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rus alba L.

검색결과 233건 처리시간 0.035초

DAD/UV HPLC를 이용한 뽕잎과 오디(Morus alba L.)에 함유된 Stilbenoids 조성 및 함량 분석 (Composition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Stilbenoids in Mulberry (Morus alba L.) Leaves and Fruits with DAD/UV HPLC)

  • 김지선;하태열;안지윤;김현구;김선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24-128
    • /
    • 2008
  • 본 연구는 DAD/UV HPLC를 이용하여 뽕잎과 오디(Morus alba L.)에 함유되어 있는 stilbenoids의 조성과 함량을 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뽕잎과 오디추출물을 DAD를 이용하여 최대흡광파장을 탐색한 결과 308 nm로 나타났으며, stilbenoids 조성이 오디에는 resveratrol, piceatannol, rhapontigenin, astringin, pterostilbene, piceid, rhaponticin, 뽕잎에는 resveratrol, rhapontigenin, pterostilbene, piceid이 함유된 것으로 나타났다. 오디와 뽕잎의 총 stilbenoids 함량은 $609.15{\pm}7.24$ mg/100 g d.w.와 $188.57{\pm}1.70$ mg/100 g d.w.였으며, rhaponticin은 오디($389.26{\pm}5.22$ mg/100 g d.w.)와 뽕잎($99.17{\pm}2.79$ mg/100 g d.w.) 모두 가장 많은 함량이 함유되어 있었다. Astringin과 piceatannol은 오디에서만 검출되었으며 vitisin A는 모두 검출되지 않았다. Piceid와 rhaponticin은 이의 비배당체인 resveratrol과 rhapontigenin보다 과량 함유되어 있어 비배당체보다는 배당체의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오디 생산용 뽕나무 품종 '상마루'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mulberry cultivar 'Sangmaru' (Morus alba L.) for mulberry fruit production)

  • 성규병;김용순;김기영;지상덕;김현복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110-117
    • /
    • 2015
  • 주로 누에사육을 위한 사료 생산용으로 이용되던 뽕나무의 용도가 다양화 되면서, 부산물로 이용되어 온 오디가 새로운 소득작목으로 정착되어 가고 있다. 이에 따라 오디 생산에 적합한 뽕 품종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있어, 새로운 오디용 뽕품종으로 "상마루"를 육성하여 품종 보호출원하였으며(출원번호: 2015-418)하였다. 이 품종의 육성 경위와 특성은 아래와 같다. 1. '상마루'는 국립농업과학원 잠사양봉소재과 수원 뽕나무 유전자원 포장에 보존되어 있던 '청일' 품종의 겨울눈에 콜히친을 처리하여 4배체로 만든 계통을 '수원상 102호'로 명명하였다. 2. '수원상 102호'를 '08-'12년까지 3개 지역(수원, 청주 및 장성)에서 '청일'을 대조품종으로 하여 지역적응 시험을 하였으며, 직무 육성신품종 심의회에서 오디생산용으로 우수한 품종임이 인정되어 품종으로 보호 출원하였다. 3. '상마루'는 백상형(Morus alba L.)에 속하는 암나무이며, 발아개엽기는 청일뽕과 비슷한 직립성의 중생종이다. 4. 오디는 식재 후 3년차부터 결실하기 시작하였으며, 식재 후 3년차('10, 결실 1년차)에는 대조품종인 '청일'보다 14%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식재 후 4년차('11, 결실 2년차)에는 7% 낮았고, 5년차('12, 결실 3년차)부터 7년차('14, 결실 5년차) 까지는 6 ~ 11% 높아, 시험기간 결실 5년간의 평균수량은 '청일'보다 6% 증수되었다. 5. 오디 한 개의 무게인 단과중은 3.8g으로 '청일' 품종 2.3 g에 비하여 무거운 중과형이며, 완숙된 오디의 색상은 검은색으로, 오디의 당도는 '청일'보다 약간 낮다.

