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tor Nerve

검색결과 353건 처리시간 0.025초

The pathophysiology of diabetic foot: a narrative review

  • Jiyoun Kim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40권4호
    • /
    • pp.328-334
    • /
    • 2023
  • An aging population and changes in dietary habits have increased the incidence of diabetes, resulting in complications such as diabetic foot ulcers (DFUs). DFUs can lead to serious disabilities, substantial reductions in patient quality of life, and high financial costs for society. By understanding the etiology and pathophysiology of DFUs, their occurrence can be prevented and managed more effectively. The pathophysiology of DFUs involves metabolic dysfunction, diabetic immunopathy, diabetic neuropathy, and angiopathy. The processes by which hyperglycemia causes peripheral nerve damage are related to adenosine triphosphate deficiency, the polyol pathway, oxidative stress, protein kinase C activity, and proinflammatory processes. In the context of hyperglycemia, the suppression of endothelial nitric oxide production leads to microcirculation atherosclerosis, heightened inflammation, and abnormal intimal growth. Diabetic neuropathy involves sensory, motor, and autonomic neuropathies. The interaction between these neuropathies forms a callus that leads to subcutaneous hemorrhage and skin ulcers. Hyperglycemia causes peripheral vascular changes that result in endothelial cell dysfunction and decreased vasodilator secretion, leading to ischemia. The interplay among these four preceding pathophysiological factors fosters the development and progression of infections in individuals with diabetes. Charcot neuroarthropathy is a chronic and progressive degenerative arthropathy characterized by heightened blood flow, increased calcium dissolution, and repeated minor trauma to insensate joints. Directly and comprehensively addressing the pathogenesis of DFUs could pave the way for the development of innovative treatment approaches with the potential to avoid the most serious complications, including major amputations.

미로반규관(迷路半規管)과 외안근(外眼筋)의 기능적(機能的) 관계(關係)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Functional Interrelation between the Vestibular Canals and the Extraocular Muscles)

  • 김재협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8권2호
    • /
    • pp.1-17
    • /
    • 1974
  • 미로(迷路) 각반규관(各半規管)과 각외안근간(各外眼筋間)의 기능적(機能的) 관계(關係)를 구명(究明)하여 미로반사성(迷路反射性) 안구운동(眼球運動)을 위한 신경기구(神經機構)를 이해하고져 마취가토(麻醉家兎)에서 골성(骨性) 반규관(半規管) 팽대부내(膨大部內)에 단전극(單電極)을 삽입하여 각(各) 팽대부신경(膨大部神經)을 전기자극(電氣刺戟)하였을 때 양안(兩眼)의 각(各) 외안근(外眼筋)의 반응(反應)을 등장성장력변화(等長性張力變化)와 근전도(筋電圖)로써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結論)을 얻었다. 1) 일측(一側) 미로(迷路)에서 한 반규관신경을 자극하면 양안(兩眼)에서 각각(各各) 3개의 안근(眼筋)은 흥분(興奮)하여 수축(收縮)하고 여기에 대(對)한 3개의 길항근(拮抗筋)은 억제(抑制)되어 이완(弛緩)하였다. 2) 일측(一側) 미로(迷路)의 어느 반규관신경을 자극하거나 동측안(同側眼)에서는 상직근(上直筋), 상사근(上斜筋) 및 내직근(內直筋)이 흥분(興奮)(수축(收縮))하고, 하직근(下直筋), 하사근(下斜筋) 및 외직근(外直筋)은 억제(抑制)(이완(弛緩))되었다. 반대측(反對側) 근(筋)에서는 하직근(下直筋), 하사근(下斜筋) 및 외직근(外直筋)이 흥분(興奮)하고 상직근(上直筋), 상사근(上斜筋) 및 내직근(內直筋)은 억제(抑制)되었다. 3) 일측(一側) 미로(迷路)의 3개 반규관자극을 중복(重複)시켰을 때는 한 안근(眼筋)이나 각안근(各眼筋) 길항근대(拮抗筋對)에 각반규관신경(各半規官神經)의 자극효과(刺戟效果)가 중첩(重疊)됨을 증명(證明)할 수 있었다. 4) 이상(以上)의 실험적 근거를 토대로 하여 각반규관(各半規官)과 각외안근(各外眼筋)의 기능적(機能的) 관계(關係)를 규정(規定)하는 법칙성(法則性)을 찾을 수 있었다. 즉(卽) ‘상직근(上直筋), 내직근(內直筋) 및 상사근(上斜筋)은 동측(同側) 미로(迷路) 반규관(半規管)으로부터 흥분적(興奮的) 충격(衝擊)을 받고 반대측(反對側) 반규관(半規管)들로부터는 억제적(抑制的) 충격(衝擊)을 받으며, 하직근(下直筋), 외직근(外直筋) 및 하사근(下斜筋)을 위하여는 이와 정반대(正反對)의 관계(關係)가 성립(成立)한다. 5) 본(本) 실험성적(實驗性績)을 Cohen 등(等)의 가묘(家猫)에서의 연구보고(硏究報告)와 비교하건데 사근(斜筋)에 대(對)한 반규관사배(半規管司配)는 동일(同一)하나, 내(內) 및 외직근(外直筋)과 상(上) 및 하직근(下直筋)에 대(對)한 반규관사배(半規管司配)는 일부(一部) 상이(相異)하였다. Cohen 등(等)의 성적을 분석(分析)하여 본 결과 이론적(理論的) 모순(矛盾)이 있음을 보았고 안근(眼筋)의 각(各) 길항근(拮抗筋)에 대한 반규관사배(半規管司配)의 양식(樣式)에 있어 일정(一定)한 법칙성(法則性)을 찾을수 없었으며 그들의 관찰에는 실험적(實驗的) 오류(誤謬)를 포함하고 있음을 증명(證明)하였다.

