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nomer

검색결과 1,642건 처리시간 0.025초

실험적 접착레진의 단량체 조성비에 따른 중합률 및 전단결합강도 변화에 관한 연구 (CHANGES OF THE DEGREE OF CONVERSION AND SHEAR BOND STRENGTH ACCORDING TO THE MONOMER RATIO OF EXPERIMENTAL BONDING RESINS)

  • 문은재;김병현;조병훈;권혁춘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4권1호
    • /
    • pp.26-39
    • /
    • 1999
  • Bis-GMA, the representative monomer of bonding resin, contributes to the rigidity of bonding layer. Hydrophilic monomer contributes to the permeability into dentin substrates while weaken the bonding layer due to its small molecular weight. The degree of conversion also contributes to the ultimate strength of the bonding layer. This study was performed for the correlation analysis of monomer ratio and dentin bonding strength via degree of conversion. 7 experimental bonding resins were prepared with Bis-GMA, ratio from 20% to 80% by 10% increment, and hydrophilic HEMA monomer. Their degree of conversion and shear bond strength to dentin were compared with Scotchbond Multi-Purpose adhesive, and the fractured surfaces were examined microscopicall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degree of conversion increased when, the ratio of Bis-GMA increased from 20% to 70%, whereas it decreased when the ratio of Bis-GMA was 80%. 2. Shear bond strengths of the experimental bonding resins of 80%, 70%, 60% ratio of Bis-GMA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experimental bonding resin of 50% ratio of Bis-GMA and Scotchbond Multi-Purpose adhesive. Lower shear bond strengths were obtained with the experimental bonding resins of 40%, 30%, 20% ratio of Bis-GMA (p<0.05). 3. Adhesive fractures were associated with the bonding resins of the lower bond strength, while cohesive fractures within the bonding resin layer were associated with the bonding resins of higher bond strength. Bonding resins with shear bond strength higher than 18MPa showed some cohesive fractures within the composite resin or within the dentin. 4. Correlations between Bis-GMA ratio and the degree of conversion (r=0.826), between Bis-GMA ratio and shear bond strength (r=0.853), and between the degree of conversion and shear bond strength (r=0.786) were significant (p<0.05).

  • PDF

Oxidative Coupling에 의한 Nitroaromatics와 그 환원대사산물의 전환 (Transformation of Nitroaromatics and Their Reduced Metabolites by Oxidative Coupling Reaction)

  • 안미연;김장억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39-245
    • /
    • 1998
  • 부식형성과정에서 nitroaromatics와 그 환원산물들의 구조에 따른 bound residue형성 양상을 밝히기 위하여 nitrotoluene류, nitrophenol류와 그 환원형태의 화합물 및 nitro기를 가진 살충제 parathion과 amino기를 가진 제초제 asulam을 단독으로 또는 부식을 구성하는 humic monomer들이 존재하는 반응 조건에서 laccase와 HRP를 촉매로 사용하여 그 반응 양상을 조사하였다. Laccase와 HRP를 촉매로 하여 반응시킨 경우, humic monomer의 유무, 종류, nitro기의 결합위치와 수에 관계없이 nitrotoluene류와 nitrophenol류는 laccase와 HRP에 의해 거의 전환되지 않았고, aminotoluene류 및 amino-nitrophenol류는 전부 전환되었다. 일부가 환원된 형태인 amino-nitrotoluene류는 humic monomer에 따라 다른 전환율을 나타내는 데, catechol, syringaldehyde와 protocatechuic acid에서 가장 높은 전환율을 나타내었다. Nitro기가 있는 살충제 parathion은 humic monomer가 존재하는 반응 조건에서 거의 전환되지 않았고, 그 분해산물 4-nitrophenol의 경우도 protocatechuic acid를 제외하고는 거의 전환되지 않았다. Amino기가 있는 제초제 asulam의 경우, humic monomer가 존재하지 않는 조건에서는 거의 전환되지 않았지만 catechol, syringaldehyde, protocatechuic acid 및 caffeic acid의 경우, 비교적 높은 전환율을 나타났다.