국상(Kuksang) 뽕잎(Morus alba L.)으로부터 α-amylase와 α-glucosidase 저해 물질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Inhibitory Compounds from Morus alba cv. Kuksang on α-amylase and α-glucosidase)

  • 최무영;조영제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8호
    • /
    • pp.870-879
    • /
    • 2015
  • 109종의 뽕잎 종류 중 국상 품종 뽕잎으로부터 α-amylase와 α-glucosidase 저해작용을 가지는 페놀성화합물을 분리하여 저해활성을 검토하였다. 국상 뽕잎의 물추출물에서 α-amylase와 α-glucosidase 저해 활성이 각각 93.8%와 48.7%를 나타내었다. 국상뽕잎 추출물의 페놀화합물의 함량은 물 추출물에서 9.7±0.2 mg/g, 60% ethanol 추출물에서 14.3±0.2 mg/g으로 나타났으며, 국상뽕잎 물 추출물 200 μg/ml의 농도에서 α-amylase와 α-glucosidase 저해활성이 각각 100%와 82.6%로 나타났다. 국상뽕잎으로부터 α-amylase와 α-glucosidase 저해활성을 가지는 천연물을 분리하기 위하여 국상뽕잎 물추출물을 Sephadex LH-20과 MCI-gel을 이용하여 normal phase type인 EtOH→H2O와 reverse phase type인 H2O→MeOH로 유기용매의 농도를 증가시키며 gradient로 용출하여 정제하였다. α-Amylase와 α-glucosidase 저해활성을 가지는 정제물은 FAB-MS, NMR과 IR spectrum을 구조 분석한 결과 quercetin으로 동정되었다.

Antioxidative flavonoids from the Leaves of Morus alba

  • Kim, Sun-Yeou;Gao, Jian Jun;Lee, Won-Chu;Ryu, Kang-Sun;Lee, Kang-Ro;Kim, Young-Choong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2권1호
    • /
    • pp.81-85
    • /
    • 1999
  • Nine flavonoids (1-9) were isolated from the leaves of Morus alba (Moraceae). The structures of compounds were determined to be kaempferol-3-O-$\beta$-glucopyranoisde (astragalin, 1) kaempferol-3-O-(6"-O-acetyl)-$\beta$-D-glucopyranoside (2), quercetin-3-O-(6"-O-acetyl)-$\beta$-D-glucopyranoside (3), quercetin-3-O-$\beta$-D-glucopyranoside (4), kaempferol-3-O-$\alpha$-L-rhamnopyranosyl-(1 6)-$\beta$-D-glucopyranoside (5), quercetin-3-O-$\alpha$-L-rhamnopyranosyl-(1 6)-$\beta$-D-glucopyranoside (rutin, 6), quercetin-3-O-$\beta$-D-glucopyranosyl-(1 6)-$\beta$-D-glucopyranoside (7), quercetin-3,7-di-O-$\beta$-D-glucopyranoside (8) and quercetin (9) on th basis of spectroscopic and chemical studies. Compounds 7 and 9 exhibited significant radical scavenging effect on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 PDF

Root Bark of Morus alba L. and Its Bioactive Ingredient, Ursolic Acid, Suppress the Proliferation of Multiple Myeloma Cells by Inhibiting Wnt/β-Catenin Pathway

  • Song, Geu Rim;Choi, Yoon Jung;Park, Soo Jin;Shin, Subeen;Lee, Giseong;Choi, Hui Ji;Lee, Do Yup;Song, Gyu-Yong;Oh, Sangtae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1권11호
    • /
    • pp.1559-1567
    • /
    • 2021
  • The root bark of Morus alba L. has cytotoxic activity against several types of cancer cells.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its chemopreventive mechanisms and bioactive metabolites. In this study, we showed that M. alba L. root bark extracts (MRBE) suppressed β-catenin response transcription (CRT), which is aberrantly activated in various cancers, by promoting the degradation of β-catenin. In addition, MRBE repressed the expression of the β-catenin/T-cell factor (TCF)-dependent genes, c-myc and cyclin D1, thus inhibiting the proliferation of RPMI-8226 multiple myeloma (MM) cells. MRBE induced apoptosis in MM cells, as evidenced by the increase in the population of annexin VFITC-positive cells and caspase-3/7 activity. We identified ursolic acid in MRBE through LC/mass spectrum (MS) and observed that it also decreased intracellular β-catenin, c-myc, and cyclin D1 levels. Furthermore, it suppressed the proliferation of RPMI-8226 cells by stimulating cell cycle arrest and apoptosi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MRBE and its active ingredient, ursolic acid, exert antiproliferative activity by promoting the degradation of β-catenin and may have significant chemopreventive potential against MM.

