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tor control

검색결과 7,242건 처리시간 0.04초

한국 의사 소통 장애 아동의 기질 특성 (TEMPERAMENTAL CHARACTERISTICS OF KOREAN CHILDREN WITH COMMUNICATION DISORDERS)

  • 정유숙;홍성도;김이영;이수근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0권1호
    • /
    • pp.43-49
    • /
    • 1999
  • 연구 목적:소아를 다루는 임상의들에게 관찰되는 가장 흔한 발달상의 문제 중 하나는 언어 지연이다. 언어 발달은 주변 환경의 자극에 영향을 받게 되는데, 환경과의 상호 작용에는 아동 자신의 기질 또한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기질 연구의 가설에 의하면 아동의 고유한 행동 양식은 상당 부분 타고난 것이며, 이것이 향후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는데, 아동의 기질과 언어 지연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활발치 않아, 본 연구는 한국에서 의사 소통 장애를 가진 아동에서 어떤 기질 특성이 있는지를 밝히고자 했다. 방 법:환자군은 DSM-IV 진단 기준에 의해 의사 소통 장애라고 진단되고, 전반적 발달 장애, 정신 지체, 언어 운동 장애 혹은 감각 장애를 갖지 않은 세 살에서 일곱 살 사이의 아동 20명을 대상으로 하고 정상대조군은 상기 장애를 갖지 않는 50명을 대상으로 하여 어머니에게 한국판 '부모 기질 설문(Parental Temperamental Questionnaire)'을 완성하도록 하여 기질을 측정하였다. 기질의 9가지 범주 및 요인 A점수를 비교하기 위하여 비모수적 통계법을 사용하였으며, 아동들의 기질 진단을 비교하기 위하여 Chi-square통계법을 사용하였다. 결 과:의사 소통 장애를 가진 아동들에서 정상 아동들에 비해 기분의 범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고, 반응의 강도의 범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기질 진단 면에서는 두 집단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의사 소통 장애를 가진 아동들이 양육 곤란형에 가까운 집단에 더 많이 포함되었다. 결 론:이와 같은 결과는 의사 소통 장애를 가진 아동들에 특징적인 기질 양상이 있음을 시사한다. 기질양상의 조기 발견은 부모들에게 의사 소통 장애 아동들의 발달학적 특성을 이해하고 이들에게 적절한 양육을 제공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 PDF

8주간 데드리프트 운동 시 전신진동운동이 재활스포츠 선수의 근 기능 특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in the Muscle Function Following 8-Week Dead-lift training with Whole-body Vibration in Rehabilitation for Sports Players)

  • 오주환;강승록;민진영;권대규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343-351
    • /
    • 2015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in the muscle function following 8-week dead-lift training with Whole-body Vibration(WBV) in rehabilitation for sports players. Method : Twenty young sports players. Each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a resistance training with Whole-body vibration group(TG, n=10), a resistance training without Whole-body vibration group(CG, N=10). The measurements which physical fitness test and joint torque test were performed before the randomization and after the 4-week and 8-week. The WBV group performed the dynamic Dead-lift exercise on a vibration platform during one minute. The CG group performed the equal training without vibration. The WBV and CON group repeated 5 set and trained two times weekly for 8-weeks. Paired t-test was used to test for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at baseline and after 4-weeks and 8-Weeks. And independent t-test was used to test for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at TG and CG. All analyses were executed using SPSS software 18.0. The level of significance was set at p<.050. Results : Following the 8-Weeks training sessions, an increase in the back-muscle strength was found to be greater for the TG compared with the CG group(p<.05). Muscle enduranc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training than before training only for the CG(p<.05). Isometric Hip/Lumber Extension/Flextion measurement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greater for the TG compared with the CG group(p<.05). The finding indicates that WBV effects as an efficient training stimulus to enhance muscle function by facilitating neural control trail. Following muscle activation in motor unit synchronization of the co-contraction of the muscles. Conclusion : The results imply that the WBV training may have enhanced muscle function in rehabilitation for sports players.

