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ngolian engineering college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5초

Comparison of Fecal Microbiota of Mongolian and Thoroughbred Horses by High-throughput Sequencing of the V4 Region of the 16S rRNA Gene

  • Zhao, Yiping;Li, Bei;Bai, Dongyi;Huang, Jinlong;Shiraigo, Wunierfu;Yang, Lihua;Zhao, Qinan;Ren, Xiujuan;Wu, Jing;Bao, Wuyundalai;Dugarjaviin, Mangla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9권9호
    • /
    • pp.1345-1352
    • /
    • 2016
  • The hindgut of horses is an anaerobic fermentative chamber for a complex and dynamic microbial population, which plays a critical role in health and energy requirements. Research on the gut microbiota of Mongolian horses has not been reported until now as far as we know. Mongolian horse is a major local breed in China. We performed high-throughput sequencing of the 16S rRNA genes V4 hypervariable regions from gut fecal material to characterize the gut microbiota of Mongolian horses and compare them to the microbiota in Thoroughbred horses. Fourteen Mongolian and 19 Thoroughbred horses were used in the study. A total of 593,678 sequence reads were obtained from 33 samples analyzed, which were found to belong to 16 phyla and 75 genera. The bacterial community compositions were similar for the two breeds. Firmicutes (56% in Mongolian horses and 53% in Thoroughbred horses) and Bacteroidetes (33% and 32% respectively) were the most abundant and predominant phyla followed by Spirochaete, Verrucomicrobia, Proteobacteria, and Fibrobacteres. Of these 16 phyla, five (Synergistetes, Planctomycetes, Proteobacteria, TM7, and Chloroflexi)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between the two breeds. At the genus level, Treponema was the most abundant genus (43% in Mongolian horses vs 29% in Thoroughbred horses), followed by Ruminococcus, Roseburia, Pseudobutyrivibrio, and Anaeroplasma, which were detected in higher distribution proportion in Mongolian horses than in Thoroughbred horses. In contrast, Oscillibacter, Fibrobacter, Methanocorpusculum, and Succinivibrio levels were lower in Mongolian horses. Among 75 genera, 30 genera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between the two breeds. We found that the environment was one of very important factors that influenced horse gut microbiota. These findings provide novel information about the gut microbiota of Mongolian horses and a foundation for future investigations of gut bacterial factors that may influence the development and progression of gastrointestinal disease in horses.

몽골공과대학에서 인터넷 마케팅 과목의 BPBL 적용을 위한 문제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oblem Design for BPBL of Internet marketing subject in Mongolian Engineering College)

  • ;이근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530-536
    • /
    • 2017
  • BPBL은 종전의 강의법을 지양하고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과정을 통해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학습자 중심의 교수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BPBL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핵심인 문제개발의 절차를 구체화하고, 인터넷 마케팅 교과목 교육내용을 토대로 BPBL 학습에 필요한 문제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효과적이지 못한 문제는 학생들이 충분한 도메인 지식을 얻고, 적절한 전 지식을 활성화하고 적절하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좋은 문제를 개발하기 위한 BPBL 문제 개발 절차는 핵심적인 학습목표 및 내용 선택하기, 학습내용과 관련된 실제적 맥락 설계하기, 문제의 초안 작성, 학습자 특성 파악하기, 문제 발견하기, 역할과 상황 설정하기, 문제 작성하기로 요약 할 수 있다. 문제 개발 절차에 따라서 인터넷 마케팅 교과목에서 다루고 있는 내용들을 토대로 BPBL이 적합한 5개의 통합 문제를 개발하였다. 현재의 산업 현장에서 요구되는 인재를 육성하기 위해서는 일제학습이 아닌 BPBL을 통해서만이 가능하기 때문에 본 연구는 창의적 인터넷 마케팅 수업을 위한 BPBL 문제개발 과정에 초점을 두었다.

