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tor skills

검색결과 147건 처리시간 0.031초

상호작용식 메트로놈(Interactive Metronome) 훈련이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자세조절과 글씨쓰기 수행에 미치는 영향: 단일사례연구 (Effect of Interactive Metronome Training on Postural Control and Hand Writing Performance of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Single Subject Research)

  • 박민경;김희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4-24
    • /
    • 2018
  • 목적 : 본 연구는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ADHD) 아동에게 시행한 상호작용식 메트로놈(Interactive Metronome; IM) 중재가 자세조절과 글씨쓰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ADHD로 진단받은 초등학교 3학년 아동 1명을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개별실험 연구방법 중에서 ABA 설계를 사용하였고, 총 30회기로 매주 3회기 씩 총 10주 진행하였다. 기초선과 재기초선 기간에는 글씨쓰기 과제의 측정만 실시하였고, 중재기 동안에 IM 훈련을 40~50분간 실시하고 난 후에 글씨쓰기의 명료도와 속도를 평가하였다. 기초선을 시작하기 전과 재기초선이 끝나고 한 달 이내에 Clinical Observation of Motor and Postural Skills(COMPS)를 실시하여 자세조절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결과 : IM 중재를 시행한 후 대상자의 자세조절 변화는 하위항목 중 슬로모션, 손가락-코 운동, 비대칭 경반사의 점수가 향상되었고, 글씨쓰기 명료도와 속도는 중재 기간 동안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하게 변화되지 않았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ADHD 아동을 대상으로 한 IM 훈련의 중재가 자세조절과 글씨쓰기 수행능력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고, 향후 연구에 새로운 방향에 접근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는 근거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국형 전산화 인지재활프로그램(CoTras)이 뇌졸중 환자의 시지각 기능 및 일상생활동작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Computer-Based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CoTras) for Visual Perception and ADL in Stroke)

  • 조아영;김정미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49-63
    • /
    • 2012
  • 목적 : 본 연구는 한국형 전산화 인지재활 프로그램인 코드라스(CoTras)가 뇌졸중 환자의 시지각 기능 및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연구방법 : 재활전문 C 요양병원에 거주하고 있는 뇌졸중 환자 14명을 대상으로 실험 전과 후를 측정하였다. 처치 전 후 시지각 기능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용한 시지각 평가도구는 비운동성 시지각 평가를 사용하였고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Fisher(1999)에 의해 개발된 운동 및 처리기술 평가도구를 이용하여 일상생활수행능력을 평가하였다. 전산화 인지재활 프로그램 전과 후를 측정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5.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치료 전과 후의 시지각 기능 및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짝비교(Paired t-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 첫째, 코트라스(CoTras)치료 전과 후의 시지각 기능의 차이를 짝비교(Paired t-test)를 이용해 분석한 결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0.000, p <.05). 둘째, AMPS 운동기술 평균점수는 0.90에서 1.11으로 증가되었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처리기술 평균점수는 0.08에서 0.46점으로 증가되었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임상적으로 유의하게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이 향상되었다(logit >0.3). 결론 : 한국형 전산화 인지재활 프로그램인 코트라스는 뇌졸중 환자의 시지각 기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었고, 일상생활 동작 수행능력에 임상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시지각에 장애를 가지고 있는 뇌졸중 환자에게 코트라스(CoTras)가 시지각 기능 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제시할 수 있다.

  • PDF

산욕기 초산모의 어머니 역할획득에 관한 연구 (Maternal Role Attainment of Primiparous During the Postpartum Period)

