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nocarboxylate transporter 4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6초

흰쥐의 부정소에서 Monocarboxylate Transporters(MCTs)와 조절 단백질, Basigin과 Embigin의 생후 발달 과정 동안 발현 양상 (Postnatal Ontogeny of Expression of Monocarboxylate Transporters(MCTs) and Two Regulatory Proteins, Basigin and Embigin, in The Epididymis of Male Rat)

  • 이기호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0권1호
    • /
    • pp.45-56
    • /
    • 2008
  • 본 연구는 생후 발달 과정 동안 monocarboxylate transporter(MCT) isoform과 MCT의 발현 조절 단백질로 알려진 basigin(Bsg)과 embigin의 mRNA 발현을 흰쥐의 부정소에서 부위별로 real-time PCR 방법을 사용하여 알아보았으며, 에스트로젠과 에스트로젠 수용체 α의 작용에 의해 MCT1 발현이 조절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estrogen receptor α knockout(αERKO) 마우스를 이용하여 immunohistochemistry 방법을 통해 탐구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양한 MCT isoform(MCT1, 2, 3, 4와 8), Bsg과 embigin의 mRNA 발현이 부정소의 부위별로 연령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며, 부정소에서 MCT1 단백질 발현은 corpus와 caudal 부위에서 apical 지역에 한정되어 나타나는 것을 보여 주었다. 또한 부정소에서 MCT1 단백질 발현은 에스트로젠 수용체 α의 존재 여부와 상관 없음이 보여졌다. 따라서, 본 연구는 MCT가 남성 생식기관인 부정소에서 정자 성숙과 저장을 위한 적절한 환경을 형성함으로써 남성 생식력의 유지에 관여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색인어 : Epididymis, Monocarboxylate transporter, Basigin, Embigin)

High Monocarboxylate Transporter 4 Protein Expression in Stromal Cells Predicts Adverse Survival in Gastric Cancer

  • Yan, Ping;Li, Yu-Hong;Tang, Zhi-Jiao;Shu, Xiang;Liu, Xia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20호
    • /
    • pp.8923-8929
    • /
    • 2014
  • Background: Increasing evidence suggests that stromal monocarboxylate transporter 4 (MCT4) and carbonic anhydrase IX (CA IX) may play key roles in tumor development. However, their clinical value remains largely unexplored in gastric cancer (GC). The present study aimed to determine clinicopathological significance and prognostic values of stromal MCT4 and CA IX in GC. Materials and Methods: Specimens from 143 GC patients were immunohistochemically stained using polyclonal anti-MCT4 and anti-CA IX antibodies. Expression was correlated with patient clinicopathologic characteristics and survival data. Results: High stromal MCT4 expression was detected in 72 of 143 (50.3%) GCs and high CA IX in 74 (51.7%). Both high stromal MCT4 and CA IX were correlated with advanced TNM stage (p=0.000; p=0.000). High CA IX expression was positively related to depth of invasion (p=0.022) and positive lymph nodes (p=0.002) as well. Survival analysis indicated high expression of stromal MCT4 to be an independent factor in predicting poor overall survival (OS) (HR and 95%CI=1.962, 1.032-3.729, p=0.040) and disease free survival (DFS) (HR and 95%CI=2.081, 1.158-3.741, p=0.014) of GC patients. However, high CA IX expression exhibited no significant predictive value. Conclusion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high expression of stromal MCT4 and CA IX proteins i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GC progression. High stromal MCT4 heralds worse outcome of GC patient, suggesting a novel candidate prognostic marker and therapeutic target.

생후 발달과정동안 남성 생식기의 Efferent Ductules에서 Monocarboxylate Transporters(MCTs)와 Basigin의 발현 양상과 에스트로젠 수용체 α에 의한 MCT1 발현 조절 연구 (Expression of Monocarboxylate Transporters(MCTs) and Basigin and Estrogen Receptor α(ERα)-Mediated Regulation of MCT1 Expression in The Efferent Ductules of Male Reproductive Tract During Postnatal Development)

  • 이기호;최인호;정정수;장종수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3호
    • /
    • pp.309-320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남성 생식 기관인 efferent ductules(ED)에서 monocarboxylate transporter (MCT) isoform과 Basigin(Bsg)의 mRNA 발현을 탐구하고, MCT1의 발현이 에스트로젠 수용체 α에 의해 조절되는지를 연구하였다. 생후 여러 연령대의 백서 ED에서 MCT isoform과 Bsg의 mRNA 발현 여부는 real-time PCR에 의해 조사 되었고, 정상 생쥐와 에스트로젠 수용체 α knockout 생쥐를 사용하여 에스트로젠 수용체 α에 의한 MCT1의 발현 조절 여부는 immunohistochemistry 방법에 의해 간접적으로 알아 보았다. 본 연구 결과는 백서의 ED에서 MCT1, 2, 3, 4와 8 그리고 Bsg 유전자의 발현은 연령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며, MCT1의 발현이 ED의 ciliated 세포의 basolateral 지역에서 발현되고 어떤 측면에서 ERα에 의해 조절되어 질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MCT가 monocarboxylate의 세포 내, 외부로 운반을 조절함으로써 남성 생식기의 일부인 ED의 역할을 조절하는데 관여함을 시사한다.

