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rtierella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38초

Three New Records of Mortierella Species Isolated from Crop Field Soil in Korea

  • Yadav, Dil Raj;Kim, Sang Woo;Adhikari, Mahesh;Um, Yong Hyun;Kim, Hyun Seung;Kim, Changmu;Lee, Hyang Burm;Lee, Youn Su
    • Mycobiology
    • /
    • 제43권3호
    • /
    • pp.203-209
    • /
    • 2015
  • Three new fungal species of the genus Mortierella, Mortierella zychae, Mortierella ambigua, and Mortierella indohii, have been reported in Korea. The fungi were encountered during a study on the fungal community of soil samples collected from different locations in Korea. The species were identified based on molecular and morphological analyses. This study presents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morphological observations and molecular phylogenetic analysis of these three fungi. All three species were found to be sensitive to triphenyltetrazolium chloride staining. M. zychae demonstrated the highest intensity of mycelial staining, indicating that this species has the highest potential to produce arachidonic acid of the three species. The staining results indicated that the newly recorded species could potentially be useful for arachidonic acid production.

Molecular Phylogeny and Morphology Reveal the Underestimated Diversity of Mortierella (Mortierellales) in Korea

  • Lee, Jae-Sung;Nam, Bora;Lee, Hyang Burm;Choi, Young-Joon
    • 한국균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375-382
    • /
    • 2018
  • Members of the genus Mortierella (Mortierellales) are filamentous fungi, which are found on nearly all substrates, but more frequently in soil. Till date, 7 species of Mortierella have been reported in Korea, but being a ubiquitous group with high species diversity in temperate zones, this number is still low. During a survey of fungal biodiversity in Korea, we collected many isolates of Mortierella, and through morphological and molecular phylogenetic analyses, identified them to be 3 previously unrecorded species, namely, M. chienii, M. epicladia, and M. gamsii. A total of 10 Mortierella species in Korea, including the 3 species reported in the present study, are widely distributed in 5 out of 7 phylogenetic groups of this genus. This indicates that the diversity of Mortierella was so far underestimated in Korea. Multi-locus sequence analysis is required to provide a more reliable backbone for some uncertain phylogenetic groupings and to more clearly define a species of Mortierella, which would encourage deeper research in the diversity and ecological roles of Mortierella and allied genera.

흰쥐의 Mortierella alpina 균사체와 추출유의 섭취에 의한 생육 효과와 학습능력 비교 (The Effects of Mortierella alpina Fungi and Extracted Oil (Arachidonic Acid Rich) on Growth and Learning Ability in Dam and Pups of Rat)

  • 이승교;강희윤;박영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1084-1091
    • /
    • 2002
  • 아라키돈산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점차 증가하면서 생산가능한 균주로서 독성을 보이지 않는 Mortierella alpina를 이용할 때 오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곰팡이의 추출유와 곰팡이 자체의 섭취로서 arachidonic acid를 섭취토록 하여 생육과 뇌발달 및 학습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조군으로서 우지를 섭취시킨 쥐와 비교할 때 식이군별 암컷의 체중변화에서는 비교적 체중이 증가되지 않은 군은 Mortierella alpina섭취군으로 나타났으며 새끼를 젖뗀 후 심하였지만 개체 차이가 심하여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분만 직후의 체중증가는 수유동안 감소가 일어나 이유시기에는 체중 감소가 각군 모두에서 일어났다. 새끼에서는 이유전까지는 체중증가에 어미의 식이군에 따른 차이가 전혀 보이지 않았으나 이유 후 식이섭취 동안 군별 차이가 있어 특히 적은 양을 섭취한 Mortierella alpina 섭취군(LF)에서 체중이 가장 적었다. 섭취량자체도 적었고 증체량도 적었기에 이에 대한 식이 효율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어미와 새끼의 미로실험에서 어미의 경우는 식이별 통계적 유의성을 볼 수 없었으며 또한 2차에 걸친 시기에서도 학습효과를 볼 수 없었다. 그러나, 이유가 새끼의 미로 측정 결과를 보면, 통제군에 비하여 고추출유섭취군(HO)에서 실수의 빈도가 감소하였고 backing error빈도는 다른 군보다 낮았다고 볼 수 있어 긴사슬 지방산의 효과를 일부 추정할 수 있었다. 그러나 성숙기인 7주령에 시행한 미로실험 에서는 유의적 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뇌의 성장에 이유기까지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는 좋은 결과로 보며, 지방급원으로서 곰팡이 자체의 섭취군에서는 통계적 유의차를 나타내지 않아 불포화지방산의 효과를 추정하기 어려우며 곰팡이의 체내 소화작용이나 식이섭취에 다른요인이 있을 것으로 생각할 수 있었다. 어미와 새끼의 DNA함량을 비교하면 Mortierella alpina 섭취군의 체중 증가의 지연에서 보듯이 뇌의 성장에서도 지연됨(무게감소)과 함께 DNA함량에서도 적게 나타났으나 어미의 경우, 간과 뇌의 DNA함량에 식이군간의 유의차가 없었다. 그러나 이유기 새끼의 뇌의 DNA함량은 Mortierella alpina 섭취군이 가장 적었고 간의 DNA 함량은 차이가 없었다. 새끼의 성숙기에는 식이군 간 차이가 있어 뇌의 DNA함량은 여전히 적었으나 간의 DNA함량에서는 체중 g당 환산할 때 Mortierella alpina를 적게 섭취한 군(LF)이 더 많아서 신체에서 간이 더 커진 모습을 보였다 아라키돈산의 섭취가 특히 어린시기의 뇌발달에 필요함을 인식할 때, 아라키돈산의 급원으로서 식이에 일정비율 공급할 필요에 맞추어 다량 생산할 수 있는 기반이 Mortieralla alpina 곰팡이를 이용함으로서 가능한 것으로 볼 수 있었다. 곰팡이의 배양과 기름의 추출과정을 통하여 생산된 기름의 섭취에서 생육에 문제를 보이지 않았으며 다량의 함유 아라키돈산의 효과를 미로를 이용한 실험에서 확인되었다. 고도의 불포화지방산을 함유하기에 산화과정을 우려하여 곰팡이 자체를 섭취시켜 본 결과 성장이 느리게 진행되는 것으로 나타났기에 이는 진균류의 세포막을 분리하여 내부에 포함된 지방을 이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아라키돈산의 가격이 워낙 비싸기에 쉽게 이용할 수 있는 Mortierella alpina를 이용한 추출유로 충분한 식품첨가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고 보지만 기타 미량 성분에 대한 추적이 요구되며 모든 공정에서 문제를 발견하지 못할 때 식품산업에 응용할 수 있을 것이다.

