-250
    • /
    • 2005
  • 자해 행위(self-injurious behavior)란 자살 의도 없이 자신의 신체 일부를 무의식적 혹은 고의로 손상시키는 것으로 정의한다. 이는 머리 및 몸 때리기, 피부 절단 혹은 손가락 깨물기 등의 형태로 나타나며, 눈, 성기 및 구강 내 자해 행위(self-inflicted oral mutilation)를 포함한다. 자해 행위는 일반적으로 정신지체, 혼수상태, 정신과적 문제, 약물의 독성 혹은 성격장애를 지닌 환자에게서 일어날 수 있다. 소아환자에서 자해 행위는 보통 입술, 협점막 및 혀 깨물기 등이 보고되고 있으며, 이러한 구강 내 자해 행위를 방지하기 위해 치과적 조절 방법들이 소개되고 있다. 본 증례에서는 구강 내 자해 소견을 보인 두 명의 소아환자들에 대해, 각각 변형된 activator 형태의 가철성 장치, 후방으로 연장된 tongue-rake 장치 및 mouthguard 등을 사용하여 양호한 치유과정을 보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수종 치아미백제가 구강내에서 법랑질의 미세경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ooth Bleaching Agents on Microhardness of Enamel in situ)

  • 박윤우;박세희;김진우;조경모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1권6호
    • /
    • pp.470-476
    • /
    • 2006
  • 본 연구는 치아미백용 2.6% hydrogen peroxide 부착대와 통상 home bleaching용으로 안전하다고 알려진 10% carbamide peroxide 미백젤이 법랑질 미세경도에 미치는 영향을 미백을 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 평가하기위하여 시행되었다. 최근에 발거한 사람의 상악 절치 20개를 사용하여 가로, 세로 2 mm의 정사각형 치아편을 각 치아에서 3개씩 절단, 채득한 후 교정용 bracket에 고정하여 시편을 제작하였다. 자원자는 20명을 선정하였고, 각각의 자원자의 치아에 동일 치아에서 제작한 시편이 부착된 bracket을 순면 중앙에 부착하였으며 상악 우측 측절치에 젤을 이용한 군 (Opalescence tooth whitening gel, Ultradent Product Inc, South Jordan, USA), 상악 우측 중절치에 미백을 하지 않은 대조군, 상악 좌측 중절치에 부착대를 이용한 군 (Claren, LG Household & Health Care, Seoul, Korea)을 부착 시켰다. 젤을 이용한 군은 bracket이 부착된 치아에 맞게 상악 우측 측절치부터 우측 소구치까지를 덮는 mouthguard tray를 제작하여 매일 동일시간에 2시간씩 14일 동안 미백을 시행하였으며, 대조군은 부착 28일 동안 미백 치료 없이 구강 내에 위치시켰다. 부착대를 이용한 군은 bracket의 시편을 덮을 수 있는 크기로 상악용 Claren을 절단하여 오전, 오후 각각 30분씩 하루 두 번 부착하여 14일 동안 미백을 시행하였다. 각군 모두 bracket부착 전, 미백 14일 후, 재광화 14일 후의 미세경도를 측정하였으며 측정된 값을 이용하여 미세경도 변화 양상과 변화량을 비교 평가하였다. 치아미백용 2.6% hydrogen peroxide 부착대와 젤 형태의 10% carbamide peroxide 미백제의 미백 전, 미백후, 재광화 후 미세경도 변화 양상이 미백을 하지 않은 대조군과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p > 0.05) 미백 전과 미백 후의 미세경도의 차이 미백후와 재광화 후의 미세경도의 차이도 유의할 만한 차이가 없었다 (p > 0.05). 따라서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whitening strip과 미백 젤은 14일 동안의 통상적인 미백과정 동안 법랑질의 미세경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