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torcycle

검색결과 215건 처리시간 0.024초

이륜자동차 스탠드/번호판/튜닝금지 안전기준에 관한 연구 (Investigation of Safety Standards for Motorcycle Stand, Rear Registration Plate and Anti-tampering Measures)

  • 신재호;김경진;용부중
    • 자동차안전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6-11
    • /
    • 2018
  • Recently, many drivers of two-wheeled motorcycles in leisure and express delivery industries etc. brought increasing issues for the motorcycle safety. This paper has studied the structural safety of two-wheeled motorcycles considering the regulations for stand, rear registration plate and anti-tampering measures. The authors have investigated and compared a variety of international and domestic regulations and specifications for structural safety of those components. Detailed experimental procedures of stand, mounting for rear registration plate and anti-tampering measures are proposed to secure the two-wheeled motorcycle safety and the outcome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confirm the Korean motor vehicle safety standards.

오토바이의 머플러 형상별 구조적 안정성 (Structural Safety by Shape of Motorcycle Muffler)

  • 한문식;조재웅
    • 한국기계가공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72-80
    • /
    • 2020
  • This study performs structural and vibrational analyses on three models of motorcycle mufflers, A, B, and C, due to the pressure of exhaust gases. Model A is the common model seen on motorcycles, model B is a model with a longer outlet, and model C is a model with some curved outlets. This research shows that all models have sufficient strength at the given loading condition, and model A has the highest durability against vibration among three models. The appropriate configuration can be determined to be the most efficient by applying this result to the design of motorcycle muffler.

COMPLEX STOCHASTIC WHEELBASE PREVIEW CONTROL AND SIMULATION OF A SEMI-ACTIVE MOTORCYCLE SUSPENSION BASED ON HIERARCHICAL MODELING METHOD

  • Wu, L.;Chen, H.L.
    • International Journal of Automotive Technology
    • /
    • 제7권6호
    • /
    • pp.749-756
    • /
    • 2006
  • This paper presents a complex stochastic wheelbase preview control method of a motorcycle suspension based on hierarchical modeling method. As usual, a vehicle suspension system is controlled as a whole body. In this method, a motorcycle suspension with five Degrees of Freedom(DOF) is dealt with two local independent 2-DOF suspensions according to the hierarchical modeling method. The central dynamic equations that harmonize local relations are deduced. The vertical and pitch accelerations of the suspension center are treated as center control objects, and two local semi-active control forces can be obtained. In example, a real time Linear Quadratic Gaussian(LQG) algorithm is adopted for the front suspension and the combination of the wheelbase preview and LQG control method is designed for the rear suspension. The results of simulation show that the control strategy has less calculating time and is convenient to adopt different control strategies for front and rear suspensions. The method proposed in this paper provides a new way for the vibration control of multi-wheel vehicles.

국내 이륜자동차 안전기준 개발 : 후사경과 타이어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Motor Vehicle Safety Standards for Motorcycles : Exterior Rear-View Mirror and Tire)

  • 용부중;용기중;신재호;류기현
    • 자동차안전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6-21
    • /
    • 2016
  • As motorcycles are getting more widely used recently, motorcycle accidents are gradually increased every year. Although most accidents are caused by human factors, the importance of motor vehicle safety standards cannot be underestimated indeed. A variety of regulations related to motorcycle safety have been issued in many countries such as EU, U.S., and Australia, etc. In order to harmonize the international safety standards, it is necessary to develop or enhance the Korean Motor Vehicle Safety Standards (KMVSS) for motorcycles. In this study, motorcycle safety standards for an exterior rear-view mirror and a tire are investigated. Actual test procedures are expected in sequential studies according to the results provided herein. Also, the findings in this paper can be utilized to ensure the KMVSS for a safer driving.