  • PDF

fMRI를 이용한 망간 노출 용접공의 운동수행에 따른 뇌 활성도 평가 (Cerebral Activity by Motor Task in Welders Exposed to Manganese through fMRI)

  • 최재호;장봉기;이종화;홍은주;이명주;지동하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02-112
    • /
    • 2011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chronic exposure by welders to manganese (Mn) through an analysis of the degree of brain activity in different activities such as cognition and motor activities using the neuroimaging technique of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fMRI). The neurotoxic effect that Mn has on the brain was examined as well as changes in the neuro-network in motor areas, and the usefulness of fMRI was evaluated as a tool to determine changes in brain function from occupational exposure to Mn. Methods: A survey was carried out from July 2010 to October 2010 targeting by means of a questionnaire 160 workers from the shipbuilding and other manufacturing industries. Among them, 14 welders with more than ten years of job-related exposure to Mn were recruited on a voluntary basis as an exposure group, and 13 workers from other manufacturing industries with corresponding gender and age were recruited as a control group. A questionnaire survey, a blood test, and an fMRI test were carried out with the study group as target. Results: Of 27 fMRI targets, blood Mn concentration of the exposure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p<0.001), and Pallidal Index (PI) of the welder group was also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p<0.001). As a result of the survey, the score of the exposure group in self-awareness of abnormal nerve symptoms and abnormal musculoskeletal symptoms was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p<0.05, respectively). In the correlation between PI and the results of blood tests, the correlation coefficient with blood Mn concentration was 0.893, revealing a significant amount of correlation (p<0.001). As for brain activity area within the control group, the right and the left areas of the superior frontal cortex showed significant activity, and the right area of superior parietal cortex, the left area of occipital cortex and cerebellum showed significant activity. Unlike the control group, the exposure group showed significant activity selectively on the right area of premotor cortex, at the center of supplementary motor area, and on the left side of superior temporal cortex. In the comparison of brain activity areas between the two groups, the exposure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activation state than did the control group in such areas as the right and the left superior parietal cortex, superior temporal cortex, and cerebellum including superior frontal cortex and the right area of premotor cortex. However, in nowhere did the control group show a more activated area than did the exposure group. Conclusions: Chronic exposure to Mn increased brain activity during implementation of hand motor tasks. In an identical task, activation increased in the premotor cortex, superior temporal cortex, and supplementary motor area. It was also discovered that brain activity increase in the frontal area and occipital area was more pronounced in the exposure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This result suggests that chronic exposure to Mn in the work environment affects brain activation neuro-networks.

