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tor Rehabilitation

검색결과 792건 처리시간 0.022초

감각통합 중재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The effectiveness of Sensory Integration : Systematic Review)

  • 박엄지;신중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7호
    • /
    • pp.144-153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감각통합 중재 효과에 관해 체계적 고찰을 통해 최근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감각통합 중재가 어떤 영역에서 효과가 나타나는지 객관적인 근거를 찾고자 함이다. 연구 분석을 위해 데이터베이스 Medline과 EMBASE에 "Occupational therapy", "Sensory integration therapy", "Sensory processing", "Weighted vest", "Wilbarger protocol"를 검색하였다. 2010년부터 2015년까지의 연구 중 감각통합 중재 효과를 보고한 14개의 연구를 분석하여 PICO원리에 따라 정리하였다. 연구결과 근거수준I과 근거수준V의 연구가 각각 4개(28.6%)로 가장 많았고, 중재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 평가도구를 빈도 분석한 결과 GAS와 VABS-II가 4개(11.8%)의 연구에서 사용되었다. 분석 연구들에서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들이 71.4%로 주요 대상군이었으며, 감각통합 중재가 운동수행, 감각처리, 행동, 학습과 관련한 교육, 작업수행영역에서 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작업치료 임상에서 감각통합을 중재 계획으로 수립하는데 유용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향후 연구에서는 폭넓은 재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감각통합 중재 효과에 대한 연구를 포함하여 감각통합 중재의 효과성 검증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중풍 동물 모델에서의 트레드밀 운동이 허혈성 신경손상에 미치는 효과: 뇌혈관 통합성 강화 (The Effect of Treadmill Exercise on Ischemic Neuronal Injury in the Stroke Animal Model: Potentiation of Cerebral Vascular Integrity)

  • 강경아;성호현;진한별;박종민;이종민;전재용;김연정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97-203
    • /
    • 2011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whether pre-conditioning exercise has neuroprotective effects against cerebral ischemia, through enhance brain microvascular integrity. Methods: Adult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four groups: 1) Normal (n=10); 2) Exercise (n=10); 3) 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 (MCAo), n=10); 4) Exercise+MCAo (n= 10). Both exercise groups ran on a treadmill at a speed of 15 m/min, 30 min/day for 4 weeks, then, MCAo was performed for 90 min. Brain infarction was measured by Nissl staining. Examination of the remaining neuronal cell after MCAo, and microvascular protein expression on the motor cortex, showed the expression of Neuronal Nuclei (NeuN),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 laminin. Results: After 48 hr of MCAo, the infarct volume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Ex+MCAo group ($15.6{\pm}2.7%$) compared to the MCAo group ($44.9{\pm}3.8%$) (p<.05), and many neuronal cells were detected in the Ex+ MCAo group ($70.8{\pm}3.9%$) compared to the MCAo group ($43.4{\pm}5.1%$) (p<.05). The immunoreactivity of laminin, as a marker of microvessels and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were intensively increased in the Ex+MCAo group compared to the MCAo group.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neuroprotective effects of exercise pre-conditioning reduce ischemic brain injury through strengthening the microvascular integrity after cerebral ischemia.

이중 체임버 구조가 내장된 뇌졸중 환자용 컵의 개발과 3차원 동작분석을 통한 운동 형상학적 유용성 검증: 전향적 예비연구 (Development and Tree-Dimensional Kinematic Analysis of the Dual Chamber-based Drinking Aid for Stroke Patients: A Prospective Pilot Study)

  • 허서윤;김경미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3권12호
    • /
    • pp.180-190
    • /
    • 2016
  • 본 전향적 예비 임상연구를 통하여 이중 체임버 구조를 기반으로 하는 뇌졸중 환자용 컵을 개발하고 임상적으로 유용한지 검증하고자 했다. 체계적 과정을 거쳐 컵을 개발하고, 남녀 동수의 뇌졸중 환자 16명을 대상으로 개발된 컵을 사용하여 이들의 제한된 운동기능을 보완 할 수 있는지 3차원 동작 분석(3-dimensional motion analysis), 표면 근전도 검사(surface electromyography; sEMG), 3차원 체간 움직임 분석(3-dimensional trunk movement analysis)의 운동 형상학적 방법을 통하여 검증하고자 했다. 실험 결과, 이중 체임버 컵(dual chamber based assistive cups; DC) 데이터 그룹에서 플라시보 컵(placebo-cups; PC)의 경우 보다 어깨부위의 ROM(range of motion)이 더 적게 사용되었고, sEMG에서는 상부 승모근, 삼각근, 삼두근에서 근 활성도가 낮게 나타났다. 체간 분석에서 전방, 후방의 방향에서 체간의 개입이 더 적게 관찰되었다.