감각통합치료프로그램이 발달장애아의 신체도식과 실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Program on Body-scheme and Praxis Ability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 김현호;유병국;장용수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47-57
    • /
    • 2009
  • 목적: 본 논문에서는 감각통합치료프로그램이 발달장애아동의 신체도식과 실행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연구방법: 30명의 발달장애아를 대상으로 6주 동안 Ayres의 감각통합이론을 근거로 변형된 발달장애아 감각통합 치료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실행능력의 평가는 신체도식 검사(한점 모방 검사, 신체 6퍼즐 맞추기 검사), 실행검사(언어지시실행, 구강실행, 순서실행) 및 감각통합실행검사(SIPT)를 통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치료 전과 치료 후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대응표본 t-검정으로 통계처리 하였다. 결과: 1. 감각통합치료프로그램이 발달장애아의 신체도식능력, 즉 한 점 모방과 신체 6 퍼즐 맞추기 능력에서 치료 전 후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1). 2. 감각통합치료프로그램이 발달장애아의 실행능력, 즉 언어지시실행, 구강실행 과 순서실행 모두에서 치료 전 후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1). 3. 감각통합치료프로그램이 발달장애아의 감각통합실행능력(SIPT)에서 유의한 치료 효과를 나타내었다(p<0.01).

  • PDF

뇌졸중 환자에서 Dexamethasone 억제검사의 의의 (Significance of Dexamethasone Suppression Test in Patients with Stroke)

  • 김욱년;김성민;기병수;박미영;하정상;변영주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1권1호
    • /
    • pp.63-71
    • /
    • 1994
  • 뇌졸중이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축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1992년 6월 1일부터 1993년 6월 30일까지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신경과에 입원한 뇌경색 42례, 뇌출혈 20례 등 총 62례 환자대상군과 대조군 21례를 대상으로 뇌졸중의 각 유형, 병변부위, 병변크기, 운동장애정도, 연령 및 성별 등이 DST결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뇌경색군에서 혈청 cortisol기저치가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p<0.01), DST 비억제반응의 빈도는 뇌졸중군에서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뇌졸중군 중에서 좌측 대뇌반구의 병변이 DST 비억제반응의 빈도가 유의하게 높았다(p<0.01). 뇌졸중의 병변크기가 심할수록 DST 비억제반응의 빈도가 유의하게 높았으나 (P<0.01) 뇌졸중의 각 유형, 운동장애 정도, 연령 및 성별등은 DST 비억제반응의 빈도와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이로 미루어 볼때 뇌졸중이 HPA축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고, 뇌졸중 유형중에는 뇌경색이 가장 많은 장애를 초래하며, 뇌졸중의 병변부위에 따라서는 좌측 대뇌반구가 가장 많은 장애를 야기하며, 병변이 클수록 더 많은 장애를 초래함을 알 수 있어 뇌졸중후 나타나는 우울증등의 시상하부와 연관된 환자에게는 항 우울제투여로 임상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향후 뇌척수액의 신경전달물질 검사 및 뇨의 catecholamine대사산물 측정 등 지속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경로 제어가 가능한 가상생명체를 위한 2단계 진화 알고리즘 (Two-Stage Evolutionary Algorithm for Path-Controllable Virtual Creatures)