ZAM을 이용한 국내 회전교차로 오토바이 사고모형 (Motorcycle Accident Model at Roundabout in Korea using ZAM)

  • 박병호;임진강;나희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07-113
    • /
    • 2014
  •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accident models of motorcycle at roundabouts. In the pursuing the above, this study gives particular attentions to developing the appropriate models using ZAM.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valuation of various developed models by the Vuong statistic and over-dispersion parameter shows that ZINB is analyzed to be optimal among Poisson, NB, ZIP(zero-inflated Poisson) and ZINB regression models. Second, the traffic volume, width of central island and width of approach are evaluated to be important variables to the accidents. Finally, the common variables that affect to the accident are selected to be traffic volume and width of approach. This study might be expected to give some implications to the accident research on the roundabout by motorcycle.

이륜자동차 주행행태 분석 연구 (Analysis on Motorcycle Driving Behavior)

  • 김형규;김진태;박준태;이수범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7-15
    • /
    • 2011
  • 도심 교통체증 감소와 물류의 신속한 이동을 위해 1990년대 초반 등장한 퀵서비스산업은 이륜자동차의 증가를 가속화 했으며, 경제발전에 따라 250CC 이상 대배기량의 이륜자동차들도 레저용으로 급증하고 있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사고발생추세에서 전체교통사고대비 2005년 5.7%, 2008년 8.3%로 점차 증가추세를 보이며 사망률 또한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륜자동차의 자동차전용도로 통행에 대한 위험도를 알아보고자 서울시 연속류 도로를 대상으로 이륜자동차의 법규위반율과 차로변경 행태, 주행속도 행태를 분석하였으며 사고시의 차량충격량을 PCCRASH 시뮬레이션으로 산출하였다. 분석 결과, 차로변경시간과 평균통행속도가 일반차량과 상이하며 도로정체가 발생할 경우 부적절한 주행행태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의 이륜자동차 자동차전용도로 허용 검토에 있어 본 연구는 허용여부를 판단하는데 도움이 되며 이륜자동차의 주행 행태를 연구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이륜자동차의 대기오염물질 배출계수 산정을 위한 연구 (Estimation of Air Pollutant Emission Factors for Motorcycle)

  • 임재현;김현민;이상문;강희준;임윤성;서충열;김종춘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69-76
    • /
    • 2010
  • While increased use of motor cycles in the recent years for various demands could worsen air quality, only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estimation of emission factors and characterization of emissions from motorcycle. In this study, emissions from selected six models of motorcycle based on largest market share and production rate were investigated. To investigate gaseous and carbonaceous air pollutants, such as carbon monoxide (CO), total hydrocarbon (THC), nitrogen oxide ($NO_x$), elemental carbon (EC) and organic carbon (OC), total 124 motorcycles between 2003 and 2007 model year were tested with regulatory driving conditions, such as CVS-40 and CVS-47 mode. These motorcycles were further sub-categorized based on their displacement (< 50 cc, 50~150 cc, and $\geq$ 150 cc), type of stroke (2- and 4 strokes) and model year (2003~2005 and 2006~2007). Tested motorcycles with recent model year (2006~2007) exhibited less emissions of regulatory gaseous and carbonaceous air pollutants compared to old model year (2003~2005). Chemical analysis showed that CO present in highest concentration followed by THC and $NO_x$ for all tested motorcycles. Interestingly, two strokes motorcycle produced higher THC emission but less CO and $NO_x$ than those of four strokes. For all types of displacement and stroke, emission factors (gram per kilometer) of THC and CO except $NO_x$ with recent model year (2006~2007) showed decreased trend compared to old model year (2003~2005). In addition to this, due to mixed combustion between gasoline fuel and lubricant, two strokes motorcycle showed OC > EC emission trend.

