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linate

검색결과 66건 처리시간 0.025초

Molinate와 Simetryn 및 Imazosulfuron 수면부상성(水面浮上性) 입제(粒劑)의 시용효과(施用效果) (Effect of Molinate, Simetryn and Imazosulfuron U-Granule Application on Bioefficacy and Phytotoxicity in Rice Paddy)

  • 최상연;정봉진;채제천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41-347
    • /
    • 1998
  • 물에 부상하여 확산 이동되어 약효를 내도록 만든 특수제형인 수면부상성입제(U-Granule)의 효과를 검토하였다. 일년생 화본과 잡초인 피의 방제 약제인 carbamate계 제초제 molinate와 일년생 광엽잡초 방제약제인 triazine계 제초제 simetryn, 그리고 다년생 잡초인 올방개에 효과가 있는 imazosulfuron을 혼합 제제하여 1996년 시험하였다. 1. 담수직파 포장에서 molinate+simertyn 수면부상성업제를 투척처리할 때 주성분이 이동하는 데는 약 5분이 소요되었다. 2. Molinate와 molinate+simetryn 수면부상성입제로 제제하여 처리했을 때 처리 지점으로부터의 거리별 농도는 두 약제간 큰 차이가 없었으며, 72시간 후 1m 지점에서 2.8ppm, 3m 지점에서 2.2ppm, 5m 지점에서 0.9ppm, 7m 지점에서 0.6ppm을 나타내었다. 7m 지점에서의 피 살초효과는 molinate+simetryn 수면부상성성입제가 molinate 단제보다 약 23% 높았다. 3. 담수직파포장에서 molinate+simetryn+imazosulfuron 수면부상성입제는 molinate+imazosulfuron 수면부상성입제에 비해 피에 대한 살초효과는 높았고 올방개에 대한 살초효과는 비슷하였다. 4. 수면부상성입제 시용시 molinate+simetryn+imazosulfuron UG는 처리지점으로부터 약 5m, molinate+Imazosulfuron UG는 처리지점으로부터 약 2m 지점까지만 경미한 약해가 나타났으나 후기에는 회복되어 큰 문제가 되지 않았다.

  • PDF

Molinate와 Simetryn 혼합처리가 피, 가막사리 및 벼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mbined Application of Molinate and Simetryn on Bioefficacy of Echinochloa crus-galli and Bidens tripartita)

  • 최상연;정봉진;채제천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86-294
    • /
    • 1998
  • 일년생 화본과 잡초인 피의 방제 약제로 사용하는 carbamate계 제초제 molinate와 일년생 광엽잡초 방제 약제로 사용하는 triazine계 제초제 simetryn을 혼합처리하고 잡초에 대한 약효 상호작용과 벼에 대한 약해 안전성을 온실에서 조사하였다. 1. Molinate와 simetryn 혼합처리시 피(Echinochloa crus-galli)에 대해서는 상승적효과를, 가막사리(Bidens tripartita)에 대해서는 상가적효과를 나타내었다. 2. Molinate+simetryn 혼합처리시 벼에 대한 약해는 상승적효과인 것으로 나타났다. 3. Molinate+simetrn 혼합처리는 molinate 단제 처리보다 피의 제초효과를 얻는 담수기간이 약 2~4일 정도 단축되어 직파재배시의 논 그누기가 용이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4. 제초효과 및 벼에 대한 약해를 고려할 때 혼합제는 molinate 150g+simetryn 9~18g이 적절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논토양 환경 중 제초제 molinate의 잔류성과 분해특성 (Persistence and degradation of herbicide molinate in paddy-soil environment)