다수성이고 발근력이 강한 뽕품종 ′밀성뽕′육성 (Breeding of High Yielding and Easily Rootable Mulberry Cultivar ′Milsungppong′(Morus bombycis KOIDZ))

  • 성규병;김현복;남학우;이상욱;구태원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9-15
    • /
    • 2001
  • New Mulberry Cultivar, Milsungppong, was selected from F1 seedlings obtained by crossing the female, 4X Keomseolppong, and the male, Kaeryangppong. Local adaptability test has been carried out at five places(Suwon, Chunchun, Cheongju, Kongju and Sangju) for four years since 1992. Leaf quality was tested by silkworm rearing for two silkworm rearing seasons(spring and autumn) at Suwon in 1995. From these tests, Milsungppong was found to be superior to control cultivar, cultivar, Kaeryangppong, in productivity, rootability and shoot cold injury. The new cultivar, Milsungppong, has following agronomic characteristics as compared with Kaeryangppong, the most prevailing cultivar, Milsungppong, has following agronomic characteristics as compared with Kaeryangppong, the most prevailing cultivar in Korea It is triploid cultivar belonging to Morus bombycis KOIDZ with the leaf shape of five lobes, sprouting in spring nearly the same to the Kaeryangppong (Morus alba L.), high leaf yielding of 25% compared to Kaeryangppong (Morus alba L.) and the medium degree of cold resistance. It is adaptable to every where in Korea except the area cold injury broken out habitually. Milsungppong is recommended to rear silkworms not only in spring but also in autumn besides for young silkworms.

  • PDF

각종조건과 상수의 단위조장당엽량과의 관계 (On the relation between the yield for unit length of mulberry branch and several factors)

  • 김문협;유근섭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6권
    • /
    • pp.1-8
    • /
    • 1966
  • 각종 조건이 상수의 조장 1,000m당 엽량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를 조사하였다. 1. 품종과의 관계 각 계통별 평균치에서는 106~109kg로 거의 차가 없으며 엽량의 계층별 분포상황은 Morus bombycis koidz. 계통이 가장 그 폭이 좁아서 60~160kg의 범위내에 있고 Morus Lhou(Ser.) koidz. 계통은 50~170kg, Morus alba L. 계통은 50~180kg의 범위내에 있다. 그러나 전품종의 79%는 80~140kg의 범위내에 있고 특히 Morus Lhou(Ser.) koidz. 계통은 그 85%가 이 범위내에 있다. 그리고 각 계통마다 1~2개의 Peak가 있으니 즉 Morus bombycis koidz.는 80~90kg와 120~140kg의 계층에 가장 많이 분포해 있고, Morus alba L. 계통은 90~100kg, Morus Lhou(Ser.) koidz. 계통은 100~110kg의 계층에 가장 많이 분포해 있다. 2. 정지법과의 관계 근예정지의 85kg에 대해서 다한식정지는 149kg로 근예정지에 비해서 75%가 더 많다. 3. 지조의 벌채정도와의 관계 무벌채구의 140kg에 대해 조장의 1/3벌채구는 166kg, $\frac{1}{2}$벌채구는 188kg로 무벌채구에 비해 각각 19%와 34%가 많았다. 그러나 이와같은 엽량의 증가는 주로 신소엽량중의 신소량의 증가에 기인하였다. 4. 지조의 세태와의 관계 동일 주내에 있어서 세조는 66kg, 중조는 80kg이었으나 유의차는 없었고, 태조는 150kg로 중조에 비해 88%나 더 많았다. 또 조경과의 관계에 있어서도 조경 10cm당 엽량에 있어서 세조는 811g, 중조는 875g이었으나 유의차는 없었고, 태조는 1,461g로 중조에 비해 67%나 더 많았다. 그리고 전지조의 평균은 1,201g이었다.