교정 고정원 스크류의 위장관으로 섭취시 예후에 대한 실험적 평가 (INGESTION OF ORTHODONTIC ANCHORAGE SCREWS: AN EXPERIMENTAL STUDY IN DOGS)

  • 이경욱;최병호;김연환;김한성;고창용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3권2호
    • /
    • pp.121-123
    • /
    • 2007
  • Foreign bodies with a sharp edge which are accidentally swallowed are likely to become lodged in the stomach. An animal study was undertaken to determine the outcome of orthodontic anchorage screw ingestion. The radiographic findings of ten Mongolian dogs that ingested a total of 10 orthodontic anchorage screws and 10 reamers (both a screw and a reamer per dog) were evaluated. The study showed that all orthodontic anchorage screws and reamers reaching the stomach spontaneously passed, with the exception of two reamers. Further investigation of clinical cases might be necessary to determine whether the results of our animal study are in accordance with clinical findings.

DNA Polymorphism of Insulin-like Growth Factor-binding Protein-3 Gene and Its Association with Cashmere Traits in Cashmere Goats

  • Liu, Haiying;Liu, Chao;Yang, Guiqin;Li, Hui;Dai, Jin;Cong, Yuyan;Li, Xuejia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5권11호
    • /
    • pp.1515-1520
    • /
    • 2012
  • Insulin-like growth factor binding protein-3 (IGFBP-3) gene is important for regulation of growth and development in mammals. The present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to study DNA polymorphism by PCR-RFLP of IGFBP-3 gene and its effect on fibre traits of Chinese Inner Mongolian cashmere goats. The fibre traits data investigated were cashmere fibre diameter, combed cashmere weight, cashmere fibre length and guard hair length. Four hundred and forty-four animals were used to detect polymorphisms in the hircine IGFBP-3 gene. A 316-bp fragment of the IGFBP-3 gene in exon 2 was amplified and digested with HaeIII restriction enzyme. Three patterns of restriction fragments were observed in the populations. The frequency of AA, AB and BB genotypes was 0.58, 0.33 and 0.09 respectively. The allelic frequency of the A and B allele was 0.75 and 0.25 respectively. Nucleotide sequencing revealed a C>G transition in the exon 2 region of the IGFBP-3 gene resulting in R158G change which caused the polymorphism. Least squares analysis revealed a significant effect of genotypes on cashmere weight (p<0.0001), cashmere fibre length (p<0.001) and hair length (p<0.05) of the animals. The effect of genotypes on cashmere fibre diameter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The animals of AB and BB genotypes showed higher cashmere weight, cashmere fibre length and hair length than the animals possessing AA genotype.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polymorphisms in the hircine IGFBP-3 gene might be a potential molecular marker for cashmere weight in cashmere goats.

몽골 공과대학교에서의 BPBL을 적용하기 위한 교수설계 방안 연구 (Instructional Study Design of the Application of BPBL in Engineering College in Mongolia)

  • ;이근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2호
    • /
    • pp.504-510
    • /
    • 2016
  • 본 연구는 현재 정보통신기술 시대에 요구하는 문제해결 능력을 갖춘 몽골의 인재를 양성하기 위하여 효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안으로 몽골 공학대학에서 적합한 Blended PBL 모형을 제시한다. BPBL은 학습자 중심의 교육 방법이다. 현재 몽골에서 빠르게 변화하는 교육환경과 학생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공학 교수법의 변화가 필요하다. 따라서 몽골 공학 교육의 발전을 위한 BPBL 학습을 도입하며 공학 교수자들에게 더 많은 교육의 기능성을 제공 할 것이다. 최근에는 몽골에서 대학 내에 '교수학습센터'를 설립하여 '가르치는 방법'에 대한 교육과 지원을 교수자들에게 제공하고 있지만, 아직도 단편적이고 일회적인 특강 형식의 지원이 대부분이다. 이런 이유로 많은 교수들은 '그저 자신이 배운 방식대로' 가르친다. 아직도 공학 교수방법은 교수자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앞으로 급변하는 미래 정보사회를 전망할 때, 몽골공과대학의 목표해야 할 기본적인 방향은, 규제의 철폐, 완화를 통해서 진정으로 풍요롭고 활력 있는 사회를 형성하고 있으며 최근의 공과대학 강사와 사회는 익숙한 구식 방법 말고 다른 공학 교육 방법을 요구하고 있다. 새로운 공학 교육 방법의 개발에 효과적인 엔지니어링 전략을 사용하는 것은 성공으로 이어질 것입니다.