  • 박병준;박현주;이병무;임양빈;최주현;류갑희
    • 농약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60-69
    • /
    • 2005
  • 농약사용 성수기에 하천수 중 검출빈도가 높은 수도용 제초제 molinate의 환경 노출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논토양 조건에서 잔류성과 분해특성에 대한 시험을 수행하였다. Molinate의물 중 반감기는 토양이 존재하는 조건에서 4.1일이었고 토양이 없는 물만 처리한 구에서는 4.2일로 비슷하게 나타났으나, 초기 물중 소실율은 토양 처리구에서 훨씬 빨랐다. 물과 토양 중 경시적 잔류분포 변화는 처리 7일 후에 토양에 최고농도로 잔류되었다가 점차 감소되는 추세였다. 가수분해는 $25^{\circ}C$에서 pH 4.0, 7.2 및 9.0조건에서 모두 일어나지 않았으며, 물 중 광분해는 xenon lamp로 5,530 $J/cm^2$ 조사시 31.0%의 분해력을 보였으나, 순수물 보다 호소물에서 더 빠르게 분해되는 경향이었다. 광감제 첨가에 의한 molinate 광분해는 5,184 $J/cm^2$의 광조사시 과산화수소와 ZnO 첨가구에서 각각 98%와 58%의 분해력을 보여 이 물질들이 광감응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확인되었다. Molinate 입제의 물 중 용출성은 $35^{\circ}C$에서 30시간에 90% 이상이 용출되었다. 논포장 벼 생육조건에서 논물 중 molinate 농도는 약제처리 7일까지 급격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논물 중 반감기는 3.7일($Y=1.9258{\times}e^{-0.1865X}$(r=-0.9402))이었다.

Molinate 혼합입제(混合粒劑)의 제형별(劑型別) 살초효과(殺草效果) 및 벼의 생장(生長)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Molinate Granular Formulations on Weed Control Efficacy and Growth of Rice Plants)

  • 변종영;김만호;옥환석;박승희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316-320
    • /
    • 1987
  • Molinate 혼합립제(混合粒劑)의 제형(劑型)에 따른 용출속도(溶出速度), 살초효과(殺草效果) 및 벼의 생장(生長)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하고자 습식형(濕式型), zeolite 흡착형(吸着型) 및 모래피복형(被覆型) 입제(粒劑)를 공시(供試)하여 제형(劑型)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내 및 폿트실험을 수행하였다. 1. Molinate와 simetryn의 용출속도(溶出速度)는 습식형(濕式型) 및 zeolite 흡착형(吸着型) 입제(粒劑)에 비하여 모래피복형(被覆型) 입제(粒劑)에서 현저히 빨랐다. 2. 살초효과는 molinate 단제(單劑)에서는 다소 불량하였으나 molinate/simetryn 합제(合劑) 및 molinate/simetryn/MCPB 합제(合劑)에서는 다소 낮은 수준에서도 높았으며 모래피복형(被覆型)과 습식법(濕式法)으로 제조된 입제(粒劑)에서 다소 높은 경향이었다. 3. 벼의 생장(生長)은 zeolite 흡착형(吸着型)이나 습식법(濕式法)으로 제조된 입제(粒劑) 보다 모래피복형(被覆型)에서 다소 억제되는 경향이었다.

  • PDF

뽕잎 및 대기 중 누에영향물질 모니터링 및 독성조사 (Monitoring of Toxicants Affecting Metamorphosis of Silkworm in Mulberry Leaves)