  • 이은숙
    • 모자간호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5-20
    • /
    • 1992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dentify the levels and affecting factors of the maternal role attainment(MRA) in the primipara during the postpartum period. The healthy ninety primiparous from the one university hospital and two local clinics in KwangJu city were selected and two Semantic Differential Scales (SD-Myself as Mothers, SD-My Baby) and the Pharis Self Confidence Scale were used in this stud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t the 3rd days and the 4-6 weeks of the primiparous not showing any complication after normal delivery.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sed statistically using t-test, Pearson's Product 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and ANOVA.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On the 3rd day after the delivery, the scores of SD-myself as mother, SD-baby and Pharis Self Confidence were 70.6 points, 73.6 points and 78.6 points, respectively, showing the low level of MRA. 2) On the 4-6 weeks after delivery, the score of SD-myself as mother, SD-baby and Pharis Self Confidence were 72.8 points, 77.9 points, and 86.9 points, respectively, indicating the moderate level of MRA. 3) The mean scores of the SD scale and the Pharis Self Confidence during the postpartum period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3rd days, showing the SD-myself as mother (t=-2.09, P<.05), SD-baby(t=-4.12, P<.001), Pharis Self Confidence(t=-6.59, P<.001), respectively. 4) Positive correlations (r=.24$\sim$.69) were shown in the concepts related to the MRA and the cognitive-motor skill components and cognitive-affective skill components of the MRA became harmonious over time. 5)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score of the MRA and the demographic and obstetric variables were as follows ; a) the score of the MRA in the twenties was higher than those of the thirties. b) the group with higher educational background showed higher MRA socres than the group with lower one. c) those who wanted pregnancy sustenance had higher MRA scores than those who did not. d) the group that did think of festus-feature represented higher MRA scores than those who did not. e) the group of mothers who have the daughters showed higher MRA scores than those who have boys. It can be concluded from the results that the MRA in the primiparous increased gradually, and that the cognitive-motor skills and cognitive-affective skills became harmonious over time. The level of the MRA was affected partly by the mothers general, obstetrical variables. Following suggestion were made oil the basis of the present study ; a) The longitudinal study on the MRA is needed. b) Multivariate analyses should be done for the identification of the factors influcening on the MRA. c) Education program for primiparous mother should be designed and developed to improve the MRA.

  • PDF

국내 장애아동·청소년의 일상생활활동 향상을 위한 작업치료 : 체계적 고찰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Improvement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Children and Adolescents in Korea: Systematic Review)

  • 홍은경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46-60
    • /
    • 2019
  • 목적 : 본 연구에서는 일상생활활동 향상을 위해 아동·청소년 작업치료를 적용한 국내 논문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참여자의 진단명, 사용한 평가도구, 중재방법과 그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10년부터 2019년 9월 30일까지 게재된 국내 학술지를 대상으로 하였다. 검색엔진은 학술연구정보서비스와 한국학술정보를 사용하였다. 사용한 검색어는 '아동작업치료 & 일상생활', '아동작업치료 & 자조', '아동작업치료 & 자기관리', '아동작업치료 & 작업', '작업치료 & 식사하기', '작업치료 & AMPS(Assessment of Motor and Process Skills)', '작업치료 & WeeFIM(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for children)'이었다. 결과 : 총 14편을 분석하였고 연구의 질적 수준은 IV, V가 각각 36%로 총 연구의 72%를 차지하였다. 참여자의 진단명은 지적장애가 50%를 차지하였고 뇌성마비를 포함한 뇌병변이 20%이었다. 일상생활활동을 평가하기 위해 가장 많이 사용하는 평가도구는 COPM(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으로 36%를 보였고, WeeFIM이 22%, 관찰이 13%이었다. 중재방법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은 감각통합치료로 36%이었고, 인지프로그램이 22%이었다. 지적장애 아동에게 자조활동 그룹치료를 적용한 한편의 연구를 제외하고, 모두 중재효과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체계적 고찰방법을 통해 일상생활활동에 대해 작업치료 적용을 알아본 국내의 연구는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임상에서 작업치료 적용을 위한 근거자료로 사용될 것이다.

재활체육프로그램 구성요인의 상대적 중요도 및 우선순위 분석 (Analysis of Priority Factors and Relative Importance about the Components of Rehabilitation Physical Activity Program)

  • 이동철
    • 재활복지
    • /
    • 제20권4호
    • /
    • pp.177-201
    • /
    • 2016
  • 본 연구는 재활체육프로그램의 구성요인과 요소를 탐색하여 도출하고 각 요소 간의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함으로써 재활체육프로그램의 체계적인 구성과 효율적 시행을 위한 토대를 마련함에 그 목적이 있다. 재활체육프로그램의 구성 요인과 요소를 도출하기 위하여 장애인을 대상으로 재활체육 및 장애인체육 관련 프로그램을 운영한 기관 단체 병원에 2년 이상 종사한 경험이 있는 지도자, 특수체육교사, 특수체육학계 전문가 20명을 대상으로 델파이기법(Delphi Technique)을 활용하여 3차에 걸쳐 설문을 진행하였다. 도출된 재활체육프로그램 구성요인들 간의 상대적 중요도를 도출하기 위해 의사결정 방식의 과학적 방법 중 하나 인 계층분석(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재활체육프로그램의 구성 요인으로 체력운동, 심리운동, 수중운동, 감각 지각운동, 보행운동, 운동기술 6개 요인과 21개의 하위요소로 도출되었다. 도출된 재활체육프로그램의 구성요인의 우선순위를 분석한 결과, 체력운동(33.2%), 수중운동(20.6%), 심리운동(15.1%), 감각 지각운동(11.7%), 보행운동( 10.8%), 운동기술(8.6%) 순으로 중요도가 나타났다. 또한 재활체육프로그램 구성 요인의 가중치가 부여된 상태에서 전체 요소 간 우선순위를 분석한 결과, 근력 및 근지구력운동이 23.4%의 가중치를 나타내어 가장 중요한 요소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명상'은 0.3%의 가중치를 나타내어 가장 낮은 중요 요소인 것으로 나타났다.