노인 환자들의 휠체어 사용 실태와 만족도 조사 연구 (Wheelchair Usage and Satisfaction Survey of Elderly Patients)

  • 박수향;신중일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257-263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환자들을 대상으로 기본 정보, 휠체어 사용 시 문제점, 휠체어 사용 만족도와 관련된 사용실태 및 요구사항을 조사하여 노인 환자의 휠체어 사용 시 문제점과 어려움을 파악하고, 결과를 토대로 노인 환자의 올바른 휠체어 사용을 위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함이었다. 설문지를 통해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지는 구현모 등(2005)이 개발한 장애인 휠체어 사용에 대한 설문지와 Quebec User Evaluation of Satisfaction with assistive Technology 2.0을 수정, 보완하여 구성하였다. 150부의 설문지 중 120부를 회수하였으며, 이 중 1부를 제외한 119부에 대한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신체적 손상에서 관절통증을 호소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 휠체어 사용 시 불편함을 느끼는 부위는 허리, 골반 부위가 경우가 많았으며, 휠체어 사용 시 불편함을 느끼는 상황은 경사 이동 시 불편함을 느끼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대상자의 휠체어 사용 만족도는 다양한 면에서 사용자들이 '보통'으로 응답했다. 휠체어 조작 능력에서는 수동휠체어의 경우 공통적으로 휠리, 층 오르고 내리기, 턱 통과하기에서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으며, 전통휠체어의 경우 틸트와 디클라인 사용, 모터 분리와 조립, 배터리와 충전기 사용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노인환자의 관절 통증을 줄이고 허리와 골반 부위의 불편함을 줄일 수 있고 경사 이동 시 수월한 휠체어의 디자인 및 외형을 갖출 필요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추후 휠체어 사용 시 노인 환자들이 느끼는 불편함을 줄이고 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정기적인 실태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아동의 전정-고유감각 중심의 감각통합중재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국내연구를 중심으로 (A Systematic Review of Effects on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Based on Vestibular-Proprioceptive System for Children in Korea)

  • 박영주;공인주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53-61
    • /
    • 2015
  • 목적 : 아동을 대상으로 국내에서 실시하는 전정-고유감각 중심의 감각통합중재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체계적 고찰을 사용하여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015년 8~9월 동안 한국학술정보(K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누리미디어(DBpia)의 데이터베이스에서 '감각통합중재', '감각통합치료', '전정-고유감각'을 키워드로 검색하여 최종적으로 7개의 연구를 선정하였다. 각 연구는 근거의 질적 수준과 방법론적 질적 수준으로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연구 설계와 대상자, 중재, 결과측정, 결과에 따라 분석하였다. 결과 : 분석에 포함된 연구의 근거수준은 수준 III이 5개, 수준 IV가 1개, 그리고 수준 V가 1개이었다. Down과 Black의 기준에 따라 대상 연구의 방법론적 질을 살펴보면, '완벽'과 '우수'는 0개, '보통'은 2개, '나쁨'은 5개이었다. 발달지연을 대상으로 한 단일대상연구가 가장 많았고 결과측정은 운동영역에 대한 평가요소 빈도가 가장 높았으며 결과는 평가영역에 대한 긍정적인 향상이나 긍정적인 감소를 보였다. 결론 : 국내 전정-고유감각 중심의 감각통합중재의 특징을 제시하여 관련 분야 전문가들이 이에 대한 정보를 활용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앞으로 감각통합 중재에 대해 높은 근거 수준과 다양한 실험설계를 바탕으로 한 연구가 필요하다.

