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sla dianthera M.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9초

10종 꿀풀과(Lamiaceae) 식물 종자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y of ten Lamiaceae plant seed extracts)

  • 김준혁;이희호;박충열;김현민;정영호;김세현;나채선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5권3호
    • /
    • pp.121-128
    • /
    • 2022
  • 본 연구는 꿀풀과 식물 종자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평가를 통해 식물 유래 천연 항산화제를 탐색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충실률 90% 이상이고 발아율이 50% 이상인 종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속단(6.2 mg GAEs/g seed), 향유(4.5 mg GAEs/g seed)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향유(1.0 mg QEs/g seed), 속단(0.6 mg QEs/g seed)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종자 추출물의 EC50 값을 기준으로 향유(27.5 ㎍/mL), 쥐깨풀(29.2 ㎍/mL), 꿀풀(33.3 ㎍/mL)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은 꿀풀(25.6 ㎍/mL), 향유(25.9 ㎍/mL), 쥐깨풀(27.6 ㎍/mL)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FRAP 평가는 꿀풀(2910.4 μM Fe(II)/g extract), 향유(2836.2 μM Fe(II)/g extract), 쥐깨풀(2754.4 μM Fe(II)/g extract)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항산화 활성을 기반으로 한 군집분석에 따라 10종은 항산화 활성이 낮은 group 1에서 활성이 높은 group 3까지 3개의 group으로 분류하였으며, 향유, 쥐깨풀, 꿀풀 종자는 group 3에 속하였다.

마이크로파 추출공정에 의한 쥐깨풀 유용성분의 추출조건 최적화 (Optimization of Microwave-Assisted Process for Extraction of Effective Components from Mosla dinthera M.)

  • 이은진;권영주;노정은;이정은;이성호;김재근;김광수;최용희;권중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617-623
    • /
    • 2005
  • 마이크로파에 의한 자생식물 쥐깨풀(Mosla dianthera M.)의 유용성분을 효율적으로 추출하고자 중심합성계획에 의해 마이크로파 용량($X_1,\;0\~160$ W)과 추출시간($X_2,\;1\~5$분)을 독립변수로 하여 $75\%$ 에탄을 추출물의 품질특성인 총 수율($Y_1$),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Y_2$),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Y_3$) 및 전자공여능($Y_4$)을 각각 종속변수로 하여 10개 조건에 따른 추출방법에 대한 반응표면 회귀분석하였다. 종속변수들에 대한 결정계수($R_2$)는 $0.8397\~0.9801$ 범위로 나타났다. 추출물 성분들의 최대 예측값과 최적 추출조건은 총 수율 $6.76\%$(microwave power 142 W, extraction time 4.36 min), 총 페놀 함량 78.68 $mg\%$(136.78 W, 4.40 min),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6.75 mg/g(159.69 W, 3.17 min) 및 전자공여능 $49.81\%$(133.87 W, 4.47 min)으로 각각 나타났다. 추출물의 기능적 품질특성을 고려한 추출조건 범위는 마이크로파 용량 $79\~l13$ W, 추출시간 $2.73\~3.84$분이었다.

순형과(脣形科) 종실유(種實油)의 지질분획별(脂質分劃別) 지방산(脂肪酸) 조성(組成)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Composition of Fatty Acid in the Lipid Classes of Seed Oils of the Labiatae Family)