First Report of Mortierella alpina (Mortierellaceae, Zygomycota) Isolated from Crop Field Soil in Korea

  • Yadav, Dil Raj;Kim, Sang Woo;Babu, Anam Giridhar;Adhikari, Mahesh;Kim, Changmu;Lee, Hyang Burm;Lee, Youn Su
    • Mycobiology
    • /
    • 제42권4호
    • /
    • pp.401-404
    • /
    • 2014
  • A new recorded species of Mortierella was recovered during the investigation of fungal communities in soil samples collected from different locations of Gangwon-do, Korea. The species was identified and described as Mortierella alpina on the basis of phylogenetic analysis of internal transcribed spacer sequences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This species has not been officially reported from Korea thus far.

Mortierella alpina를 이용한 아라키돈산의 생산에서 유기질소원의 선정과 배양 조건의 최적화 (Selection of organic Nitrogen Source and Optimization of Culture Conditions for the Production of Arachidonic Acid from Mortierella alpina)

  • 유연우;하석진;박장서
    • KSBB Journal
    • /
    • 제19권1호
    • /
    • pp.78-82
    • /
    • 2004
  • 곰팡이인 Mortierella alpina DSA-12를 이용한 arachidonic acid의 생산을 위한 유기질소원의 선정과 배양 조건의 결정에 연구를 수행하였다. Corn steep powder (CSP)를 원료의 가격과 arachidonic acid의 생산을 기준으로 유기질소원으로 선정하였다. 탄소원으로 glucose와 질소원으로 CSP를 사용한 경우에 최적의 C/N ratio는 15-17 범위이다. Arachidonic acid의 생산을 위한 최적의 배양조건은 $25^{\circ}C$에서 500 rpm의 교반과 0.5 vvm의 통기이며, 이 때 50 g/L의 glucose와 18 g/L의 CSP로부터 21.8 g/L의 균사체량에 10.2 g/L의 총 지질을 얻을 수 있었으며, arachidonic acid의 농도는 3.70 g/L이었다. 500 L의 발효조에서 0.5 vvm과 200 rpm의 교반으로 실험을 수행한 결과 19.8 g/L의 균사체량과 9.1 g/L의 총 지질 및 3.67 g/L의 arachidonic acid를 얻었다. 이러한 결과는 bench-scale의 발효조에서도 질소원으로 CSP를 이용하여 arachidonic acid의 생산이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모르티에렐라(Mortierella)속 유래 단세포유지로부터 추출한 지방질의 탈색 (Bleaching of Lipids Extracted from Single Cell Oil Produced by Mortierella sp.)

  • 김선기;정국훈;한정준;조상우;윤석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405-408
    • /
    • 2015
  • 아라키돈산을 고농도로 함유한 유지를 생산하는 Mortierella sp. M-12로부터 얻은 균체 지방질을 식용에 적합하도록 정제하기 위하여 탈색 공정을 최적화하였다. 동결건조한 균체로부터 Folch's solvent를 사용하여 균체 지방질 조유를 얻은 후 탈검과 탈산을 거쳐 얻은 탈산유를 50-100 mmHg 진공 하에서 탈색을 진행하였다. 활성백토를 1% 수준으로 첨가하여 $90^{\circ}C$에서 20분간 수행하였을 때 식용유지 규격에 적합한 색상을 갖는 탈색유를 얻을 수 있었다. 탈색 공정 중에 부수적으로 일어난 탈검과 탈산 작용으로 인하여 탈색유의 인 함량은 31.7% 감소하였으며, 산값은 0.5로 감소하여 식용유지의 규격에 적합한 수준이 되었다. 모르티에렐라 단세포유지는 일반적인 유지의 탈색공정을 통하여 식용급 동식물 유지와 같은 수준의 탈색유를 얻을 수 있었다.

