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lecular ordering

검색결과 58건 처리시간 0.028초

수소결합에 의한 자기조립된 원반형 액정의 제조와 특성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Self-Assembled Discotic Liquid Crystals Formed by Hydrogen Bonding)

  • 이준협
    • 접착 및 계면
    • /
    • 제15권4호
    • /
    • pp.161-168
    • /
    • 2014
  • 페놀과 피리딘 간의 단일 수소결합을 이용하여 새로운 형태의 자기 집합된 원반형 액정을 제조하고 그 액정 특성을 조사하였다. 원반형 구조 설계를 위해 phloroglucinol을 중심부 분자로, 체계적으로 알킬사슬 길이를 변화시킨 trans-4-alkoxy-4'-stilbazole을 주변 물질로 사용하였다. 적외선 분광 분석을 통해 중심부 분자와 주변 물질 사이의 분자간 수소결합이 성공적으로 형성됨을 확인하였고, 또한 수소결합의 안정성이 분자 정렬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음을 확인하였다. 자기 집합된 원반형 액정 복합체는 원반형 메소겐 주위의 알킬 사슬 길이에 따라 다른 액정상들을 나타내었다. 긴 알킬사슬을 함유하는 액정 복합체의 경우 육방형 컬럼상이 나타났으며, 상대적으로 짧은 사슬을 갖는 다른 액정 복합체에서는 네마틱 컬럼상이 형성되었다. 이는 자기 집합된 원반형 액정 복합체의 액정상 구조가 원반형 핵 단위 주변의 알킬사슬 길이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음을 의미하였다.

성장 온도에 따른 InP/GaP SPS 구조의 광학적 특성

  • 변혜령;류미이;송진동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3년도 제45회 하계 정기학술대회 초록집
    • /
    • pp.229.1-229.1
    • /
    • 2013
  • 초격자는 동종의 III-V 삼원 합금층을 성장하는 동안 스피노달 분해(spinodal decomposition)로 인한 원자배열(atomic ordering)과 상분리phase separation)에 의해서 발생하는데 MBE (molecular beam epitaxy)과 MOVPE (metalorganic vapor phase epitaxy)를 이용하여 성장시킬 때 주로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성장온도에 따른 InP/GaP SPS (short-period superlattices) 구조의 광학적 특성 변화를 시료의 온도와 여기광의 세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시료는 MBE 장비를 이용하여 성장하였으며, SPS층은 659쌍의 GaP(2.9 ${\AA}$)과 InP(3.1 ${\AA}$)로 이루어져 있고, GaP 층을 처음에 증착한 뒤, InP 층을 증착 하였다. 성장시 온도를 $400^{\circ}C$, $425^{\circ}C$, $460^{\circ}C$ 그리고 $490^{\circ}C$로 변화를 주어 성장하였다. 이들 시료를 GT400, GT425, GT460 그리고 GT490이라 하였고 이에 대한 광학적 특성을 PL (photoluminescence)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10 K에서 PL 피크는 GT400 시료는 634 nm, GT425 시료는 636 nm, GT460 시료는 680nm, 그리고 GT490 시료는 692 nm에서 나타났으며, GT425 시료의 PL 세기가 가장 강하게 나타나고 GT400 시료의 PL 세기가 가장 약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260 K에서 PL 세기는 GT460 시료가 가장 강하게 나타나고 GT425 시료가 가장 약하게 나타났다. 성장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밴드갭이 감소하는 것은 특정 성장온도($460^{\circ}C$) 이상에서 LCM (lateral composition modulation)이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GT400 시료와 GT425 시료의 PL 피크가 1.94 eV와 1.95 eV로 비슷하고, GT460 시료와 GT490 시료의 PL 피크가 1.82 eV과 1.79 eV로 비슷하게 나타난 것은 $460^{\circ}C$이상에서 성장한 시료에서 LCM 구조 형성으로 설명할 수 있다.

  • PDF

Effects of Chlorhexidine digluconate on Rotational Rate of n-(9-Anthroyloxy)stearic acid in Model Membranes of Total Lipids Extracted from Porphyromonas gingivalis Outer Membranes