  • 심윤식;김창헌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32권11_12호
    • /
    • pp.682-691
    • /
    • 2005
  • 본 논문은 사용자의 제어가 가능한 3차원 물리 기반 가상생명체를 생성하는 2단계 진화 시스템을 제안한다. 기존의 방법은 가상생명체의 형상과 기동, 그리고 목표지점추적(target-following)과 같은 상위 레벨의 행위를 한꺼번에 하나의 진화 시스템으로 생성해냄으로 인하여 진화 단계에서의 사용자의 개입을 허용하지 않았다. 본 논문은 하나로 묶여있던 시스템을 다루기 용이한 두 개의 서브시스템으로 분리함으로써 사용자의 개입을 허용한다. 첫 번째 단계로 가상생명체의 몸체와 직진 기동을 위한 하위 레벨 모터 컨트롤러가 진화 알고리즘(evolutionary algorithm)으로 동시에 생성된다. 두 번째 단계에는 생성된 기본 생명체 위에 주어진 경로를 따라가기 위한 상위 레벨 컨트롤러가 인공 신경망을 사용하여 탑재된다. 경로제어(path-following)를 위한 신경망의 연결 가중치는 유전자 알고리즘(genetic algorithm)을 사용하여 최적화되며 한번 진화된 신경망 컨트롤러는 어떠한 임의의 경로도 잘 따라감을 보여준다. 이로써 사용자는 모든 진화과정이 끝나지 않고도 중간단계에서 기호에 맞는 생명체를 골라내거나 버릴 수 있으며, 동일한 기본 생명체 위에 또 다른 형태의 상위레벨 행위를 생성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본 논문은 이러한 2단계 알고리즘과 함께 직진기동을 위한 새로운 분절 삼각 함수(Piecewise sinusoidal) 컨트롤러를 제안하고 마개 실린더(capped-cylinder)를 기본 요소로 하는 가상생명체에 대한 효율적인 실시간 수중역학 모델링 기법도 함께 소개한다.

소아에서 벨 마비의 발생빈도, 임상적 특징 및 예후에 대한 연구 (Incidence, clinical features and prognosis of Bell's palsy in children)

  • 원유종;문경희;이완수;금승운;유승택;오경재;이창우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0권3호
    • /
    • pp.272-276
    • /
    • 2007
  • 목 적 : 벨 마비(Bell's palsy)는 특별한 원인이나 외상없이 얼굴 근육의 움직임을 지배하는 제7번 뇌신경에 이상이 생겨 안면운동이 마비되는 질환으로, 70-80%는 수일 또는 수 주일에 걸쳐 완전히 회복되나 일부는 후유증을 남긴다. 우리나라에서 소아의 벨 마비의 임상적 고찰에 대한 보고서가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원에서는 소아에서 나타난 벨 마비의 임상 양상과 나이에 따른 예후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1998년 1월부터 2006년 7월까지 원광대학병원에 안면마비를 주소로 내원한 15세 이하의 소아 61명을 대상으로 남녀 비율, 좌우 비율, 계절별 발생빈도, 치료 기간, 나이에 따른 완치율 등을 후향 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 총 61명 중 남아는 31명, 여아는 30명으로 차이는 없었으며 좌우 병변 부위의 비율은 1:1.44 로 우측이 우세하였다. 월별에 따른 발병 빈도는 3개월(12월, 1월, 2월)에 22(36.0%)명으로 다른 월보다 높은 발병률을 보였다. 스테로이드 치료에 따른 완치 정도 및 완전 회복기간에 있어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하지만 6세 미만에서 6세 이상에 비하여 완전 회복 기간이 4주 미만인 경우가 유의하게 많았다. 결 론 : 본 연구에서 소아 벨 마비의 발병빈도는 겨울에 높았고 예후는 나이가 어릴수록 좋았다.

토끼에서 경부 교감신경절의 무수 에틸 알코올에 의한 화학적 차단 (Chemical Neurolytic Block with Absolute Ethyl Alcohol on Cervical Sympathetic Ganglion in Rabbits)