적외선 센서와 압력센서를 이용한 시각장애인용 보행보조신발 (Walking Assistive Shoes for Visually Impaired Person Using Infrared Sensor and Pressure Sensor)

  • 양창민;정지용;김정자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147-156
    • /
    • 2017
  • 시각장애인의 보행보조도구인 흰 지팡이는 보행에 필요한 정보인 장애물의 유무를 직접 접촉해야만 인식할 수 있으며 지면의 낮은 장애물을 탐지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최근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보행보조도구들이 개발되고 있지만 개발된 도구들의 외형과 높은 가격으로 인해 많이 사용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적외선 센서와 압력 센서, 진동 모터를 사용하여 두 가지 유형의 보행보조신발을 제작하였다. 두 가지 유형의 보행보조신발은 장착된 적외선 센서의 개수에 따라 단일 센서 (SS)와 이중 센서 유형(DS)으로 분류하였다. 유효성 평가를 위해 장애물이 배치된 공간에서 보행 보조 신발과 흰 지팡이를 가지고 보행할 때 나타나는 보행 소요 시간과 충돌 횟수를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개발된 보행보조신발 사용 시 지팡이에 비해 소요시간이 증가하였으나 충돌 횟수는 감소하였다. 또한, 보행보조신발 사용 시 흰 지팡이에 비해 이동시간과 충돌횟수가 더욱 크게 감소하였다. 따라서 개발된 보행보조신발이 시각장애인의 안전한 보행 환경을 제공하고 새로운 형태의 보행보조도구에 적응하는 시간을 감소시키는데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체력진단 평가를 통한 뇌성마비 아동과 정상아동의 운동능력 비교연구 (Comparison of Motor Fitness of Cerebral Palsy Chidren with normal throug Phyisical Fitness Diagnosis Evaluation)

  • 이강준;박래준;김종열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12권1호
    • /
    • pp.101-112
    • /
    • 2000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mpared the cerebral palsy children with normal children in the exercise and cardio vascular ability after this study as the fundamental data fer mating programs for the cerebral palsy children. The test of this study is about twenty girls, the control group of the normal children(n=10) and the experiment group of cerebral palsy children(n=10). They were studied in four aspects which were the anthropometry, the medical check in the rest, the physical fitness or exercise roads test and the change of the target heart rate during exercise. The result were as follows : 1. The characteristic of the physical type : The control group is higher than the experiment group in the standing height and the body weight but their's little difference between them (p<0.05). The control group is lower than the experiment group in the body fat. 2. The characteristic of the medical check in the rest : The control group is higher than the experiment group in the vital capacity and flood expiratoryvolume one second. The control group is higher that the experiment group in the blood pressure of systolic and Diastolic. There's little difference between them(p<0.01). The control is lower than the experiment group in the heart pulse rate. There's little difference between them(p<0.005). 3. The characteristic of basic physical strength evaluation : The experiment group is the lowest dynamic muscular endurance, balance, agility and endurance which need to move the body with weight. The control group is much higher than the experiment group in the flexibility and muscle strength(Back strength). There's no difference between them(p<0.05). 4.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ercise stress last : The control group is higher than the experiment group in the endurance, the maximum of oxygen intake, endurance level and the out take of calory. There's little difference between them(p<0.01). 5. The characteristic of the change of the target heart rate during exercise : The control group is lower than the experiment group exchange of target heart rate, There's no difference them.

  • PDF

속도-의존적 체중지지 트레드밀 보행이 뇌졸중 환자의 보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peed-dependent with Body Weight Supported Treadmill Training on the Ambulation of Stroke)

  • 김좌준;노민희;구봉오;안소윤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17권3호
    • /
    • pp.339-350
    • /
    • 2005
  • This study is the quasi-experimental study on the gait training rehabilit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the baseline data for most suitable of gait while we were scrutinizing how the walking characters, functional walking ability, gait quality of stroke patients were affected by the gait on BWSTT (Body Weight Supported Treadmill Training) through the change of treadmill velocity and body weight support.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is study used thirty subjects, more than 3 months post stroke, for rehabilitation who were divided between two gait training groups they received the neurophysiological physical therapy. For 6 weeks, 5 times a week for 15 minutes per session, the BWSTT group participated in 30 sessions structured speed-dependent treadmill training with 30% body weight supported, and the ratio of body weight support was gradually decreased as the patients advanced the capability of more self-support. The OGT(Over Ground Training) group received the same quantity of equal sessions like BWSTT. Firstly, we measured the absolute improvement of walking velocity (m/s), capacity(min/m) and cadence(steps/min) among walking characters. Secondly, we measured the functional walking ability such as Functional Ambulatory Category(FAC, score out of 5), Modified Motor Assesment Scale(MMAS, score out of 6) and Gait Quality Chart(score out of 41). Data analysis was performed with using SPSS 10.0 win program. The descriptive analysis was used to obtain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The independent t-test and the paired t-test were used to compare both the groups about pre and post training test. Treatment effects were established by pre and post assessment. Subjects tolerated the training well without side-effects.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re was a more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improvement of walking velocity(0.09m/s), endurance(4.53min/m), cadence(4.20steps/min), FAC(0.26score), MMAS(0.33 score) and hip joint and pelvic of gait quality(0.39 score) ever before in the BWSTT group(p<.05). 2. There was a more significant increase from the walking velocity(0.01m/s) in the OGT group(p<.05). 3. There was a more statistical significant increase from comparing the average of walking velocity in both groups ever before(0.42m/s in BWSTT group and 0.31m/s in OGT group)(p<.05). There was a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average of cadence in both groups(61.87step/min in BWSTT group and 3.60steps/min in OGT group)(p<.05). As we can see from above, the findings suggest that BWSTT may be more effective than the OGT for improving some gait parameters such as gait velocity and cadency. This conclusion also suggest that BWSTT is more effective for the improvement of gait of stroke patients.