  • PDF

St/BA의 모노머 비에 따른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olymer-Modified Mortars Using Styrene-Butyl Acrylate Latexes)

  • 형원길;문경주;송훈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8권6호
    • /
    • pp.785-791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스틸렌(styrene)과 부틸아크릴레이트(butyl acrylate)를 모노머 비에 따라 합성 제조하고, 합성 제조 된 시멘트 혼화용 폴리머를 혼입한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의 물리적 성질과 내구성에 대한 특성을 보통 시멘트 모르타르와 기존에 생산되어 현장에 적용되고 있는 St/BA계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실험 결과, St/BA의 모노머 비가 50:50, 60:40일 경우에는 시멘트 혼화용으로 사용하기에 가장 적합하였으며, 세공용적의 분포나 강도 특성에서도 우수한 결과를 나타냈다. 또한 방수성능과 염화물 이온에 대한 침투 저항성도 St/BA의 모노머비가 증가할수록, 폴리머 시멘트 비가 증가할수록 증진 효과가 우수한 결과를 나타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합성제조된 St/BA 라텍스를 시멘트 모르타르에 혼입할 경우 우수한 성능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A Study on the Preparation of Wood Plastic Combinations (II). Monomer Impregnations and Gamma-ray Induced Polymerizations

  • Pyun, Hyung-Chick;Kim, Jae-Rok;Lee, Kyung-Hee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4권1호
    • /
    • pp.23-30
    • /
    • 1972
  • 감마선 중합에 의한 목재와 프라스틱의 복합체 제조에 있어서, 각종 목재들에 대한 단량체의 침투량과 침투속도를 검토하였으며, 중합에 있어서는 국산 목재를 주로 하여 이에 각종 단량체 및 그 혼합물, 방사선의 조사량, 조사율, 이에 따르는 중합속도 등을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단량체 침투에 있어서, 침투속도나 침투량은 모두 포플라에서 컸다. 2) 목재내에서의 단량체의 중합속도는 비닐 아세테이트-메찔메타아크릴레이트-스타이렌의 순서이며 필요한 전 조사량은 조사율 4$\times$$10^4$rad/hr에서 3~15Mrad의 범위었다. 따라서 중합속도의 관점에서 볼때 비닐아세테이트나 메찔메타아크릴레이트가 좋은 단량체 이다. 3) 단량체와의 결합에 있어서 리기다송, 육송등이 중합속도로 보아 효과적인 목재이다. 4) 목재 내부에서 단량체는 비교적 낮은 조사율인 2.1$\times$$10^4$rad/hr에서 더 용이하게 중합되었다.

  • PDF

인계 난연 단량체와의 공중합을 통한 난연성 수성 아크릴 에멀젼 점착제 제조 (Synthesis of flame retardant acrylic emulsion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by co-polymerization with phosphoric flame retardant monomer)

  • 전민석;정지훈;김구니
    • 접착 및 계면
    • /
    • 제20권4호
    • /
    • pp.135-139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인계 난연성 단량체를 점착성 아크릴 단량체인 butyl acrylate, 2-ethylhexyl acrylate, methyl methacrylate, acrylic acid, 2-hydroxyethyl methacrylate와 고형분 65%에서 공중합을 진행하여 난연성 수성 아크릴 에멀젼 점착제를 합성하였다. 이때 전환율은 100%를 보이며 인계 난연 단량체의 첨가량에 따라 점착제의 점도에 차이가 발생하였고 최대 5500cps의 점도를 나타내었다. FT-IR로 아크릴 점착제의 구조분석을 진행하였고,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DSC) 열적 특성을 측정하였다. 인계 난연 단량체의 첨가에 따라 유리전이온도(Tg)는 미첨가시 -44.1℃에서 최대첨가량 15part에서 -31.4℃로 증가하였다. 박리강도는 미첨가시 2100gf/inch였으며 첨가량 15part에서는 200gf/inch를 나타내었고 난연성 수성 아크릴 에멀젼 점착제의 방염성을 평가하여 난연성 점착제로서의 특성 확인하였다.