고주파 통증치료기를 이용한 재활 치료에 대한 연구 (A Study on Rehabilitation Treatment Using Radiofrequency Treatment)

  • 조재현;이상용;이근용;윤세진;정하영;이상식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212-218
    • /
    • 2020
  • 인체에 고주파 에너지를 가하면 진동 폭이 매우 짧아서 직류 전류 이용 시 발생하는 전해질 화상이 일어나지 않으며 이온분자, 분극분자 등이 초당 4만 번 이상 진동을 하면서 마찰열로 전환되어 심부열을 발생시켜 모세혈관의 혈류량은 휴식 시 보다 4~5배 증가하여 산소, 영양물질, 항체, 백혈구 등 공급의 증가한다. 또한 진동 폭과 맥동기간이 매우 짧아 전기 화학적 반응이 일어나지 않으며 감각신경과 운동신경을 자극하지 않는 물리적 인자치료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고주파통증치료기를 사용하여 젊은 정상 성인을 대상으로 등장성운동을 시키고, 등장성 운동 시 근전도 데이터를 측정하여 운동신경 응답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재활치료 접목시키고자 하였다. 윗팔두갈래근의 등장성 운동을 실시할 때 발생되는 근전도 데이터와 운동 후 고주파통증치료기사용 후 측정된 근전도 데이터를 각각 RMS하여 t-검정을 통하여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남녀 모두 t값, p값이 유의수준(<.05) 보다 작게 나와 유의한 차이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배외측전전두엽피질 영역에 경두개직류전류자극이 감각기능에 미치는 영향 (Changes in the Sensory Function after Transcranial Direct Stimulation on Dorsolateral Prefrontal Cortex Area)

  • 민동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445-452
    • /
    • 2015
  • 경두개직류전류자극(tDCS)은 낮은 직류 전류 강도를 사용하여 대뇌피질의 자발적인 신경학적 활동의 흥분성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신경조절 기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tDCS를 적용한 후 다양한 감각 기능의 변화를 측정하는데 있다. tDCS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CPT 검사를 50명의 건강한 대상자에게 단일 기간(8월4일에서 8월29일), 단일 공간, 단일 맹검법으로 무작위 배정하였다. 신경전도검사는 우세 손의 말초신경 병변을 구별하기 위해 정중 감각과 운동신경을 측정하였다. 대상자들은 각 25명 씩 대뇌피질의 DLPFC의 tDCS 자극군과 대뇌피질의 DLPFC의 tDCS 위자극군으로 2개의 다른 조건 아래서 1 mA의 전류강도로 15분씩 양극 tDCS로 적용하였다. 촉각, 빠른 통증과 느린 통증을 각각 평가하기 위해 우세한 제 2수지에 2000, 250, 그리고 5 Hz의 주파수로 CPT 검사인 Neurometer$^{(R)}$를 이용하여 수치들을 기록하였다. DLPFC의 양극 tDCS 자극군의 CPT 수치들에서는 250과 5 Hz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양극 tDCS 위자극군의 모든 CPT 수치들은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DLPFC의 양극 tDCS가 건강한 대상자들의 감각 지각과 통증 역치들을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재활과 통증 치료 분야에서 유용한 치료 방법 중 하나로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소아에서 벨 마비의 발생빈도, 임상적 특징 및 예후에 대한 연구 (Incidence, clinical features and prognosis of Bell's palsy in children)

  • 원유종;문경희;이완수;금승운;유승택;오경재;이창우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0권3호
    • /
    • pp.272-276
    • /
    • 2007
  • 목 적 : 벨 마비(Bell's palsy)는 특별한 원인이나 외상없이 얼굴 근육의 움직임을 지배하는 제7번 뇌신경에 이상이 생겨 안면운동이 마비되는 질환으로, 70-80%는 수일 또는 수 주일에 걸쳐 완전히 회복되나 일부는 후유증을 남긴다. 우리나라에서 소아의 벨 마비의 임상적 고찰에 대한 보고서가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원에서는 소아에서 나타난 벨 마비의 임상 양상과 나이에 따른 예후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1998년 1월부터 2006년 7월까지 원광대학병원에 안면마비를 주소로 내원한 15세 이하의 소아 61명을 대상으로 남녀 비율, 좌우 비율, 계절별 발생빈도, 치료 기간, 나이에 따른 완치율 등을 후향 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 총 61명 중 남아는 31명, 여아는 30명으로 차이는 없었으며 좌우 병변 부위의 비율은 1:1.44 로 우측이 우세하였다. 월별에 따른 발병 빈도는 3개월(12월, 1월, 2월)에 22(36.0%)명으로 다른 월보다 높은 발병률을 보였다. 스테로이드 치료에 따른 완치 정도 및 완전 회복기간에 있어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하지만 6세 미만에서 6세 이상에 비하여 완전 회복 기간이 4주 미만인 경우가 유의하게 많았다. 결 론 : 본 연구에서 소아 벨 마비의 발병빈도는 겨울에 높았고 예후는 나이가 어릴수록 좋았다.

