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nascus Purpureus

검색결과 65건 처리시간 0.024초

Production of red pigments by Monascus purpureus in solid-state culture

  • 박해연;이범규;정욱진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315-316
    • /
    • 2001
  • In this study various nutritional and environmental parameters such as, initial moisture content, pH. inoculum size, air rate, sample size and nutrient supplement that influence pigment production were evaluated in solid-state cultures. optimum initial moisture content and pH were determined to be 50% and 6.0, respectively. The supplement of the substrate with different carbon, nitrogen, and mineral source reveals a more inhibitive effect as the substrate concentration increase. optimum aeration rate was determined to be 2vvm in flask culture. The maximum amount of red pigment, 3500 OD/g dried fermented rice, was obtained in optimum conditions which is obtained in solid flask culture.

  • PDF

홍국쌀(Monascus purpureus) 추출물의 항산화 작용 (Antioxidant Properties of Red Yeast Rice (Monascus purpureus) Extracts)

  • 권정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437-442
    • /
    • 2012
  • 홍국쌀 추출물의 항산화 작용을 DPPH radical 및 hydroxyl radical 소거능, 간암 세포에서의 산화적 DNA 손상과 항산화 효소의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으로 분석하였다. 홍국쌀 추출물의 DPPH radical 소거능은 ethyl acetate 추출물, methanol 추출물, butanol 추출물 순이었으며, ethyl acetate 추출물의 DPPH radical 소거능은 0.2 mg/mL에서 85%, $IC_{50}$는 0.13 mg/mL로 나타났다. Ethyl acetate 추출물의 hydroxyl radical 소거능을 DCF fluorescence로 측정한 결과, cuvette에서는 2.5 ${\mu}g$/mL에서 44.2%, 5.0 ${\mu}g$/mL 74.1%, 10.0 ${\mu}g$/mL >100%로 나타났고, $HepG_2$ cell에서는 ethyl acetate 추출물로 전처리한 세포의 radical이 $H_2O_2$로만 처리한 세포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홍국쌀 ethyl acetate로 전처리한 세포의 DNA 손상이 $H_2O_2$로만 처리한 세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추출물 대신 lovastatin을 처리한 세포는 DNA 손상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산화 효소 유전자의 상대적 발현 정도를 측정한 결과, 산화 스트레스 없이 ethyl acetate 추출물로 전처리한 세포에서는 SOD와 GPx가 control에 비해 각각 3.25배, 2.67배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추출물로 전처리한 후 산화 스트레스에 노출시킨 세포에서는 CAT가 control에 비해 5 ${\mu}g$/mL에서 4.64배, 10 ${\mu}g$/mL에서 7.0배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푸코이단 홍국쌀 분말을 첨가한 머핀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ffins Added with Fucoidan Red Yeast (Monascus purpureus) Rice Powder)