  • 강유진;서재현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7권2호
    • /
    • pp.162-169
    • /
    • 1994
  • Blockade of cervicothoracic sympathetic ganglion (stellate ganglion controls pain on face, head, neck, shoulder, upper limbs, and upper chest, including their viscera and sympathetically maintained pain. This procedure also increases blood flow to the above areas and relieves hyperreactivity of sympathetic nervous system. Clinically, repeated stellate ganglion blocks with local anesthetic agent may become difficult with complications such as accidental intravascular or subdural injection, recurrent laryngeal nerve or bracheal plexus paralysis, pneumothorax and edema on injection site. Therefore, at times long-term cervicothoracic ganglion block with neurolytics is necessitated but its applications are prohibited by the critical structures surrounding ganglion. There are also few reports of neurolytic stellate ganglion block. This study was performed to observe the complications, gross changes of surrounding structures, and microscopic findings of ganglion cells after neurolytic block and to certify the possibility of clinical use of neruolytic stellate ganglion block. The unilateral superior cervical sympathetic ganglion of rabbit was blocked with absolute ethyl alcohol 0.4 ml at the level of cricoid cartilage. Normal ganglion was used as a control and 5 animals were sacrificed at each intervals of 7, 15 and 50 days after block.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All experimental animals showed no specific changes of behavior, motor function. No necrotic tissues were present in the block area during the observation period. There were some gross scar tissues along the fascia of muscles surrounding the needle injection site, but gross atrophy of muscles or injured major vessels were not found. 2) Microscopically, structures of normal ganglion of rabbit were very similar to those of humans. Seven days after absolute ethyl achohol injection there were marked edema of ganglion cells and nuclei with irregular nuclear membrane. Some of the ganglion cells lost their nuclei and showed degenerative changes. Fifteen days after block, cell edema were decreased and loss of the Nissl's body was prominant. The ganglion cell structures looked close to normal but the cytoplasm and nucleus were generally contracted 50 days after block. These results suggest absolute ethyl alcohol injection on cervical sympathetic ganglion with above method mainly blocks pre- and post-synaptic fibers and the long-term neurolytic blockade of this ganglion may be possible in rabbits.

  • PDF

Infusion Methods for Continuous Interscalene Brachial Plexus Block for Postoperative Pain Control after Arthroscopic Rotator Cuff Repair

  • Byeon, Gyeong Jo;Shin, Sang Wook;Yoon, Ji Uk;Kim, Eun Jung;Baek, Seung Hoon;Ri, Hyun Su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28권3호
    • /
    • pp.210-216
    • /
    • 2015
  • Background: Infusion methods during regional analgesia using perineural catheters may influence the quality of postoperative analgesia.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effects of combined or bolus-only infusion of 0.2% ropivacaine on the postoperative analgesia in interscalene brachial plexus block (ISBPB) with perineural catheterization. Methods: Patients scheduled for arthroscopic rotator cuff repair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that would receive a combined infusion (group C, n = 32), and one that would receive intermittent infusion (group I, n = 32). A perineural catheter was inserted into the interscalene brachial plexus (ISBP) using ultrasound (US) and nerve stimulation, and 10 ml of 0.2% ropivacaine was administered. After the operation, group C received a continuous infusion of 4 ml/h, and a 4 ml bolus with a lockout interval of 60 min. Group I received only a 4 ml bolus, and the lockout interval was 30 min. Postoperative pain by the numeric rating scale (NRS) and the forearm muscle tone by the manual muscle test (MMT) were checked and evaluated at the following timepoints: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1, 4, 12, 24, 36, and 48 h. Supplemental opioid requirements, total consumed dose of local anesthetic, and adverse effects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Sixty-four patients completed the study and the postoperative values such as operation time, time to discharge, and operation site were comparable.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NRS scores and supplemental opioid requirements between the two groups. The MMT scores of group I at 4 and 12 h after surgery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group C (P < 0.05). The total consumed dose of local anesthetic was significantly lower in group I than in group C (P < 0.05). The adverse effects were not different between the groups. Conclusions: The bolus-only administration of 0.2% ropivacaine provided a similar analgesic effect with a lower total volume of local anesthetic and decreased motor weakness compared to combined infusion. Therefore, bolus-only administration is an effective postoperative analgesic method in ISBPB with perineural catheterization after rotator cuff repair.