경피적 내시경 요추 추간판 절제술 후 발생한 추간판과 경막 사이의 누공 형성 - 증례 보고 - (Fistula Formation Between the Disc and Dura after Percutaneous Endoscopic Lumbar Discectomy - A Case Report -)

  • 김학선;김형복;정훈재;양재호
    • 대한척추외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180-184
    • /
    • 2018
  • 연구 계획: 증례 보고 목적: 경피적 내시경하 요추 추간판 절제술 후 인식하지 못한 경막 손상에 의해 생긴 추간판과 경막 사이의 누공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선행 연구문헌의 요약: 경피적 내시경하 요추 추간판 절제술시 경막 손상의 위험은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인지하지 못한 경막 손상이 보고 되고 있으나, 이를 정확히 진단할 수 있는 도구는 아직 알려지지 않고 있다. 대상 및 방법: 50세 여자 환자는 제 4-5요추 추간판 탈출증에 대해 두 차례 경피적 내시경하 요추 추간판 절제술을 시행 받았다. 하지만, 환자는 술 후 6개월에도 지속적으로 좌측 하지에 참을 수 없는 동통과 운동 신경 마비를 호소하였다. 이에 신경 조직 손상을 찾기 위해 수술을 계획하였다. 결과: 이전 수술 부위에서 경막 손상이 발견되었으며, 또한 경막 손상 부위에서 추간판과 경막 사이에 누공이 형성된 것을 발견 하였다. 경막 손상 부위는 경막 전측부에 위치 하였으며, 크기는 5 mm 정도 였다. 5~0 나일론과 접착 봉합제로 경막 손상 부위를 봉합하였다. 술 후 환자의 술 전 증상은 호전되었다. 결론: 경피적 내시경하 요추 추간판 절제술 후 인지하지 못한 경막 손상은 추간판과 경막 사이의 누공 형성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추간판 조영술은 인지하지 못한 경막 손상에 의해 생성된 누공에 대한 신뢰할 수 있는 진단 도구이다.

부하유무에 따른 수영운동이 중추신경계 손상 흰쥐의 혈청 BDNF 농도 및 행동변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Swimming Exercise by Load on Concentration of BDNF in Serum and Behavioral Change of CNS Injury in the Rats)

  • 하미숙;형인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391-399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중추신경계 손상의 쥐에 운동강도에 따른 신경계 회복을 알아보기 위해 부하수영과 무부하수영이 혈청 BDNF 농도와 행동학적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실험동물로는 Sprague-Dawley 수컷 흰쥐를 사용하였으며, Ketamine을 복강 내에 주사하여 마취한 뒤 제 1-2요추의 척수에 6-OHDA를 $100{\mu}{\ell}$ 주입하여 척수손상을 유발시켰다. 척수 손상으로 유발된 행동학적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BBB와 경사판 검사를 기록하였다. 혈청 BDNF는 수술 후 14일에 혈액을 채취해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척수 손상 후 무부하군에서는 행동변화가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혈청 BDNF 농도는 다른 군에 비해 무부하군에서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저강도 수영운동을 중추신경 손상 후 초기에 적용하면 신경조직의 회복에 영향을 주리라 생각된다.