글리콜라이드 단량체를 함유한 BICNU 함유 다중층 PLGA웨이퍼의 제조 및 특성결정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ICND-loaded Multi-Layer PLGA Wafer Containing Glycolide Monomer)

  • 채강수;이진수;정제교;조선행;이해방;강길선
    • 폴리머
    • /
    • 제28권4호
    • /
    • pp.335-343
    • /
    • 2004
  • 카뮤스틴 (1,3-bis(2-chloroethy1-nitrosourea, BICNU)은 뇌종양 치료를 위하여 임상적으로 사용되는 약물로 짧은 생물학적 반감기를 가지고 있어 장기방출에 적합하지 않다. 하지만, poly(D,L-lactide-co-glycolide) (PLGA)는 벌크 분해 특성으로 인해 약물의 장기방출에 유용하며, PLGA의 유도체인 글리콜라이드 단량체는 독성이 없고 PLGA와 유사한 생분해성을 가지고 있어 BICNU의 방출조절에 이용된다. 이 실험에서 BICNU를 함유한 PLGA 웨이퍼는 일반적인 직접압축법에 의해 제조한 후 BICNU의 방출거동과 웨이펴의 분해속도를 전자주사현미경, 핵자기공명장치 그리고 젤투과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관찰하였다. 또한, 글리콜라이드 단량체의 함량변화에 따른 다중층 웨이퍼를 제조하여 단일층 웨이퍼와의 방출거동을 비교하였다.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BICNU를 함유한 PLGA 웨이퍼의 약물방출은 BICNU와 글리콜라이드 단량체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고, 다중층 웨이퍼에서 외부층의 글리콜라이드 단량체와 BICNU가 약물방출 거동과 분해속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가열산화 대두유 및 돈지에서 생성된 산화물의 특성 (Characteristic of Oxidized Components Formed in Heated Soybean Oil and Lard)

  • 김인환;김영순;배송환;나경수;노동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308-313
    • /
    • 1999
  • 서로 다른 표면적을 가지고 $185^{\circ}C$에서 가열한 대두유 및 돈지의 극성지질함량 및 극성지질의 종류를 column chromatography와 HPSEC-ELSD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HPSEC 분석에 사용된 column은 두 종류 ($100\;{\AA}$$500\;{\AA}$)의 GPC용 column들을 사용하였으며 이동상으로는 THF를 사용하였다. 시료유지의 극성지질 분획으로부터 HPSEC를 이용하여 유리지방산, diglyceride, triglyceride monomer, triglyceride dimer, triglyceride polymer 등이 분리 확인되었다. Triglyceride monomer, triglyceride dimer와 triglyceride polymer는 가열시간 및 가열표면적이 증가함에 따라 비례적으로 증가함을 보였으나 diglyceride와 유리지방산의 경우에는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한편 triglyceride polymer (r>0.93), triglyceride dimer (r>0.97)와 triglyceride monomer (r>0.95)는 극성지질함량과 높은 상관 관계를 나타낸 반면 diglyceride (r<0.68)와 유리지방산 (r<0.76) 경우에는 낮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가열산화 중 생성되는 주요 산화물은 triglyceride 이상의 분자량을 갖는 고분자 물질이라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Investigation of the Copper (Cu) Binding Site on the Amyloid beta 1-16 (Aβ16) Monomer and Dimer Using Collision-induced Dissociation with Electrospray Ionization Tandem Mass Spectrometry

  • Ji Won Jang;Jin Yeong Lim;Seo Yeon Kim;Jin Se Kim;Ho-Tae Kim
    • Mass Spectrometry Letters
    • /
    • 제14권4호
    • /
    • pp.153-159
    • /
    • 2023
  • The copper ion, Cu(II), binding sites for amyloid fragment Aβ1-16 (=Aβ16 ) were investigated to explain the biological activity difference in the Aβ16 aggregation process. The [M+Cu+(z-2)H]z+ (z = 2, 3 and 4, M = Aβ16 monomer) and [D+Cu+(z-2)H]z+ (z = 3 and 5, D = Aβ16 dimer) structures were investigated using electrospray ionization (ESI) mass spectrometry (MS) and tandem mass spectrometry (MS/MS). Fragment ions of the [M+Cu+(z-2)H]z+ and [D+Cu+(z-2)H]z+ complexes were observed using collision-induced dissociation MS/MS. Three different fragmentation patterns (fragment "a", "b", and "y" ion series) were observed in the MS/MS spectrum of the (Aβ16 monomer or dimer-Cu) complex, with the "b" and "y" ion series regularly observed. The "a" ion series was not observed in the MS/MS spectrum of the [M+Cu+2H]4+ complex. In the non-covalent bond dissociation process, the [D+Cu+3H]5+ complex separated into three components ([M+Cu+H]3+, M3+, and M2+), and the [M+Cu]2+ subunit was not observed. The {M + fragment ion of [M+Cu+H]3+} fragmentation pattern was observed during the covalent bond dissociation of the [D+Cu +3H]5+ complex. The {M + [M+Cu+H]3+} complex geometry was assumed to be stable in the [D+Cu+3H]5+ complex. The {M + fragment ion of [M+Cu]2+} fragmentation pattern was also observed in the MS/MS spectrum of the [D+Cu+H]3+ complex. The {M + [y9+Cu]1+} fragment ion was the characteristic fragment ion. The [D+Cu+H]3+ and [D+Cu+3H]5+ complexes were likely to form a monomer-monomer-Cu (M-M-Cu) structure instead of a monomer-Cu-monomer (M-Cu-M) structure.