Production of Arachidonic Acid by Mortierella Fungi

  • Higashiyama, Kenichi;Fujikawa, Shigeaki;Park, Enoch Y.;Shimizu , Sakazu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7권5호
    • /
    • pp.252-262
    • /
    • 2002
  • The growing interest in the application of arachidonic acid (ARA) in various fields of health and dietary requirements has elicited much attention on the industrial production of ARA-containing oil by the cultivation of Mortierella fungi. For the industrial production of ARA, various studies, such as isolation of a high-potential strain and optimization of culture conditions, have been conducted. Studies including the investigation of morphology are important because ARA is accumulated in the mycelia, and thus cultivation with high biomass concentration is essential for obtaining a high ARA yield. Combining the results derived from various studies, a high ARA yield was attained in an industrial fermentor. These ARA production techniques are applicable to the production of other polyunsaturated fatty acids (PUFAs), and will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fermentation technology especially in the field of fungal cultivation.

Characterization of a Zygomycete Fungus, Mortierella minutissima from Freshwater of Yeongsan River in Korea

  • Nguyen, Thi Thuong Thuong;Lee, Hyang Burm
    • 한국균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346-349
    • /
    • 2016
  • During a survey of fungal diversity of the order Mortierellales, a zygomycete strain, EML-YS717-1, was isolated from a freshwater sample collected from the Yeongsan River in Gwangju, Korea. Based on its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a phylogenetic analysis of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1 and ITS2) and 5.8S rDNA sequences, the strain was identified as Mortierella minutissima.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M. minutissima, has not previously been authentically reported in Korea.

Mortierella sp. 유래 ${\alpha}$-Galactosidase의 기질특이성 (Substrate Specificities of ${\alpha}$-Galactosidase from Mortierella sp.)

  • 박귀근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45-251
    • /
    • 2011
  • Mortierella sp. 유래 효소 정제는 CM-sephadex C-50 column chromatography와 Sephadex G-100 column에 의해 수행하여 SDS-전기영동에서 단일밴드를 확인하였고 분자량은 57kDa로 결정되었다. melibiose, raffinose 및 stachyose의 세 종류의 기질에 대한 특이성에서는 Mortierella sp. 유래 정제 ${\alpha}$-galactosidase는 세 종류 기질의 비환원말단에 위치하고 있는 galactose를 모두 유리하는 특이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Bacillus sp. 유래의 $Gal^3Man_4$에 대해서 반응초기 3시간부터 가수분해가 진행되어 반응말기에서는 galactose, mannotetraose 그리고 분해되지 않고 일부 남아있는 $Gal^3Man_4$의 spot이 출현된 반면, 중합도 7의 $Gal^{2,3}Man_5$에 대해서는 반응초기부터 말기까지 전혀 특이성이 없음을 시사하였다. Trichoderma harzianum 유래의 $Gal^2Man_3$에 대해서는 반응초기 3시간부터 가수분해가 진행되어 일부 galactose와 mannotriose spot이 출현되고 있는 반면, 중합도 7의 $Gal^2Man_6$에 대해서는 Bacillus sp. 유래의 중합도 7의 $Gal^{2,3}Man_5$와 동일하게 galactose를 절단하는 능력이 없는 특이성을 보이고 있다. Xylogone sphaerospora 유래의 $Gal^2Man_3$는 Trichoderma harzianum 유래의 중합도 4와 동일한 구조로서 가수분해 시간 경과에 따른 반응말기에서 역시 galactose, mannotriose 및 잔존하는 $Gal^2Man_3$ spot이 출현하고 있는 반면 중합도 6인 $Gal^2Man_5$에 대해서는 mannopentaose의 환원말단부터 2번 mannose에 결합하고 있는 galactose에 대해서는 역시 특이성을 나타내지 않아 반응 초기부터 말기까지 가수분해 pattern에 대한 변화를 보이지 않고 있다.

First Reports of Unrecorded Mortierellomycetes and Umbelopsidomycetes Fungi from Freshwater Ecosystems in Korea

  • Jaeduk Goh;Yoosun Oh;Hye Yeon Mun
    • 한국균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155-165
    • /
    • 2023
  • In this study, we isolated several fungal strains from filtered water and sediment collected from rivers and streams. The strains were identified by molecular phylogenetic analyses of rDNA sequences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large subunit of ribosomal DNA [LSU]).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fungi were investigated using microscopy, and the culture characteristics of fungi grown on several media were examined. We identified four species previously unknown in South Korea, namely, Dissophora globulifera, Linnemannia exigua, Mortierella rishikesha and Umbelopsis autotrophic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