Effects of Red Ginseng on Exercise Capacity and Peripheral Fatigue in Mice

  • Kim, Daehyun;Lee, Byounggwan;Kim, Heejin;Kim, Mikyung
    • Physical Therapy Rehabilitation Science
    • /
    • 제10권2호
    • /
    • pp.175-184
    • /
    • 2021
  • Objective: Fatigue can decrease both quality of life and work efficiency. Ginseng is one of the most popular herbal treatments for improving personal health, with applications in treating fatigue. However, the exact mechanisms of anti-fatigue effects are still unclear. Thus,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red ginseng powder (RGP) on exercise capacity and peripheral fatigue using both behavioral and molecular experiments in mice. Design: Four-groups behavioral and molecular experiment. Methods: Male 6-weeks-old ICR mice were treated with distilled water, 100, and 200 mg/kg RGP for 5 days via oral administration. The exercise capacity of each animal group was measured by locomotor activity, rota-rod, hanging wire, and cold swimming tests. Additionally, after performing the treadmill to induce fatigue, lactate expression and molecular experiments were investigated using mice gastrocnemius. Results: Mice treated with RGP exhibited increased exercise capacity in the behavioral tests. Additionally, RGP induced a dose-dependent decrease in lactate levels after high-intensity exercise, and Monocarboxylate transporter (MCT) 4 expression increased in groups treated with RGP.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MCT1.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RGP exerts several anti-fatigue properties by lower lactate and improved exercise capacity. Increased MCT4 expression may also affect lactate transport. Thu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anti-fatigue properties of RGP might be associated with MCT4 activity.

가토 근위세뇨관 Basolateral Membrane Vesicle에서 Succinate 이동 특성 (Succinate Transport in Rabbit Renal Basolateral Membrane Vesicles)

  • 김용근;배혜란;임병용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22권2호
    • /
    • pp.307-318
    • /
    • 1988
  • 가토 신장 피질에서 Percoll density gradient방법으로 분리한 basolateral membrane vesicle (BLMV)에서 rapid filtration technique을 이용하여 succinate의 이동 특성을 관찰하였다. $Na^+$은 succinate의 이동을 증가시켜 "overshoot"현상을 보였으며 이러한 효과는 $K^+,{\;}Li^+,{\;}Rb^+,{\;}choline$과 같은 다른 양이온들에 의해 나타나지 않았다. $Na^+$농도변화에 따른 succinate의 이동율은 sigmoid모양을 보였고, $Na^+$에 대한 Hill coefficient는 2.0이었다. soccinate의 이동은 vesicle 내부가 음전압일 때 더욱 증가되었다. BLMV에서 succinate이동은 용액내 pH변화에 따라 영향을 받았으나 brush border membrane vesicle (BBMV)에서는 영향을 받지 않았다. 동력학적 분석결과 succinate의 Km값은 $15.5{\pm}0.94{\;}{\mu}M$이었고 Vmax는 $16.22{\pm}0.25{\;}n{\;}mole/mg{\;}protein/min$이었다. succinate의 이동은 $4{\sim}5$탄소를 가진 dicarboxylate들에 의해 강력하게 억제되었으나 monocarboxylate나 다른 유기음이온들에 의해 영향을 적게 받거나 받지 않았다. succinate의 이동은 DIDS, SITS, furosemide와 같은 음이온 이동 억제제와 harmaline과 같은 $Na^+$ 이동 억제제에 의해 억제되었다. 이들 결과들은 BLMV에서 succinate는 $Na^+$에 의존하여 이동하며 다른 Krebs cycle중간 산물들과 동일한 운반기전을 이용함을 가르킨다. 또한 BLMV에서 succinate의 이동은 그 기질특이성에 있어서 다른 연구자에 의해 보고된 BBMV에서 이동특성과 유사함을 보였다.

  • PDF

HMGB1/Snail cascade에 의한 epithelial-mesenchymal transition 및 glycolytic switch, mitochondrial repression 유도 (High-mobility Group Box 1 Induces the Epithelial-mesenchymal Transition, Glycolytic Switch, and Mitochondrial Repression via Snail Activation)

  • 이수연;주민경;전현민;김초희;박혜경;강호성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11호
    • /
    • pp.1179-1191
    • /
    • 2019
  • 암세포는 epithelial mesenchymal transition (EMT)를 통해 tumor invasion과 metastasis가 일어나며, 또한 정상세포와 다른 oncogenic metabolic phenotypes 획득 즉, glycolytic switch 등이 암 발생과 진행에 깊이 연관되어 있음이 잘 알려져 있다. High-mobility group box 1 (HMGB1)은 chromatin-associated nuclear protein으로 알려져 있으나, dying cells 또는 immune cells로부터 방출되기도 한다. 방출된 HMGB1은 damage-associated molecular pattern (DAMP)로서 작용하여 EMT 및 invasion, metastasis를 유도함으로서 tumor progression에 기여한다고 알려졌다. 본 연구에서 HMGB1에 의해 EMT와 glycolytic switch 유도되며, 이 과정은 Snail 의존적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HMGB1/Snail cascade는 COX subunits인 COXVIIa와 COXVIIc의 발현 억제를 통해 mitochondrial repression과 cytochrome c oxidase (COX) inhibition을 유도하였다. HMGB1은 Snail를 통해 glycolytic switch의 주요 효소인 hexokinase 2 (HK2), phosphofructokinase-2/fructose-2,6-bisphosphatase 2 (PFKFB2), phosphoglycerate mutase 1 (PGAM1)의 발현을 증가시켰다. 이들 효소는 glycolytic switch에 중요하게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 해당과정의 효소들을 knockdown한 결과 HMGB1에 의한 EMT를 억제함으로써 glycolysis와 HMGB1-induced EMT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을 제시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들은 HMGB1/Snail cascade가 EMT 및 glycolytic switch, mitochondrial repression에 중요하게 작용할 것임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