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ther's Singing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5초

어머니로의 역할 전환 지원을 위한 음악중재 프로그램 사례연구 (Case Study of Music Intervention for Supporting Maternal Transition)

  • 김수지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7권1호
    • /
    • pp.61-77
    • /
    • 2010
  • 본 연구는 모성전환 지원의 일환으로 노래 부르기를 격려하기 위해 가정을 방문하여 음악중재 프로그램을 교육한 후 2주간 아이에게 노래 부르기를 실시한 어머니들의 경험과 의견에 대한 사례연구이다. 2개월에서 11개월 사이의 건강한 아이를 둔 어머니들 중 참여를 원하는 어머니들을 선정하여 어머니 유아에게 노래 부르기에 대한 교육적인 정보와 함께 노래 부르기를 쉽게 하실 수 있도록 여러 가지 방법을 제공 한 뒤 2주 동안 스스로 모자 상호작용 시 노래를 불렀을 때 느낀 경험과 의견 등을 종합하기 위한 인터뷰가 실시되었다. 구조적, 비구조적 인터뷰를 실시한 결과 매일 아이에게 노래를 부르면서 경험한 것과 실제 노래 부르기가 어떤 도움을 주었는가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졌다. 그 결과, 네 명의 어머니 모두 긍정적인 경험과 노래 부르기를 통한 양육활동 및 부부관계의 도움을 보고하였으며 체계적인 프로그램의 가능성이 제시되었다. 모성 전환 시 도움이 필요한 여러 대상군의 어머니들에게로의 적용 가능성이 발견되었으며, 추후 연구를 통한 효과성 검증이 요구된다.

  • PDF

Arirang; elegant sound and deep sorrow, which are unique to Korean is revived on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snmNp778JcY)

  • Ko, Kyung-Ja
    • 셀메드
    • /
    • 제6권2호
    • /
    • pp.8.1-8.2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rgue that Arirang, Korean traditional music, could be used for healing purposes for Koreans. Music may be a medicine for curing both the body and mind. That is the soul of folksong. Arirang is a representative folksong in Korea. Koreans thought that listening to Korean traditional songs and singing them have healing powers because it makes people happier. When Koreans listen to Arirang, slowly as if they are mass hypnotized, Koreans calmed down because they think of mother's bosom while listening to Arirang. Also, Koreans find comfort in listening and singing to Arirang. The song's tune is catchy and its lyrics are moving. The song of Arirang was sung from long ago by Koreans. Therefore, it will continue forever as long as Koreans exist.

쉬샤오빈(徐小斌)의 「천상의 소리(天籁)」 읽기 - 이청준의 「서편제」와 상호텍스트성을 중심으로 (A Study on Xu Xiao Bin's Sounds of Nature(天籁) - Focusing on Intertextuality of Lee Cheong-jun's Seopyeonje)

  • 최은정
    • 비교문화연구
    • /
    • 제39권
    • /
    • pp.309-328
    • /
    • 2015
  • This study is a consideration of Xu Xiao-Bin(徐小斌)'s Sounds of nature(天?) in the mutual text point of view of Lee Cheong-jun's Sopyonje series. Xu Xiao-Bin's Sounds of nature shows similar motive to Lee Cheong-jun's Sopyonje series that is a story of a mother who damages her daughter's eyes and the daughter. however, it is accepted in totally different ways that the action of father/mother who damage their daughter's eyes. the mother in Sounds of nature is a composer as well as singer and the father in Sopyonje is a singer. The mother's behavior is not able to have duty in Sounds of nature due to it is focused in 'mother's action' rather than a singer but the father's behavior is focused in 'singer's action' in Sopyonje. therefore the action of the father, who is a singer, is considered not merely personal desire of father but also desire to preserve 'singing' as a national culture in public status. the length between two novels are clear in the two daughter's point of views. the daughter in "Sounds of nature" refuses her destiny made from her mother. The daughter's behavior of recovering her own volition, becomes frankly showing the falsehood of 'mother's love. In comparison, the daughter's voice is under the shade in Sopyonje. she surrenders herself to the fate made by her father, and she does not show her desire. This is the point that the difference is created by gender of writers.