H-반사 촉진의 소실: 길랑-바레 증후군의 초기 이상과 중추신경 침범의 증거로써의 의미 (Loss of Facilitation in H-reflex: Implication as an Initial Abnormality and an Evidence of Central Nervous Involvement in Guillian-Bare Syndrome)

  • 성정준;이윤정;홍윤호;정영민;이광우
    • Annals of Clinical Neurophysiology
    • /
    • 제4권2호
    • /
    • pp.119-124
    • /
    • 2002
  • Background : Guillain-$Barr{\acute{e}}$ syndrome(GBS) is a neurologically emergent condition, leading to respiratory insufficiency without an early and appropriate treatment. Thus, the treatment of GBS requires early diagnosis but it is difficult due to the low sensitivity of laboratory tools in the initial stage. Hoffman reflex (H-reflex) and its facilitation by Jendrassik maneuver (JM) are sensitive tools evaluating the central circuit of motor system on the spinal cord level. The aim of this study is to test whether the change of H-reflex and F-wave under the JM is able to detect the early stage of GBS and whether GBS involves the central nervous system (CNS). Material and Methods : All 7 GBS patients who showed normal or nearly normal nerve conduction study were included. The facilitation of H-reflex and changes of F-wave were calculated by measuring the percent difference of H-reflex or F-wave amplitude under JM compared to basal H-reflex of F-wave amplitude. The changes of F-wave and H-reflex in the GBS patients were compared with them of 8 healthy controls. Results : The F-wave amplitudes of both healthy controls and GBS patients did not changed under the influence of JM ($102.4{\pm}24.9%$, $108.7{\pm}29.0%$ respectively). However, the facilitation of H-wave by JM in the GBS patients was absent ($98.8{\pm}5.8%$), even though the H-reflex amplitude I the healthy controls increased under the influence of JM ($124.8{\pm}12.1%$). Conclusions : The loss of H-reflex facilitation in GBS implies that this phenomenon might be the most early change detected in the electrophysiological study and support the early diagnosis, and that GBS might include lesion in the spinal motor CNS.

  • PDF

Cisplatin, Carboplatin, Oxaliplatin 투여로 인한 말초신경병증에 대한 평가 (Evaluation of Chemotherapy Induced Peripheral Neuropathy by Cisplatin, Carboplatin and Oxaliplatin)

  • 윤완기;허미정;이옥상;임성실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56-366
    • /
    • 2012
  • Background: Chemotherapy-induced peripheral neuropathy (CIPN) involving sensory and motor nerve damage or dysfunction is a common and serious clinical problem that affects many patients receiving cancer treatment. This condition may pose challenges for the clinician to diagnose and manage, particularly in patients with coexisting conditions or disorders that involve the peripheral nervous system. Many chemotherapeutic agents used today are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serious and dose-limiting CIPN that can adversely affect the administration of planned therapy and can impair quality of life by interference with the patients' activities of daily living. The most important clinical objective in the evaluation of patients with CIPN is to determine their level of functional impairment involving activities of daily living. These findings are used to make medical decisions to continue, modify, delay, or stop treatment. The most commonly reported drugs to cause CIPN include taxanes, platinum agents, vinca alkaloids, thalidomide, and bortezomib. We aimed to determine PN incidence during cisplatin, carboplatin and oxaliplatin administration. Methods: We collected data from 125 patients who received at least one cycle of cisplatin, carboplatin or oxaliplatin. They completed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and items related to their disease and peripheral neuropathy. The investigators filled in part of items about disease and treatment. Patient Neurotoxicity Qeustionnaire developed by Bionumerik company were applied for PN assessment. Results: The incidences of sensory neurotoxicities of cisplatin, carboplatin and oxaliplatin were respectively 23%, 56% and 50%. The incidences of motor neurotoxicities of cisplatin, carboplatin and oxaliplatin were respectively 18%, 42% and 19%. The incidences of severe neurotoxicities of cisplatin, carboplatin and oxaliplatin were respectively 13%, 28% and 14%. The incidences of PN were associated with cumulative dose but not age, gender and concurrent illness. 19.2% of the patients (24/125) were prescribed with gabapentin, nortriptyline or gabapentin plus nortriptyline to reduce these peripheral symptoms and 75% of the patients answered the drug were effective. Conclusion: Incidence of PN after cisplatin or oxaliplatin administration is cumulative dose-related. Physician-based assessments under-reported the incidence and severity of CIPN. To overcome this limitation, diagnostic tools specifically designed to assess peripheral neuropathy severity associated with chemotherapy must be develop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