과량의 방사선 국소조사가 흰쥐 소뇌 Purkinje세포의 미세구조에 미치는 영향 (Ultrastructural Study on the Cerebellar Purkinje Cell of the Head-Irradiated Rat)

  • 안의태;윤규태;양남길;고정식;박경호;김진국
    • Applied Microscopy
    • /
    • 제24권2호
    • /
    • pp.48-62
    • /
    • 1994
  • The acute irradiation effect on rat Purkinje cell was carried out. Anesthetized rats, weighing 200-250g each, were exposed their heads to the linear accelerator (ML-4MV) with the doses of 3,000 rads or 6,000 rads respectively. Irradiated rats were sacrificed by perfusion fixation under anesthesia, six hours, two days and six days following the irradiations. Rats were perfused with the fixative of 1% glutaraldehyde-1% paraformaldehyde solution (pH 7.4). Small pieces of cerebellar cortices were taken out. Tissue blocks were washed out, and were refixed in the 2% osmium tetroxide solution. After dehydration, tissues were embedded in the araldite mixture. Ultrathin sections stained with uranyl acetate-lead citrate solution, were examined with an electron microscope. The results observed were as follow; 1. Many dark Purkinje cells exhibited most severe cellular alterations on 6 hours. But after the 2 or 6 days, the cells exhibited only some alterations of cytoplasmic organelles. 2. Many granular and agranular endoplasmic reticula exhibited the fusion of cisterns. These reticular alterations were most severe on 6 hours following irradiation. But the alterations were hardly found on 6 days. 3. In the Golgi region, alterations including the adhesion of lamelliform cisterns, enlarged saccules, and increased number of vesicles, etc, were seen on 6 hours. But the Golgi complexes were almost recovered on 6 days. 4. Lysosomes were abundant on 6 hours or 2 days, but some residual bodies were found on 6 days. 5. Mitochondrial changes were also most severe at on hours, and they were recovered thereafter. From the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the cerebellar Purkinje cells reacted to the high doses of irradiation by hyperactive protein synthesis, autolytic activities and energy metabolism. The reaction was most active in the early stage. It implies that motor-control function of Purkinje cells are severely disturbed in the early stage of irradiation.

  • PDF

지역사회 아스퍼거 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대처모델(coping model)을 적용한 작업치료 평가 및 중재계획수립: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Occupational Therapy Evaluation and Intervention Plan of a Community Asperger Syndrome Child Receiving Coping Model)

  • 이미지
    • 재활치료과학
    • /
    • 제2권1호
    • /
    • pp.87-91
    • /
    • 2013
  • 목적 : 본 연구는 첫째, 지역사회 아스퍼거 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대처모델(coping model)을 적용한 작업치료 평가를 실시한다. 둘째, 평가결과를 바탕으로 중재계획을 수립해 본다. 연구방법 :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지역사회 아동시설에 거주하는 만 7세 남자 아동이다. 대처모델을 바탕으로 2주간 외적 및 내적 요인으로 나누어 평가를 실시하였다. 외적 요인 평가에는 대상자와 주변환경의 상호작용 및 학교와 지역사회 참여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내적 요인 평가는 관찰과 구조화된 평가를 통한 발달 상태와 의학적 상태를 확인하고, 상황에 대한 적절한 기분과 감정 상태에 대한 관찰이 포함되어 있다. 결과 : 대처모델을 적용하여 작업치료 평가가 이루어진 후, 중재 계획을 수립하였다. 첫째, 시간자원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지연된 운동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소운동 영역에 대한 중재 프로그램을 실시한다. 셋째, 아동이 조절하지 못하는 행동들에 대한 자기조절방법과 대처 방법에 대한 교육을 실시한다. 넷째, 시설 내에서 아동에게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관리해 줄 수 있는 인적, 물리적 자원에 대해 찾아보고 이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결론 : 본 연구는 지역사회 아스퍼거 아동을 대상으로 대처모델을 적용한 작업치료 평가 및 중재계획을 수립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직접적인 중재를 통해 실질적인 모델 적용 사례를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