  • 최영주;최경하;박미화;김미향;공창숙;김세원;정경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11호
    • /
    • pp.1358-1365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쌀 소비 촉진방안 마련 및 머핀의 품질 향상을 위한 소재 개발을 위하여 푸코이단 홍국쌀 분말을 0%, 10%, 20%, 30% 및 50%를 첨가한 머핀의 이화학적, 관능적 특성 및 생리활성을 알아보았다. 머핀의 중량은 푸코이단 홍국쌀 분말 50% 첨가군에서 55.17 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높이는 4.93~5.58 cm로 푸코이단 홍국쌀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머핀의 굽기 손실률은 50% 첨가군에서 8.06%로 가장 낮게 나타나 무첨가군(8.98%)과는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P<0.05). 머핀의 수분 함량은 27.20~28.35%로 50% 첨가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모든 시료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고, 머핀의 pH는 8.43~8.60으로 푸코이단 홍국쌀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머핀의 내부 색도를 측정한 결과 명도를 나타내는 L값과 황색도를 나타내는 b값은 푸코이단 홍국쌀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무첨가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P<0.05), 적색도를 나타내는 a값은 푸코이단 홍국쌀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무첨가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머핀의 경도는 푸코이단 홍국쌀 분말 50% 첨가군에서 $158.00g/cm^2$로 가장 높게 나타나 무첨가군($126.33g/cm^2$)과는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고(P<0.05), 응집성은 푸코이단 홍국쌀 분말 50% 첨가군에서 69.41%로 가장 낮게 나타났으나 무첨가군 및 10%와 20% 첨가군 사이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머핀의 탄력성은 91.67~93.03%로 30% 첨가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모든 시료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고, 씹힘성은 50% 첨가군에서 231.05 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무첨가군 및 30% 첨가군과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파쇄성은 50% 첨가군에서 21.23 k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무첨가군과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머핀의 관능적 특성을 측정한 결과 외관과 내부색은 무첨가군이 각각 5.63과 5.71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향과 맛 및 조직감은 50% 첨가군에서 각각 5.17과 5.88 및 5.8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전반적인 기호도는 50% 첨가군이 5.83으로 가장 높았고(P<0.05), 그다음으로 20% 첨가군(5.33), 30% 첨가군(5.29), 무첨가군(5.08), 10% 첨가군(4.96)의 순으로 나타났다. 머핀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푸코이단 홍국쌀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P<0.05), DPPH 라디칼 소거능 역시 푸코이단 홍국쌀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이상의 결과에서와 같이 푸코이단 홍국쌀 분말의 첨가는 머핀의 기호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뿐만아니라 항산화 기능이 향상된 머핀을 제조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다양한 제품 개발을 위한 식품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Orotic acid 유발 흰쥐 지방간 개선에 미치는 발효당귀의 효과 (The Improvement Effect of Fermented Angelica gigas Nakai Powder Against Orotic Acid-induced Fatty Liver in Rats)

  • 안희영;박규림;조영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411-418
    • /
    • 2014
  • Monascus purpureus 균주에 의해 발효된 당귀분말을 Orotic acid-유발 지방간의 개선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식이에 5% 수준으로 첨가하여 10일간 급여한 후 혈중 및 조직 내 산화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체중 증가량과, 식이 섭취량은 각 OA실험군 모두 감소 하였으나, 음료섭취량은 증가하였다. 간 기능 지표로 활용되는 혈중 AST, ALT, LDH, ALP 및 Cholinesterase 활성 변화 역시 정상 수치와 비슷한 수준으로 감소되었다. 각 조직과 혈청의 과산화지질(TBARS)을 측정한 결과 OA대조군에 비해 각 실험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그 중 발효당귀분말을 투여한 FAG군에서 가장 낮은 함량을 보였다. 또한 미네랄 측정 결과 비헴철과 아연을 정상수치로 되돌려주는 기능이 있었으며, Orotic acid 지방간 유발로 인해 저하된 글루타치온 함량을 높여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실험결과 발효당귀는 간 조직 내 항산화 물질 증가에 의한 산화스트레스를 경감시킴으로써 향후 간 독성 개선 효능을 가지는 건강식품 개발 가능성이 높은 소재로 판단되어진다.

Cordycepin-고함유 동충하초(Cordyceps militaris) 발효 추출물의 미백효과 (Anti-melanogenesis in B16F0 Melanoma Cells by Extract of Fermented Cordyceps militaris Containing High Cordycepin)