  • 박경휸;박연기;이희동;박병준;주진복;손봉희;강필돈;김미자;성수일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58-64
    • /
    • 2004
  • 봄누에에서 나타나고 있는 누에미화용현상을 구명하고자 누에사육농가에서 실시한 농약사용실태조사 결과 봄누에 사육시기에 molinate의 노출가능성이 있어 뽕잎과 공기중 molinate의 잔류정도를 조사하고 molinate의 누에독성을 조사하였다. 예천, 상주, 남원지역 뽕잎 중 molinate 잔류분석결과 검출빈도는 30~81.8%이었으나, 검출범위는 0.002~0.013 ppm으로 낮은 수준이었고, 예천, 상주, 남원지역 뽕밭과 잠실의 대기중 molinate 잔류분석결과 검출빈도는 5%이하, 검출범위는 $0.004\;{\mu}g/m^3$의 낮은 수준이었다. molinate의 누에에 대한 독성시험결과 수용액을 누에와 인공사료에 살포하였을 때 1, 10 ppm 처리구 모두 누에에 영향을 나타내지 않았고, molinate 원제를 250, 2500, $10,000\;{\mu}g/m^3$ 휘산처리한 시험에서 누에에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10, 100 ppm수용액에 침지 처리한 뽕잎으로 누에를 사육한 시험에서 누에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molinate를 함유한 제품을 기준량(5 kg/10a), 배량, 10배량 휘산시킨 상태에서 누에를 사육한 결과 처리구 모두에서 누에에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molinate는 뽕잎과 공기중에서 미량이 검출되었으나, 누에에 대한 molinate를 경피, 섭식, 흡입의 노출경로별로 모니터링농도보다 높은 수준으로 처리한 시험에서 5령경과일수가 대조구와 차이가 없었으므로 농가의 미화용현상과 molinate의 관련성은 희박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상수처리과정 중 제초제 molinate의 제거 (Removal of Herbicide Molinate during treatment Processes for Drinking Water)

  • 박주황;박종우;김종수;김장억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5권3호
    • /
    • pp.145-151
    • /
    • 2002
  • 수도용 제초제로 널리 사용되는 molinate는 물에 대한 용해도가 매우 크기 때문에 상수원수로 유입될 가능성이 있다. 상수원수에 molinate가 유입되었을 경우 상수처리과정 중에서의 제거효율을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상수처리과정중 응집제로 poly aluminium chloride(PAC)를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molinate는 거의 제거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독제로 NaCIO를 사용한 염소처리과정에서는 4시간까지 염소투입량을 증가시켜 줌에 따라서 $20.0%{\sim}39.8%$의 제거율을 나타내었다. 고도정수처리과정에 해당되는 오존접촉과정에서는 접촉시간을 1시간까지 두었을 때 $28.9%{\sim}$58.2%의 제거율을 나타내었다. 활성탄처리과정의 경우는 입상활성탄의 첨가량 달리 하였을 때 30분의 접촉시간이 지난 후 90%이상의 제거효율을 나타내었으며, 1시간 후에는 완전히 제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활성탄의 형태에 따른 제거효율은 비표면적이 더 널은 분말활성탄이 입상활성탄을 사용하였을 때보다 다 높게 나타났다. 고도정수처리과정인 오존접촉과 활성탄처리과정을 연속적으로 행한 결과 비교적 짬은 처리 시간에도 불구하고 $93.9%{\sim}100% 제거되었다. 상수처리의 각 과정별 molinatr치 제거율을 계산하여 모식화한 결과 전체 system에서의 효율은 99.5%로 나타나 수중 molinate의 제거에 상당히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Genotoxicity Study of Molinate, an Herbicide, in Bacterial Reversion, in vitro and in vivo Mammalian System