Pseudomonas sp. HJ에 의한 Poly(Hydroxybutyric-Co-Hydroxyvaleric) Acid의 생산 (Production of Poly(Hydroxybutyric-Co-Hydroxyvaleric) Acid by Pseudomonas sp. HJ)

  • 손홍주;민관필이상준
    • KSBB Journal
    • /
    • 제10권4호
    • /
    • pp.349-356
    • /
    • 1995
  • 하수처리장의 활생오니를 분리원으로 하여 수십종의 PHA 생산균을 분리하였다. 일반적으로 hy­d droxyvalerate monomer unit의 전구물질로 알려져 있지않은 glucose로부터 비교적 많은 PHA를 생산 하는 균주를 공시균으로 선정하여 형태학척, 배양적, 생리학적 제 특성을 검토한 결과 Pseudomonas 속으 로 통정되었다. 균체 생육을 위한 최적 배양온도 벚 배양 pH는 각각 $37^{\circ}C$와 7.0이었으며, 최적 탄소원 으로셔 glucose 1 %, 최적 질소원으로서 $(NH_4)_2SO_4$ 0.2%, K1HPO. 0.3%, $KH_2PO_4$ 0.45% 였다. 최적 P PHA 생산조건을 조사하기 위하여 2단계 배양법을 이용하였다 PHA 생산은 배지성분중 $NH_4, O_4$, Mg가 결핍되 였을 때 향상되었고, 그중 $NH_4$, 의 결핍시 PHA 축적률과 HV monomer의 함량이 가장 높았다. C/N molar ratio 95.2에서 PHA 축적률이 가장 높았다. 공시균주 Pseudomonas sp. HJ는 alkane, alkanoic acid, alcohol을 탄소원으로 하여 P PHB/HV를 생산하였다. PHA의 생산량과 HV monomer의 함량은 이용된 기질에 따라 다양하였으며, 특히 hexadecane와 propiOnate를 탄소원으로 하였을 때 PHA중의 HV monomer의 함량이 49~74mol %로 매우 높았다. IH-NMR로셔 공시균으로 부터 분리정제된 PHA의 조성을 분석한 결과 PHB/ H HV copolymer임을 알 수 였였다

  • PDF

Dispersion Polymerization of Acrylamide in t-Butyl Alcohol/Water Media

  • Lee, Ki-Chang;Lee, Seung-Eun;Park, Yoo-Jin;Song, Bong-Keun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12권2호
    • /
    • pp.213-218
    • /
    • 2004
  • We have performed dispersion polymerization of acrylamide in tert-butyl alcohol/water mixture-using hydroxypropyl cellulose and ammonium persulfate as the stabilizer and the initiator, respectively - to study the effects that the concentration of monomer, initiator, and stabilizer, the tert-butyl alcohol/water ratios as polymerization media, and the reaction temperature have on, among other things, the polymerization kinetics, particle sizes, and molecular weights. The polymerization rate increased upon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the monomer, initiator, and stabilizer, the water content in the tert-butyl alcohol/water media, and the polymerization temperature.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the lattices increased upon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initiator, the polymerization temperature, and the water content in the tert-butyl alcohol/water media, but it decreased upon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monomer and stabilizer. The viscosity-average molecular weight increased upon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monomer and stabilizer and the water content in the tert-butyl alcohol/water media, but it decreased upon increasing both the concentration of initiator and the polymerization temp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