  • PDF

고유수용성 신경근 촉진법 하지 패턴에 기초한 탄력밴드 훈련이 만성 편마비 환자의 보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lastic Theraband Exercise Based of PNF L/E Pattern on the Gait of the Chronic Hemiplegic Patients)

  • 김좌준;김광일;김도환;성용인;신승제
    • PNF and Movement
    • /
    • 제5권2호
    • /
    • pp.47-54
    • /
    • 2007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determine the effect of a Elastic Theraband Exercise Based of PNF L/E pattern on the gait of the chronic Hemiplegic Patients. Methods : We selected the 20 chronic Hemiplegic Patients not given treatment now and divided them into two groups of both 10 Elastic Theraband group and 10 Self Exercise. The first group went through a Elastic Theraband Exercise Based of PNF L/E pattern 30 minutes a day, 5 times a week, for 6 weeks. Exercise used to blue elastic band which 2 patterns of PNF by 1) hip extension - abduction - internal rotation with knee extension. 2) hip flexion - adduction - external rotation with knee flexion. The latter group experienced Self Exercise, 30 minutes a day, 5 times a week, for 6 weeks. Firstly, we measured the absolute improvement of gait velocity(m/s), cadence(steps/min) among walking characters. Secondly, we measured the functional walking ability such as Functional Ambulatory Category(FAC, score out of 5), Modified Motor Assesment Scale(MMAS, score out of 6). Data analysis was performed with using SPSS 12.0 win program. The descriptive analysis was used to obtain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The independent t-test and the paired t-test were used to compare both the groups about pre and post training test. Treatment effects were established by pre and post assessment. Subjects tolerated the training well without side-effects.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Results : 1. There was a more significant improvement of Gait velocity(0.12m/s) Elastic Theraband group(p<.05). 2. There was a more significant improvement of cadence(9.40steps/min) Elastic Theraband group(p<.05). Conclusion : As we can see from above, the findings suggest that Elastic Theraband may be more effective than the Self Exercise for improving some gait parameters such as Gait velocity and Cadency. This conclusion also suggest that Elstic Theraband is more effective for the improvement of gait of chronic Hemiplegic Patients.

  • PDF

골반교정 및 자세균형능력 증진을 위한 균형의자 개발 (Development of the Balance Chair for Improving Postural Control Ability & Pelvic Correction)

  • 오승용;신선혜;강승록;홍철운;권대규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271-277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의 자세에 따라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진동모터에 의해서 촉각 피드백이 구현되는 골반교정 및 자세균형능력 증진을 위한 균형의자(balance chair)를 개발하고 그 유효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MC Nylon을 이용하여 몸체을 제작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터치 TFT와 아두이노를 사용한 주 제어모듈, 사용자 자세판별을 위한 9축 가속센서, 촉각피드백을 위한 진동모듈을 내장하고 사용자의 편안한 착석감을 위한 쿠션으로 외부를 둘러싼 균형의자 시제품을 제작하였다. 제작된 시제품을 이용한 자세균형 훈련시스템의 유효성을 확인하기 위해 여성 피험자 10명을 대상으로 척추움직임의 주요근육인 좌우 요장늑근에 대한 근활성도(%MVIC)를 측정하였고 자세균형능력 평가장비인 Spine Balance 3D를 이용하여 훈련 전후의 균형능력을 측정하였다. 균형의자를 통한 운동 및 자세균형 유지 시 진동을 통한 피드백 방법에 의해 사용자의 좌우 요장늑근이 균형적으로 활성화되고 또한 이를 통한 훈련 전후 균형능력이 증진되는 결과를 얻었다. 향후 본 연구는 다양한 자세균형 제품 개발에 기초 연구로 활용 가능하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