  • Kim, Youn-Jung;Ryu, Jae-Chun
    • Molecular & Cellular Toxicology
    • /
    • 제2권3호
    • /
    • pp.176-184
    • /
    • 2006
  • The controversy on genotoxicity of molinate, an herbicide, has been reported in bacterial system, and in vitro and in vivo mammalian systems. To clarify the genotoxicity of molinate, we performed bacterial gene mutation test, in vitro chromosome aberration and mouse lymphoma $tk^{+/-}$ gene assay, and in vivo micronucleus assay using bone marrow cells and peripheral reticulocytes of mice. In bacterial gene mutation assay, no mutagenicity of molinate ($12-185{\mu}g/plate$) was observed in Salmonella typhimurium TA 98, 100, 1535 and 1537 both in the absence and in the presence of S-9 metabolic activation system. The clastogenicity of molinate was observed in the presence ($102.1-408.2\;{\mu}g/mL$) of metabolic activation system in mammalian cell system using Chinese hamster lung fibroblast. However, no clastogenicity was observed in the absence ($13.6-54.3\;{\mu}g/mL$) of metabolic activation system. It is suggested that the genotoxicity of molinate was derived some metabolites by metabolic activation. Molinate was also subjected to mouse lymphoma L5178Y $tk^{+/-}$ cells using microtiter cloning technique. In the absence of S-9 mixture, mutation frequencies (MFs) were revealed $1.4-1.9{\times}10^{-4}$ with no statistical significance. However, MFs in the presence of metabolic activation system revealed $3.2-3.4{\times}10^{-4}$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p<0.05). In vivo micronucleus (MN) assay using mouse bone marrow cells, molinate revealed genotoxic potential in the dose ranges of 100-398 mg/kg of molinate when administered orally. Molinate also subjected to acridine orange MN assay with mouse peripheral reticulocytes. The frequency of micronucleated reticulocytes (MNRETs) induced 48 hr after i.p. injection at a single dose of 91, 182 and 363 mg/kg of molinate was dose-dependently increased as $10.2{\pm}4.7,\;14.6{\pm}3.9\;and\;28.6{\pm}6.3\;(mean{\pm}SD\;of\;MNRETs/2,000\;reticulocytes)$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p<0.05), respectively. Consequently, genotoxic potential of molinate was observed in in vitro mammalian mutagenicity systems only in the presence of metabolic activation system and in vivo MN assay using both bone marrow cells and peripheral reticulocytes in the dose ranges used in this experim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metabolic activation plays a critical role to express the genotoxicity of molinate in in vitro and in vivo mammalian system.

재배(栽培) 양식별(樣式別) Molinate처리(處理)에 따른 벼와 피의 생장(生長) 및 해부형태적(解剖形態的) 반응(反應) (Growth and Anatomical Responses of Rice and Barnyardgrass to Molinate under Different Cultural Patterns)

  • 한성욱;구자옥;천상욱;신지산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36-41
    • /
    • 1998
  • Molinate를 경엽처리한 후 10일째 재배양식별 초장을 측정한 결과 건답직파조건에서 표면 및 토중파종벼의 초장은 각각 38%, 6% 억제되어 표면파종벼 초장억제가 더 크게 나타났고 피는 46%로 크게 억제었다. 직파조건에서 벼의 초장은 이앙벼에 비해 더 크게 억제되었고 토중직파벼보다 표면직파벼에서 더 큰 억제경향을 보였다. 한편 피의 초장은 벼보다 더 크게 감소되었고 건답조건의 피보단 담수조건의 피에서 molinate 처리에 따른 억제경향이 더 크게 나타났다. 건답조건에서의 벼의 근장은 0~6%, 담수직파조건에서 3~5% 그리고 이앙벼에서는 11%로 비교적 경미한 억제를 보였으나 두 재배조건에서 피의 근장억제율은 각각 30% 및 40%로 건답조선보다 담수조건에서 더 크게 억제되었다. Molinate처리에 따른 해부학적 특성 변화를 검토하기 위해 재배조건별 채취된 벼와 피를 종단하여 생장점(SA : Shoot apex)과 엽초(LS : leaf sheath) 내의 엽시원체(LP : leaf primordia)를 관찰한 결과 molinate 처리후 10일째 건답 및 담수직파조건에서 두 벼의 생장점 및 엽시원체의 해부학적 특성은 무처리에 대비하여 큰 변화가 인정되지 않았다. 그러나 두 조건의 피에서는 지상부생장의 억제(inhibition) 및 지연(정지 : retardation)에 따른 비정상석인 생장유도로 생장점을 제외한 엽시원체의 신장이 신엽(新葉)으로 전개되지 못하고 zig-zag pattern으로 엽초내에서 뒤틀려지는 양상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경향은 건답조건에서보다 담수조건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 PDF