의무기록 정보를 활용한 노인 오토바이 운수사고의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Motorcycle Accident among Korean Elderly using Medical Record Information)

  • 김혜랑;이무식;박아르마;김광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1권2호
    • /
    • pp.17-25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 오토바이 운수사고 입원환자의 노인분류에 따른 특성을 분석하여 노인 오토바이 운수사고의 손상 예방 대책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의 제공에 있다. 2015년~2019년의 질병관리청 퇴원손상심층조사 자료 중 오토바이 운수사고로 입원한 노인 입원환자 1,384명을 대상으로 카이제곱검정, 독립표본 t-검정, 정준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진료 및 치료 정보 특성은 연소 노인과 고령 노인 모두 두개내 손상(S06)이 많았고, 손상 부위와 손상 유형은 각각 머리/목, 골절이 가장 많았다. 손상 발생 장소는 길/간선도로, 손상 시 활동은 이동중이 가장 많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볼 때, 노인 오토바이 운수사고의 특성을 파악하여 이들을 집중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국가적 차원의 예방 교육 및 정책 수립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 연구는 손상 예방과 감소를 위한 대책 마련 및 정책 개발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경찰 오토바이 순찰활동의 효과성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ffectiveness Perception of Police Motorcycle Patrol)

  • 임창호
    • 시큐리티연구
    • /
    • 제40호
    • /
    • pp.147-174
    • /
    • 2014
  • 우리나라 경찰은 차량순찰을 중점적으로 실시하고 도보순찰 및 오토바이 순찰을 병행하여 활용하고 있으나, 오토바이 순찰은 차량순찰과 도보순찰의 장점을 혼합한 것이어서, 오토바이 순찰을 효과적으로 활용한다면 순찰범위를 더욱 확대하고 지역주민과의 친밀성도 증진시킬 수 있다고 여겨진다. 이 연구의 목적은 경찰 오토바이 순찰활동의 주요요소들 중에서 어떤 요소들이 그 효과성 인식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경찰오토바이 순찰활동의 효과성 인식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들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2013년 9월에 오토바이 순찰활동을 집중적으로 실시했던 대전지방경찰청에 근무하는 경찰관 139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고, 독립변수로는 경찰관과 주민간 친밀성, 순찰장비의 우수성, 대응의 신속성, 순찰방법의 적절성이라는 4개 변수가 선정되었으며, 종속변수는 경찰 오토바이 순찰활동의 효과성 인식이다. 회귀분석의 결과, 종속변수인 경찰 오토바이 순찰활동의 효과성 인식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는 대응의 신속성, 순찰방법의 적절성, 순찰경찰관과 주민간 친절성 3개 변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 연구의 분석결과에 기초해서, 경찰 오토바이 순찰활동의 효과성 인식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대응의 신속성을 증진시키고 순찰방법의 적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 순찰경찰관에게 주민간 친절성의 가치를 인식시킬 필요가 있다.

  • PDF

경찰 오토바이 시뮬레이터 시스템에서 피드백 큐 생성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eedback Queue Generation Method in Police Motorcycle Simulator System)

  • 안동혁;조성현;정양권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827-836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기동 순찰대 오토바이 가상훈련 시스템 구현의 개발 기술을 바탕으로 PC를 기반으로 한 모터사이클 시뮬레이터를 개발하였다. 이 시뮬레이터는 초보의 운전교육을 비롯하여 운전자 인자연구, 그리고 고급 모델에서나 볼 수 있는 ABS와 같은 시스템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기동 순찰대에서 운영하고 있는 오토바이의 중량이 400Kg 이상으로 사전 연습이 없이는 업무 특성상 많은 위험을 내재하고 있어 이에 대한 최적의 시뮬레이터의 개발과 구성에 대한 연구 필요성에 따라 주의 분산, 상시 출동태세 유지에 따른 정신적 육체적 스트레스, 비상 출동 상황에서의 시간적 압박 등을 극복할 수 있는 가상훈련 시스템 구현하고 그 활용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모터사이클 시뮬레이터를 현실감 있게 직접 운전하고 있다는 느낌을 받도록 하기 위해서는 운전자와 시뮬레이터 사이에서 상호 신뢰성 있는 신호의 전달 및 조작 느낌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 실차와 동일한 조작 느낌을 생성하기 위하여 실차의 각 서브시스템이 모터사이클 시뮬레이터에 그대로 적용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여 시스템을 구축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운전자에게 현실감 있는 조작 느낌을 제공할 수 있는 피드백 큐 생성 방법을 개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