Helicobacter pylori에 대한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Pediococcus pentosaceus CBT SL4 배양물의 감염방어 및 제균활성 (Protection of Infection and Eradication Activity of Culture Product by Pediococcus pentosaceus CBT SL4 Showing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Helicobacter pylori)

  • 홍운표;정명준;김수동;오은택;소재성;정충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779-783
    • /
    • 2004
  • P. pentosaceus CBT SL4균이 생산하는 항균물질 농축건조물은 H. pylori균에 대하여 평판 및 액상배양 조건에서 생육억제 활성이 확인되었고, 사막모래쥐를 사용한 감염실험에서는 감염방어 및 제균작용이, 보균자 인체실험에서는 제균작용이 확인되었다. 최근 3제 요법이나 신규 약물 등에 의하여 자각증세가 있는 위염증 환자에서의 제균율은 크게 향상되었으나, 국내의 경우에는 전체국민의 감염율이 매우 높은 것과 식습관 등의 요인에 의하여 단체 및 사회생활을 통한 신규감염이나 재감염을 방어할 효과적 수단은 없는 상태에 있다. 따라서, 일상적인 섭취가 가능하고, 병원균의 내성개발 우려나 인체에 대한 부작용이 없으며, H. pylori균에 대한 감염방어 및 제균작용을 동시에 지닌 유산균 및 그 항균활성물질을 이용한 식품소재는 국민전체의 H. pylori 감염율을 낮추고, 신규감염과 재감염의 악순환을 방지하기 위한 유용한 방어수단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유산균 배양액에 의한 H. pylori균에 대한 생육억제 현상은 모든 유산균에서 보편적인 현상은 아닌 것으로서 특정한 균주의 배양액에서만 관찰되고 있어 단순히 젖산 등 유기산에 의한 효과로 보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며 Gram 음성의 병원균들은 외막의 보호작용에 의하여 분자량이 큰 박테리오신 성분에 의해서는 생육이 억제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저자들은 당 균주가 생성하는 H. pylori 생육 억제 물질을 산성의 저분자 물질로 추정하고, 물질 및 작용기작 규명을 위하여 활성물질의 분리 및 구조분석 작업을 진행 중에 있으며, 이러한 연구가 완료되면 분리정제 물질을 활용한 추가적인 산업화 용도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Glutathione S-Transferase에 융합한 재조합 Hybrid Peptide Gaegurin-LL37의 대장균에서의 발현 (Expression of Recombinant Hybrid Peptide Gaegurin4 and LL37 using Fusion Protein in E. coli)

  • 바야르바트 이쉬반질;이재학;이순열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92-97
    • /
    • 2012
  • 항균 펩타이드(Antimicrobial peptides(AMPs)는 그람 양성, 그람 음성 세균과 진균병원체에 대항하는 생명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물질이다. 인간의 Cathelicidin 항균 펩타이드는 임상학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여러 가지의 생물학적 활성을 가진다. 항균 펩타이드의 생산 비용은 재조합 방법으로 낮출 수가 있다. 대장균은 저렴하며 손쉬운 조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다른 재조합 단백질처럼 항균 펩타이드의 발현에 훌륭한 숙주가 될 수 있다. 그러나 대장균에서의 항균 펩타이드의 과발현은 항균 펩타이드가 과발현 되었을 때 대장균에 독성을 보일 수 있으므로 어려움이 보고가 되어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항균 펩타이드를 Glutathione S-transferase(GST) 결합 단백질에 융합하여 항균펩타이드의 독성을 감소시키도록 설계하여 발현을 시도하였다. 이 때 발현한 항균 펩티드는 LL37과, gaegurin4과 LL37의 잡종 펩타이드 GGN4-LL37(GL32로 명명)를 GST에 융합되도록 벡터를 구축하고 설계하여 대장균에서 GST 융합단백질로 발현시켰다. 융합 단백질은 친화력 컬럼을 사용하여 분리하고 GST를 절단하여 항균펩타이드 만을 분리하였고 분리한 펩타이드는 웨스턴 블롯팅으로 확인하였고 그람 양성, 그람 음성 세균에 대하여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