Quinclorac 함량감소(含量減少)를 위한 혼합처방(混合處方)의 가능성(可能性) 연구(硏究) (Tank-mix Feasibility Reducing the Application Rate of Quinclorac)

  • 구자옥;한성욱;천상욱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4-18
    • /
    • 1993
  • Quinclorac의 사용량(使用量) 감소(減少)는 물론 잔유량(殘留量) 저하(低下)를 위하여 기존(旣存)의 화본과(禾本科) 속간(屬間) 선택성(選擇|生)을 갖는 molinate 및 propanil과의 혼합처방(混合處方)의 가능성(可能性) 여부를 밝히고자 온실내(溫室內) pot시험(試驗)으로 수행되었으며 피 3-4엽기(葉期)에 quinclorac 0.038. 0.075, 0.150 및 0.300kg ai/ha에, molinate는 0.190, 0.380, 0.750 및 1.500kg ai/ha을, propanil은 0.263, 0.525, 1.050, 및 2.100kg ai/ha을 각각 혼용(混用) 조합(組合)하여 경엽처리(莖葉處理)한 후 생체중(生體重)의 방제가(防除價)에 의한 상호작용(相互作用)을 해석하였다. Quinclorac과 molinate 조합처리(組合處理)에서 각 단제(單劑)의 방제가(防除價)는 표준량(標準量)에서 각각 78.1%, 26.2%에 지나지 않았으며, 조합처리(組合處理)의 방제가(防除價)는 quinclorac 0.300kg과 molinate 0.750kg 이상이 되어야만 85% 이상 방제가(防除價)를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quinclorac과 molinate 조합처리(組合處理)에서 최소한의 상가적(相加的) 효과(效果)를 기대할 수 있었다. Quinclorac과 molinate 조합처리(組合處理)에서 각 단제(單劑)의 방제가(防除價)는 표준량(標準量)에서 각각 98.1%, 61.7%로서 두 약제간(藥劑間) 대등(對等)한 정도의 방제력(防除力)을 보였으며 조합처리(組合處理)에 있어서도 Quinclorac 0.150kg만 처리하고 propanil의 모든 처리수준(處理水準)이 첨가(添加)됨으로써 85% 이상의 방제가(防除價)를 보였다. 따라서 quinclorac과 propanil의 조합(組合)에서 부분적(部分的)으로 협력적(協力的)인 상호작용(相互作用)이 있었다. 결국 quinclorac 사용량(使用量) 감소(減少)를 위한 조합중(組合中) quinclorac과 propanil의 조합(組合)이 quinclorac과 molinate의 조합(組合)보다 더 협력적(協力的)인 상호작용(相互作用)을 나타냈다.

  • PDF

시나리오별 논에서의 Molinate 노출위험도 분석: (1) 시뮬레이션 결과 분석 (Scenario-Based Exposure Risk Assessment of Molinate in a Paddy Plot : (1) Analysis of simulation results)

  • 정상옥;박기중;손성호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0권2호
    • /
    • pp.11-16
    • /
    • 2008
  • The effects of water and pesticide management practices on ponded water pesticide concentrations in a paddy plot were analysed using the RICEWQ model. The molinate which is a herbicide widely used in rice culture, and frequently detected in paddy environment was selected. In a previous study, the RICEWQ model was successfully calibrated with field data obtained from a paddy plot in Daegu. The calibrated model was run using water and pesticide management scenarios with a set of measured meteorological data for 1997-2006 in Daegu. For all three ponded water depths with the label rate application, the amount of molinate dissipated in ponded water and volatilized accounted for more than 70%, and the runoff losses were less than 9%. The molinate losses through drainage in the very shallow ponded depth showed 40% less than that in deep ponded depth. Comparing with the deep and shallow ponded depth, the very shallow depth was the best with regards to the reduction of molinate runoff losses. Simulations with different pesticide application rates, label rate and double label rate, showed molinate concentrations in the ponded water increased linearly with the application rate increa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