  • 차재영;김성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12호
    • /
    • pp.1516-1524
    • /
    • 2013
  • 본 연구는 Monascus purpureus (Mp), Aspergillus oryzae (Ao), Aspergillus kawachii (Ak) 및 Rhizopus oryzae (Ro) 균주로 Cordycepin-고함유 동충하초(Cordyceps militaris)(CM${\alpha}$)를 발효시켜 수용성 추출물을 얻어 페놀화합물 및 플라보노이드 농도와 항산화 및 티로시나제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 Ak로 발효시킨 CM${\alpha}$ (AkF-CM${\alpha}$)에서 각각 46 mg/g 및 093 mg/g과 6274% 및 7997%로 가장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AkF-CM${\alpha}$를 선택하여 멜라닌 세포(B16F0 mouse melanoma cell)에서 미백효과를 검토하였다. 양성 대조구 arbutin 처리 B16F10 melanoma 세포는 92% 이상의 세포 생육과 43%의 멜라닌 생성 억제 효능을 보였고, AkF-CM${\alpha}$ 1, 3 및 5 mg/ml 처리 시 멜라닌 생성은 각각 35, 45 및 53% 억제되었다. 또한 AkF-CM${\alpha}$은 멜라닌 세포 내 tyrosinase 활성과 mushroom tyrosinase 활성 모두를 저해시켰고, 멜라닌 생성 관련 tyrosinase 단백질 발현량도 무첨가군에 비해 처리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되었다. 이상의 결과에 따라 Aspergillus kawachii 균주로 발효시킨 Cordycepin-고함유 동충하초(Cordyceps militaris)의 수용성 추출물은 미백 화장품 소재로 개발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Monascus Purpureus의 수준별 급여가 육계의 성장과 계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 류경선;박재홍;류명선;김상호
    • 한국가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가금학회 2002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 /
    • pp.120-121
    • /
    • 2002
  • Monascus Purpures(MP)의 수준별 급여가 육계의 성장과 계란의 품질 및 난황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고자 사양실험을 실행하였다. 실험 1에서 1일령 육계 수컷 320수를 이용하여 사료내 MP는 0, 0.5, 1.0, 2.0, 4.0% 수준으로 처리구당 4반복 반복당 16수씩 전체 320수에 5주간 급여하였다. 증체량, 사료섭취량, 사료요구율은 주간별로 측정하였으며, 혈청의 콜레스테롤, 단백질함량은 실험 종료시에 측정하였다. 실험 2에서는 32주령 산란계 30수를 처리구당 6수씩 개체별로 수용하여 사료내 MP가 0, 0.5, 1.0, 2.0, 3.0%수준으로 4주간 급여하였다. 조사항목은 난각강도, 난각두께, 호유닛, 계란의 콜레스테롤을 주간별로 측정하였다. 실험 1에서 기초사료는 사육 전기 3주와 후기 2주간에 각각 CP 21.5, 19.0%, ME 3,100, 3,200 kca1/kg수준으로 급여하였다. 실험 2에서는 CP 16%, ME 2,800 kca1/kg 수준으로 급여하였다. 실험 1에서 증체량은 2.0%MP 처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하여 현저하게 개선되었으며, 사료요구율은 처리구간에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지만 1.0, 2.0% MP처리구에서 대조구보다 개선되는 경향을 보였다. 혈청의 콜레스테롤은 MP 2.0% 급여구에서 낮은 경향을 보였지 만 처리구간에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다. 실험 2에서 난백의 높이와 호유닛은 0.1과 0.2%MP 처리구에서 다른 처리구보다 높게 나타났지만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다.

  • PDF

The Improvement of Laying Productivity and Egg Quality according to Providing Germinated and Fermented Soybean for a Feed Additive

  • Shin, Jin-Ho;Park, Jung-Min;Kim, Jin-Man;Roh, Kwang-Soo;Jung, Woo-Suk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404-408
    • /
    • 2012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aying productivity and egg quality according to providing germinated and fermented soybean (GFS) as feed additive. Among the strain, we selected Monascus purpureus KCCM 12002 so that inoculated in soybean and fermented for 48 h at $20^{\circ}C$. A total of two-hundred forty 70-wk-old Hy-Line Brown layer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4 treatment${\times}$6 replication${\times}$10 birds each) and fed diets containing 0 (as control) (T1), 0.5% (T2), 1.0% (T3) or 2.0% GFS (T4) for 6 wk. The laying productivity, egg quality and blood property in the egg yolk were experimente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aying productivity, relative liver and spleen weights, egg yolk color and eggshell strength among another groups. The eggshell color, eggshell thickness and haugh unit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GFS-supplemented group (p<0.05) compared to control.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blood property after supplementation. The amount of lactic acid bacteria present during storage increased by providing of GFS (p<0.05) compare to control group. Our study results suggested that GFS can be used as a favorable feed additive and feedstuff for the productivity of high quality eggs and promoted relative industry.