  • 조용계;이왕경;임영주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3-23
    • /
    • 1988
  • Contents of total lipids, neutral lipids, glycolipids and phospholipids of seed oils of 16 species of the Labiatae family were determined and their fatty acid compositions were analyzed by gas-liquid chromatography.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Lipid contents of seeds were shown to be 40.6% in Perilla frutescens Britton var. japonica, 32.2% in P. frutescens britton var. acuta, 31.9% in lsodon japonicus, 32.7% in l. inflexus, 48.3% in l. serra, 35.1% in Mosls dianthera, 38.2% in M. punctulata, 33.4% in Nepeta cataria, 26.3% in Agastache rugosa, 30.9% in Eisholtzia ciliata, 18.9% in Salvia splendens, 23.9% in Lycopus maackianus, 49.5% in Clinopodium chinense var. parviflorum, 30.9% in Ametystea caerulea, 33.1% in Leonurus sibircus and 34.3% in Scutellaria basicalensis. 2) Contents of neutral lipids, glycolipids and phospholipids from the seed oils amounted to 98.6%, 0.7%, 0.8% in P. frutescens Britton var. japonica; 95.5%, 1.3%, 3.1% in P. frutescens Britton var. acuta; 95.1%, 1.8%, 3.1% in l. japoincus; 91.4%, 3.5%, 5.1% in l. inflexus; 96.8%, 0.7%, 2.5% in l, serra; 96.0%, 1.8%, 2.2% in Mosla dianthera; 94.7%, 2.0%, 3.3% in M. punctulata; 90.1%, 2.4%, 7.5% in Nepeta cataria; 90.1%, 3.4%, 6.5% in Agastache rugosa; 86.3%, 3.3%, 10.4% in Elsholtzia ciliata; 94.3%, 1.5%, 4.3% in Salvia splendens; 87.2%, 2.9%, 9.0% in Lycopus maackianus; 87.0%, 1.5%, 11.5% in Clinopodium chinense var. parviflorum; 91.8%, 1.6%, 6.6%; 95.5%, 0.4%, 4.1% in Leonurus sibricus; 89.0%, 1.4%, 9.6% in Scutellaria baicalensis. 3) Total lipids revealed the predominace of unsaturated fatty acids (82.0-94.5%) and larger variations were found in the composition of ${\alpha}-linolenic$ acid (0.4-67.9%) and linoleic acid (11.2-82.9%). High level of ${\alpha}-linoenic$ acid was present in P. frutescens Britton var. japonica (67.9%), P. frutescens Britton var, acuta (66.0%), lsodon japonicus (65.2%), l. inflexus (59.0%), l. serra (57.3%), Mosla dianthera (60.9%), Nepeta cataria (58.3%), Agastache rugosa (58.5%) and Elsholtzia ciliata (46.2%), and followed by linoleic acid (11.2-32.1%) and oleic acid (9.3-12.2%). However, linoleic acid was the most predominant component in the total lipids of Clinopodium chinense var. parviflorum (62.4%), Ametystea caerules (82.9%), Leonurus sibricus (60.9%) and Scutellaria baicalensis (63.4%), with very small amounts of ${\alpha}-linolenic$ acid (0.4-3.1%). The total lipids of Salvia splendens, Lycopus maackianus and Mosla punctulata also contained linoleic acid of 31.3%, 48.8% and 53.4%, with a considerable amount of ${\alpha}-linolenic$ acid of 34.5% 27.0% and 16.7%. Palmitic acid was the major saturated fatty acid in all the oils investigated (4.1-14.2%). 4) Fatty acid profiles of neutral lipids bore a close resemblance to those of total lipids in all the seed oils, but different from those of glycolipids and phospholipids. Fatty acid composition pattern of glycolipids and phospholipids showed a considerably increased level of saturated fatty acids (19.0-66.8%, 17.8-35.2%) mainly composed of palmitic acid and stearic acid, and a noticeable low level of unsaturated fatty acids (41.2-80.9%, 64.7-82.1%) which was ascribed to the decrease in ${\alpha}-linolenic$ acid of high ${\alpha}-linolenic$ acid seed oils, and in linoleic acid of high linoleic seed oils, compared to that of total lipids and neutral lipids.

꼬마잠자리 서식지의 식물상과 생활형 (Flora and Life Form of Habitats for Nannophya pygmaea Rambur)

  • 김명현;한민수;최철만;방혜선;정명표;나영은;강기경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06-213
    • /
    • 2010
  • 본 연구는 꼬마잠자리 복원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이들 서식지의 환경과 식물상을 조사하였다. 꼬마잠자리 서식지의 환경적 특성은 상관이 수목에 의해 가려지지 않는 즉 직사광선이 차단되지 않는 개방된 습지로써 연중 물이 마르지 않고 수심 2-10 cm정도를 유지하고 있었다. 수질분석결과 pH와 EC는 매우 넓은 범위의 값을 나타냈고, T-N과 T-P는 매우 높은 값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수질이 꼬마잠자리의 서식지에 직접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꼬마잠자리 서식지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은 35과 60속 67종 2아종 14변종 3품종으로 총 86분류군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과별로는 사초과와 벼과가 가장 많이 차지했다. 조사지역 간 공통으로 출현한 식물종은 쇠뜨기, 버드나무, 고마리, 벼룩나물, 좀고추나물, 매듭풀, 바늘꽃, 미나리, 쥐깨풀, 통발, 질경이, 골등골나물, 별날개골풀, 골풀, 청비녀골풀, 사마귀풀, 뚝새풀, 조개풀, 도깨비사초, 방동사니대가리, 쇠털골, 바늘골로 총 22분류군이었다. 출현한 관속식물의 생활 조성을 살펴보면, 휴면형은 HH형이 39분류군(45.3%), 번식형에서 지하기관형은 R5가 42분류군(48.8%), 산포기관형은 중력산포형(D4)이 59분류군(68.6%), 생육형은 직립형(e)과 총생형(t)이 각각 23분류군(26.7%)으로 조사되어 꼬마잠자리 서식지의 생물학적 유형(biological type)은 HH-R5-D4-e(t)임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