고종 24년 진찬의궤 홀기 의례절차에 대한 분석적 연구 (A Review Study of the Royal ritual on the 24th of King Kojong in Chosun Dynasty)

  • 한복진;황혜성;한복려;김상보;이성우;박혜원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51-173
    • /
    • 1991
  • A review of the royal banquet rituals which were excuted twice a day for consecutive three days for master were found to be progressed; 1st day for Queen Mother, 2nd day for King, 3rd day for Crown Prince very orderly. And performing dozens of dances and musics at each intervals of this procedure. The Sequence of ritual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Entering by order of low in rance. 2. Opening a ceremony. 3. Setting napkins, spoons and chopsticks and sumptuous table for master. 4. Offering flowers to master and then granting that flowers to subjects 5. Singing a open song. 6. Setting wine/side dishes for master and complimenting master's achievement/wellness. 7. Bowing politely three times and giving cheers. 8. Distributing wine/dishes to high ranked subjects. 9. Offering special dishes for master. 10. Distributing wine to low ranked subjects. 11. Singing a closing song. 12. Taking away tables. 13. Closing a banquet and leaving the hall.

  • PDF

소울(Soul)음악의 탄생과 발전과정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Birth and Development Process of Soul Music)

  • 공진석;조태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2호
    • /
    • pp.455-460
    • /
    • 2017
  • 우리나라 대중음악에서 소울음악은 뛰어난 가수로서의 평가기준이 되고 있다. 우리가 열광하는 소울음악을 이해하기 위해서 음악의 모태가 되어진, 흑인들의 피와 땀이 서린 광활한 대지에서 외치는 소리(Filed Holler)와 그들의 처량한 신세를 한탄하며 노래하던 송스터(Songster)음악인 블루스. 그리고 정신적 유일한 안식처인 교회 음악과 중요한 뮤지션들을 고찰하였다. 특히, 탄생시점인 1960년대 미국의 사회적 배경은 소울음악을 이해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 할 수 있다. 수많은 외세의 침략가운데 처절한 식민 지배를 받아온 우리나라는 자연스럽게, 노예역사를 가진 흑인들의 정서를 공유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흑인들에게 소울음악은, 사회적 태도의 표현이며 분노표출의 음악인 것이다. 그러나 지금 우리나라에서 홍수처럼 쏟아지는 많은 음악 가운데 삶의 본질을 관통하는 음악이 너무나 부족하다. 흑인들의 처절한 삶의 투쟁으로 얻어낸 고귀한 결정체인 소울음악이 우리에게 단지 이성에 대한 구애와 화려한 보컬의 능력을 과시하는 수단으로 전락하고 있음이 안타깝게 느껴진다. 소울음악이 흑인들에게 정체성과 자존감 회복의 강력한 도구가 되었듯이 우리사회에서 약자들의 소리를 시원하게 외칠 수 있는 본질의 소리가 되길 기대한다.

김숙자류 경기시나위춤에 관한 고찰 (An Analysis of Gyeonggi Sinawi Dance in the Fashion of Kim Sukja)

  • 한수문
    • 공연문화연구
    • /
    • 제22호
    • /
    • pp.413-439
    • /
    • 2011
  • 본 연구는 사라져 가는 김숙자류 경기시나위춤의 종류와 형태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서 올바른 전승의 방향을 탐색해보는데 있었다. 따라서 첫째는 경기시나위춤의 특징과 전승현황을 살펴보는 것이었고, 둘째는 『무형문화재 조사보고서 제121호』에서 "김숙자는 경기시나위춤 7바탕을 거의 방수에 어김없이 전수하고 있다"라고 언급한 7바탕의 춤 종류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는 것이었다. 셋째는 각각의 춤 형태가 어떠한 구성을 하고 있는가 였고, 넷째는 경기시나위춤에 사용되는 주요 장단이 각각의 춤에 어떻게 사용되었는가를 규명하는 것이었다. 김숙자는 대명창인 조부 김석창과 화성재인청 출신의 부친 김덕순, 무속인이었던 모친 정귀성, 당대의 춤 명인이었던 조진영 등에게 시나위춤과 판소리 5마당, 가야금 병창 등을 배운 경기지방의 춤사위와 음악적 구성에서 그 누구보다도 뛰어난 예술적 재능이 간직하고 있었다. 김숙자가 추었던 경기시나위춤 7바탕은 '부정놀이춤', '터벌림춤', '진쇠춤', '제석춤', '깨끔춤', '올림채춤'과 1990년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된 '도살풀이춤' 등이 있다. 경기시나위춤에 쓰이는 주요장단으로는 섭채(도살풀이), 모리, 발뻐드래, 부정놀이, 올림채, 진쇠, 터벌림(반설음) 등이다. 김숙자의 춤들은 한 개인의 춤을 넘어 그 시대의 경기 지역적 문화양식과 삶을 엿볼 수 있으며, 전통문화에 대한 학술적 사료로써 큰 가치를 지닌다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귀중한 전통문화 사료를 잘 보존하고 전승할 책임이 현 세대에게 필요하다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