홍국 풀을 이용한 김치 제조 및 품질 특성 (Prepar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Using Monascus purpureus Koji Paste)

  • 김현정;박정현;황보미향;이효주;이인선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701-707
    • /
    • 2003
  • 홍국 김치는 절임 배추에 홍국 쌀풀(20%)을 각각 2.5, 5.0%씩 첨가하여 김치를 제조한 다음, 2$0^{\circ}C$에서 18일간 저장하며 홍국 김치의 품질 및 관능 특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대조구에 비해 홍국 첨가군의 pH가 다소 높았고, 산도의 경우는 반대로 대조구에 비해 홍국 첨가군의 산도가 다소 낮은 값을 보였다. 그리고 L, b 값은 발효 기간 내내 대조구가 홍국 첨가군보다 큰 값을 보였으나, a 값은 0-3일 발효시 대조구에 비해 홍국 첨가군의 값이 조금 적었다가 6일 후부터는 더 증가되었다. 환원당 함량은 담금 초기 대조구에 비해 홍국 첨가군에서 높은 값을 보였고, 특히 2.5% 첨가군이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숙성 3일째 5.0% 첨가군이 2.5% 첨가군 보다 환원당 함량이 증가되었으며 그 이후부터 첨가군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담금 초기 대조구에 비해 홍국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젖산균 및 효모수가 감소되었으나, 숙성이 진행되면서 각 군별 차이 없이 증가되었다. 총균수의 경우 숙성 3일째 대조구와 2.5% 첨가군에서 5.0% 첨가군보다 총균수가 증가되었다가, 숙성 6일째는 5.0% 첨가군이 대조구와 2.5% 첨가군 보다 더 크게 증가하였고 12일 후부터 각 군별 비슷한 경향으로 증가하였다. 홍국 첨가 김치는 대조구에 비해 단맛, 조직감, 전반적인 기호도 등에서 더 우수하였고, 특히 홍국 김치의 제조시 색을 포함한 다른 항목에서도 비교적 양호한 값의 2.5% 홍국 쌀풀 첨가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홍국 발효 황금의 마우스 단회 경구투여 독성시험 (Mouse Single Oral Dose Toxicity Test of Red Koji Fermented Scutellariae Radix Aqueous Extracts)

  • 박재찬;최해윤;김종대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86-199
    • /
    • 2013
  • Objectives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as to obtain acute information (single oral dose toxicity) of Red-Koji (Monascus purpureus 12002) Fermented Scutellariae Radix Aqueous Extracts (fSR), has been traditionally used in Korean medicine for treating various diseases including inflammatory diseases. Methods : In order to observe the 50% lethal dose (LD50), approximate lethal dosage (ALD) and target organs, fSR powders were once orally administered to female and male ICR mice at dose levels of 2,000, 1,000, 500 and 0 (control) mg/kg (body weight.). The mortality and changes on body weight, clinical signs and gross observation were monitored during 14days after single oral treatment of fSR with organ weights and histopathological observations of 12 types of principle organs. Results : After single oral treatment of fSR, we could not find any mortality and toxicological evidences up to 2,000 mg/kg treated group, the limited dosages in rodents, on the body and organ weights, clinical signs, gross and histopathological observations, except for some accidental findings. Conclusions :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suggest that the LD50 and ALD of fSR in both female and male mice after single oral treatment were considered as over 2,000 mg/kg because no mortalities were detected up to 2,000 mg/kg and can be safety used in clinics.

비알콜성 지방간 환자에 대한 베르베린 투여 치료의 임상적 효능 연구: 체계적 문헌 고찰과 메타분석 (Clinical Efficacy of Coptidis Rhizoma for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박송원;김민지;임성우
    • 한방비만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58-166
    • /
    • 2022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meta-analysis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berberine on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 through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Methods: We searched seven electronic databases for studies through October 2022. All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RTCs) of berberine were included. Data extraction and risk of bias assessments were performed by two independent reviewers. The RevMan 5.4.1 program was used for meta-analysis. Results: A total of 279 relevant studies were identified, and 6 eligible RCTs were included to study the efficacy berberine on NAFLD. The six selected trials are studies on the effect between berberine and conventional treatment combined treatment versus conventional treatment. Liver function tests, blood lipid levels, and blood glucose levels were assessed. Combination treatment with berberine, ursodeoxycholate acid, metformin, and monascus purpureu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in liver function levels, blood lipid levels, and blood glucose levels compared to conventional treatment alone.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efficacy of berberine combination dietary, exercise than control group on NAFLD. The meta-analysis results of examining 4 RCTs comparing the therapeutic efficacy of berberin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liver function test, blood lipids levels, blood glucose levels.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berberine has positive efficacy on blood lipids, blood glucose liver function, fatty liver condition of NAFLD. However, the level of evidence is low because of small effect size,so further investigation is nee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