  • PDF

항산화 효소의 산화적 변형에 뽕잎 발효물이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rmented Mulberry Leaves (Morus alba L.) on Oxidative Modification of Antioxidnat Enzymes)

  • 강정훈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985-994
    • /
    • 2019
  • 뽕잎 (Morus alba L.)을 노루궁뎅이 버섯균사체(Hericium erinaceum)로 발효시켜 열수 추출한 발효물(MA-HE)이 항산화 효소인 Cu,Zn-superoxide dismutase (SOD)와 ceruloplasmin (CP)의 산화적 변형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세포질에서 중요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Cu,Zn-SOD와 CP는 모두 구리이온을 포함하는 단백질이다. MA-HE은 peroxyl radical에 의해 변형되는 Cu,Zn-SOD와 CP를 모두 보호하였다. MA-HE은 peroxyl radical에 의한 Cu,Zn-SOD의 단백질 fragmentation과 효소의 inactivation을 모두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또한, MA-HE는 CP의 fragmentation과 inactivation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MA-HE가 peroxyl radical을 소거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 지를 확인하기 위해 thiobarbituric acid를 이용한 활성 측정법으로 관찰한 결과, MA-HE는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비례적으로 peroxyl radical 소거 활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MA-HE는 $100{\mu}g/mL$에서 44.03% 소거활성을 나타냈다. 따라서, MA-HE는 peroxyl radical을 효과적으로 소거함으로서 세포 내의 항산화 효소를 산화적 손상으로부터 보호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와 같은 결과는 MA-HE가 세포 내에서 발생하는 활성산소종을 효과적으로 소거하여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해 야기되는 세포 독성에 대한 보호 작용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상백피에 의한 MC/9 비만세포의 활성 억제 조절 연구 (Suppressive effects of Morus alba Linne Root Bark (MRAL) on activation of MC/9 mast cells)

  • 이기전;김복규;길기정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33-42
    • /
    • 2013
  • Objective : Morus alba Linne Root Bark (MRAL) is a medicinal herb in Korean Medicine, known for its anti-inflammatory and anti-allergic properties. However, its mechanisms of action and the cellular targets have not yet been found and the study was developed to investigate the allergic suppressive effect of MRA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llergic suppressive effects of MRAL on activation of MC/9 mast cells. Methods : Cytotoxic activity of MRAL (50, 100, 200, 400 ${\mu}g/mL$) on MC/9 mast cells measured using EZ-Cytox cell viability assay kit (WST reagent). The levels of interleukin-5 (IL-5), IL-13 and IL-4, IL-5, IL-6, IL-13 mRNA expression were measured b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and real-time PCR respectively. The expression of transcription factors such as GATA-1, GATA-2, NFAT, AP-1 and NF-${\kappa}B$ p65 DNA binding activity were measured by western blot and electrophoresis mobility shift assay (EMSA). Results : Our results indicated that MRAL (50 ${\mu}g/mL$, 100 ${\mu}g/mL$) significantly inhibited PMA/Ionomycin-induced production of IL-5 and IL-13 and the expression of IL-4, IL-5, IL-6 and IL-13 mRNA in MC/9 mast cells. Moreover, MRAL (50 ${\mu}g/mL$, 100 ${\mu}g/mL$) inhibited PMA/Ionomycin-induced GATA-1, GATA-2, NFAT-1, NFAT-2, c-Fos protein expression and NF-${\kappa}B$ p65 DNA binding activity in MC/9 mast cells. Conclusions : In conclusion, we suspect the anti-allergenic activities of MRAL, may be related to the regulation of transcription factors GATA-1, GATA-2, NFAT-1, NFAT-2, c-Fos and NF-${\kappa}B$ p65 DNA binding assay causing inhibition of Th2 cytokines IL-5 and IL-13 in mast cells.

새로운 항산화제 검색법에 의한 SOD Mimic 천연 약물의 개발-상백피의 항염증효과 (Development of the SOD Mimics from the Natural Product by a Novel Biosystem-Antiinflammatory Effect of Morus alba)

  • 정경욱;남경수;박종희;문전중리;문전옥
    • 생약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7
    • /
    • 1998
  • Aqueous extract of Morus alba L. blocked the toxic effect of paraquat on E. coli growth. The active components in the extract may be capable of crossing the cell membranes and protect against superoxide toxicity in E. coli, The extract inhibited $FeSO_4/H_2O_2$ induced lipid peroxidation in rat liver homogenate and protected against t-butyl hydroperoxide caused Ac2F cell damage. Moreover, the extract showed inhibitory effect on phospholipase $A_2$ activity in a dose dependent manner. Antiinflammatory effect of the extract was further investigated using the carrageenin-induced oedema model. A single adminstration of the extract (3g/kg body, p.o.) was more effective than indomethaci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the active components would have significant therapeutic application to inflammation associated with oxygen radical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