  • Jang, Hye-Ock;Kim, Dong-Won;Kim, Byeong-Ill;Sim, Hong-Gu;Lee, Young-Ho;Lee, Jong-Hwa;Bae, Jung-Ha;Bae, Moon-Kyoung;Kwon, Tae-Hyuk;Yun, Il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8권2호
    • /
    • pp.83-88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 basis for studying the molecular mechanism of pharmacological action of chlorhexidine digluconate. Large unilamellar vesicles (OPGTL) were prepared with total lipids extracted from cultured Porphyromonas gingivalis outer membranes (OPG). The anthroyloxy probes were located at a graded series of depths inside a membrane, depending on its substitution position (n) in the aliphatic chain. Fluorescence polarization of n-(9-anthroyloxy)stearic acid was used to examine effects of chlorhexidine digluconate on differential rotational mobility, while changing the probes' substitution position (n) in the membrane phospholipids aliphatic chain. Magnitude of the rotational mobility of the intact six membrane components differed depending on the substitution position in the descending order of 16-(9-anthroyloxy)palmitic acid (16-AP), 12, 9, 6, 3 and 2-(9-anthroyloxy)stearic acid (12-AS, 9-AS, 6-AS, 3-AS and 2-AS). Chlorhexidine digluconate in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 rate of rotational mobility of hydrocarbon interior of the OPGTL prepared with total lipids extracted from cultured OPG, but decreased the mobility of membrane interface of the OPGTL. Disordering or ordering effects of chlorhexidine digluconate on membrane lipids may be responsible for some, but not all of its bacteriostatic and bactericidal actions.

2-TNATA:C60 정공 주입층을 이용한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성능 향상 연구 (Enhanced Efficiency of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ode Using 2-TNATA:C60 Hole Injection Layer)

  • 박소현;강도순;박대원;최영선
    • 폴리머
    • /
    • 제32권4호
    • /
    • pp.372-376
    • /
    • 2008
  • 유기발광소자(OLED)에서 정공 주입층으로 사용되는 4,4',4"-tris(N-(2-naphthyl)-N-phenylamino)-triphenylamine(2-TNATA)가 전극으로 사용되는 ITO(indium tin oxide)와 홀 수송층(hole transport layer, HTL)사이에 박막으로 진공 증착되었다. 공증착에 의해 C60이 약 20 wt% 도핑된 2-TNATA:C60 층을 제조하였으며, AFM과 XRD를 이용하여 2-TNATA:C60 박막의 분자 배향성 및 토폴로지를 관찰하였다. 또한, 다층 소자의 J-V, L-V 및 전류 효율 특성이 고찰되었다. C60은 분자 배향성을 가지고 있으나, 2-TNATA:C60 박막은 C60 분자의 균일한 분산에 의해 분자 배향성이 확인되지 않았다. C60의 도핑에 의해서 2-TNATA 박막이 더욱 조밀해지고 균일해지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로 인하며 박막 내의 전류 밀도가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2-TNATA:C60 하이브리드 박막을 이용하여 ITO/2-TNATA:C60/NPD/$Alq_3$/LiF/Al 다층 소자를 제조하였을 때 소자의 휘도가 향상되었으며 소자 효율도 약 4.7에서 약 6.7 cd/A로 증가하였다.

Barbiturates가 소의 대뇌피질 Synaptosomal Plasma Membrane Vesicles로 부터 추출 제제한 총지질 및 총인지질 인공세포막에 형성된 비대칭적 유동성에 미치는 비대칭적 영향 (Effects of Barbiturates on Transbilayer Fluidity Domains of Phospholipid Model Membrane Monolayers)

  • 윤일;강정숙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03-114
    • /
    • 1992
  • 한국산 2년생 소의 신선한 대뇌피질로 부터 synaptosomal plasma membrane vesicles (SPMV)를 분리한 후 이 SPMV로 부터 추출한 총지질 (SPMVTL) 및 총인지질 (SPMVPL)로서 인공세포막을 제제하였다. SPMVTL 및 SPMVPL의 outer monolayer에 trinitrophenyl groups로 공유결합시킴으로써 형광 probe 1,6-diphenyl-1,3,5-hexatriene (DPH)의 outer monolayer 형광을 선택적으로 소광케한 후 SPMVTL 및 SPMVPL의 inner와 outer monolayer 사이의 비대칭적 유동성 존재 유무를 확인하였던 바 inner monolayer에 비하여 outer monolayer가 유동성이 크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SPMVTL에 비하여 SPMVPL의 유동성이 높았다. 뿐만 아니라 barbiturates는 SPMVTL의 유동성에 대하여는 유의성이 있을 만큼의 증감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고 SPMVPL의 유동성은 감소시키되 주로 outer monolayer의 유동성을 감소시킨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barbiturates 종류에 따른 SPMVPL의 총유동성 감소의 크기는 pentobarbital > hexobarbital > amobarbital > phenobarbital의 순이었다.