청각적, 시각적 자극제시 방법과 음절위치에 따른 일반아동의 음운인식 능력 (Phonological awareness skills in terms of visual and auditory stimulus and syllable position in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 최유미;하승희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9권4호
    • /
    • pp.123-128
    • /
    • 2017
  •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performance of syllable identification task according to auditory and visual stimuli presentation methods and syllable position. Twenty-two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ge 4-6) participated in the study. Three-syllable words were used to identify the first syllable and the final syllable in each word with auditory and visual stimuli. For the auditory stimuli presentation, the researcher presented the test word only with oral speech. For the visual stimuli presentation, the test words were presented as a picture, and asked each child to choose appropriate pictures for the task. The results showed that when tasks were presented visually, the performances of phonological awarenes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presenting with auditory stimuli. Also, the performances of the first syllable identificat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last syllable identification. When phonological awareness task are presented by auditory stimuli, it is necessary to go through all the steps of the speech production process. Therefore, the phonological awareness performance by auditory stimuli may be low due to the weakness of the other stages in the speech production process. When phonological awareness tasks are presented using visual picture stimuli, it can be performed directly at the phonological representation stage without going through the peripheral auditory processing, phonological recognition, and motor programming. This study suggests that phonological awareness skills can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methods of stimulus presentation and syllable position of the tasks. The comparison of performances between visual and auditory stimulus tasks will help identify where children may show weakness and vulnerability in speech production process.

러닝팩토리기반 기술융합교육을 통한 텔리 오퍼레이션 로봇핸드 구현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Tele-Operation Robot Hand by Learning Factory based Technology Convergence Education)

  • 홍창호;이정훈;김형오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113-118
    • /
    • 2018
  • 직업교육훈련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생산현장의 전체공정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와 이해를 높이는 일이다. 본 논문에서는 최근 화두가 되고 있는 러닝팩토리(Learning Factory) 기반 기술융합교육을 통해서 텔리오퍼레이션 로봇 핸드를 구현하는 사례를 제시하고 향후 교육과정에 적용시 유의사항을 제안한다. 텔리 오퍼레이션 로봇핸드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기구 설계, 모터제어, 근거리 통신 구현, 센싱 및 피드백제어 등 국내 교육과정의 대학교 수준 전공필수 교과목에 대한 이해가 뒷받침 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교육연구는 학생들이 필요로 하는 기술을 가이드하며 학생 스스로 학습과 실습을 통해 기술을 이해하고 최종 산출물을 구현하는 사례이다. 본 연구를 통해 향후 러닝팩토리 교육훈련과정을 도입하는 경우 기반 자료로 도움이 될 것이다.

작업치료사의 임상 경력에 따른 작업치료직무 중요도에 관한 조사 (A Survey on the Job Importance of Occupational Therapists According to Length of Clinical Career)

  • 박규용;김민호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09-117
    • /
    • 2021
  • Purpose :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s in occupational therapists' jobs depending on their past clinical careers using a survey of the importance of occupational therapy tasks in South Korea. This survey sought to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strengthening occupational therapists' capacities and developing clinical training programs for therapists' future careers. Methods : An online survey was used to collect data from 93 South Korean occupational therapists.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for the analysis of the importance of occupational therapy tasks, depending on the length of their clinical careers: less than 3 years, from 4 to 6 years, and over 7 years. Results : A within-groups comparison of task importance found that "occupational therapy evaluation" was most important in all three groups. In between-groups comparisons, "patient information check", "assessment planning and establishment", "sensory function assessment", "social skills assessment", "developmental function improvement", "basic daily activities training", "social skills improvement", and "patient education" demonstra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p<.05). Each group showed different priorities. In the less-than-3-years group, "understanding of patient's needs" was most important, followed by "arm function improvement", "arm function assessment", "nerve, musculoskeletal, and motor-related functional improvement", and "basic daily activities training". In the 4-to-6-years group, "arm function assessment" was most important, followed by "basic daily activities assessment", "patient's needs", "arm function improvement", and "patient information check". In the over-7-years group, "understanding of patient's needs" was most important, followed by "patient information check", "basic daily activities assessment", "basic daily activities training", and "sensory function assessment". Conclusion : This study found that what occupational therapists consider important in their jobs varies according to their past clinical career and that occupational therapists with more than 7 years' experience are more aware of the importance of diverse fields of occupational therapy. Differentiated education that considers length of career and a range of training programs for more experienced occupational therapists will be needed in the future.

U-헬스케어를 위한 학습용 기능성콘텐츠 설계방향 : 노인 대상자를 중심으로 (Study on the direction of serious contents design for training skills in U-healthcare: Focused on elderly learners)

  • 하동원;이창조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23-32
    • /
    • 2010
  • U-헬스케어는 인간에게 많은 편의를 제공하고 건강을 지켜준다. 하지만 시설중심의 의료 환경이 환자 중심의 의료 환경으로 변함에 따라 다양한 문제점들이 발생되고 있다. 이 문제점들은 제도적인 문제부터 기술적인 문제, 생산자의 문제, 사용자의 문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된다. 연구자는 이 문제들 가운데 사용자로부터 기인한 문제, 그 중에서도 특히 노인환자 또는 노인이 환자의 보호자인 경우에 관심을 가졌다. 주요 연구내용은 U-헬스케어 관련 기기들의 HMI 숙달훈련과 응급상황대처능력 훈련을 위한 학습용 기능성콘텐츠의 설계방향이다. 이는 노인의 인지심리학과 노인운동반응에 관한 연구로부터 출발하여 다양한 디지털 콘텐츠 형식들의 특성을 연관 짓는 과정을 거쳤다. 연구 결과는 가파른 성장세를 보일 노령인구와 그에 따른 U-헬스케어 산업분야에서 쓰임새를 가질 것으로 기대한다.

수경재배 프로그램을 통한 지적 장애학생의 직업적응력 증진 (Improving Work Adjustment Skills in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Using Hydroponics Program)

  • 주병식;박신애;손기철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0권5호
    • /
    • pp.586-595
    • /
    • 2012
  • 본 연구는 실제 재배농가에서 실시되는 엽채류 수경재배를 이용한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통해 지적 장애학생의 직업적응력을 향상시키고자 실시하였다. 직업적응훈련모델과 제 7차 특수학교 직업교과과정 농업교과의 경제작물영역에서 수경재배의 특성과 기초적인 이론을 바탕으로 엽채류(상추, Lettuce (Lactuca sativa L. 'Asia Heuk Romaine')) 수경재배를 이용한 원예치료 프로그램(총 22회기)을 개발하였다. 인천광역시 K구에 위치한 특수학교 전공과에 재학중인 1-2학년 지적 장애학생 14명(남 10명, 여 4명)을 대상으로, 학교와 가까이 위치하고 있는 인천시 K구에 위치한 채소류 전문생산농가에서 실시되었다. 본 프로그램은 2011년 9월부터 12월까지 주 2회(회기 당 평균 60분) 전공과 교육과정 내 실습교육의 일부로 진행되었다. 수경재배를 이용한 원예치료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담임교사 또는 원예치료사가 원예치료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에 실험에 참여한 장애학생들을 대상으로 신경근육발달능력(McCarron assessment neuromuscular development), 정서적 행동능력(emotional behavioral checklist), 대인관계전략(interpersonal negotiation strategies), 직업 흥미도 검사(KEPAD pictoral vocational interest test)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수경재배를 이용한 원예치료 프로그램 실시 후에 지적 장애학생들의 운동능력(P= 0.002), 정서적 행동능력(P= 0.00), 대인관계전략(P = 0.05)이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직업 흥미도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본 수경재배를 이용한 원예치료 프로그램은 지적 장애학생들의 직업적응력 증진에 영향을 미치는 운동능력과 정서적 행동능력 및 대인관계전략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수경재배는 대체로 단순하고 쉬운 작업과정으로, 지적 장애인의 직업영역으로써 적합하며, 직무수행에 있어서도 비교적 어려움이 적은 직종이라 판단된다. 추가적으로 직업적응력 증진을 위해 실제 현장에서 다양한 종류의 엽채류를 재배하는 수경재배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