  • PDF

재배 지대에 따른 참당귀의 추대 변이와 FLC 유전자 특성 (Variation of Bolting at Cultivation of Different Regions and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FLC homologs in Angelica gigas Nakai)

  • 김영국;여준환;안태진;한신희;안영섭;박충범;장윤희;김정국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359-364
    • /
    • 2012
  • This study were carried out to find bolting response of cultivation in different regions and to isolate FLC (FLOWERING LOCUS C) homologs in Angelica gigas Nakai. The mean temperature of different regions, ordering in altitude, were as follows: 100 m > 350 m > 530 m > 700 m. The largest amount of rainfall was occurred in the region of 350 m while the longest time of sunshine was occurred in the region of 100 m. The content of soil chemical properties in regions showed pH 6.2 ~ 7.4, T-N 0.17 ~ 26, organic mater $1{\sim}32gkg^{-1}$, $P_2O_5$ ${151{\sim}664_{mgkg}}^{-1}$, exchangeable potassium and calcium and magnesium were 0.78 ~ 1.15, 3.9 ~ 10.0, ${0.7{\sim}3.2_{cmol}}^{+kg-1}$. L5 line of A. gigas was occurred in bolting at all regions, but the bolting ratio was 60.0% in 700 m region with non-mulching treatment. Manchu of A. gigas was not occurred in bolting at all regions. The accumulation bolting ratio of L5 line by non-mulching was higher than that of mulching as 90.4% and 72.8% in 100 m region. The MADS-box transcription factor FLC is one of the well-known examples as a strong floral repressor. We decided to isolate FLC homologs from A. gigas as a starting point of flowering mechanism research of this plant. We have isolated two RT-PCR products which showed very high amino acid sequence homology to Arabidopsis FLC.

1,3-디메톡시-티아캘릭스[4]크라운-5-에테르의 이형체들의 상대적인 안정성과 구조들에 대한 mPW1PW91 계산 연구 (mPW1PW91 Calculated Relative Stabilities and Structures for the Conformers of 1,3-dimethoxy-p-tert-butylthiacalix[4]crown-5-ether)

  • 김광호;최종인
    • 대한화학회지
    • /
    • 제53권5호
    • /
    • pp.521-529
    • /
    • 2009
  • 1,3-디메톡시-티아캘릭스[4]크라운-5-에테르 (3)의 다양한 이형체들(cone_oo, cone_oi, pc_oo, pc_io, pc_oi, pc_ii, 13a_oo, 13a_io)에 대한 구조들이 DFT B3LYP/6 - 31 + G(d,p)와 mPW1PW91/6 - 31 + G (d,p) (hybrid HF-DF) 계산 방법들에 의하여 최적화 되었다. 13a_oo (1,3-alternate 이형체에서 두 개의 메 톡시기가 모두 밖으로 향해 있는 구조)가 가장 안정하였으며, 기존에 보고된 실험 결과와 잘 일치하였다. mPW1PW91/6 - 31 + G(d,p) 계산에 의한 상대적인 안정성은 다음과 같았다: 13a_oo (가장 안정) > 13a_io$\sim$ pc_io$\sim$cone_oo > cone_oi$\sim$pc_oo$\sim$pc_oi > pc_ii.

금속코팅용 광경화 코팅필름의 물성에 대한 아크릴산(Acrylic acid)의 영향 (Effect of Acrylic Acid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UV-cured Coating Films for Metal Coating)

  • 서종철;최준석;장의성;서광원;한학수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9권1호
    • /
    • pp.75-82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스테인레스 스틸(stainless steel)의 표면 코팅용 광경화 필름 개발을 위하여 isophorone diisocyanate (IPDI), polycaprolactone triol(PCLT), 2-hydroxyethyl acrylate(HEA), 그리고, 희석제로서 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 (TMPTA)와 acrylic acid(AA)의 첨가비율을 달리한 광경화형 poly(urethane acrylate-co-acrylic acid)(PU-co-AA) 필름을 성공적으로 제조하였으며, 제조한 PU-co-AA 필름의 모폴로지, 접착특성, 기계적 특성, 전기적 특성 등에 대한 AA 첨가량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모든 PU-co-AA 필름은 비정형 구조를 나타내었으나, AA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분자 규칙 및 패킹밀도는 감소하였다. 접착특성은 AA 함량 50% 이상에서는 접착력 5B 수준으로 스테인레스 스틸에 대한 우수한 접착특성을 나타내었으며, AA 함유량이 0%에서 66%까지 증가함에 따라 Pull-off strength법 접착력은 6~31 $kg_f/cm^2$ 로 선형적으로 증가하였다. 광경화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의 접착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유연한 사슬구조와 2관능기를 가진 AA의 도입은 다관능기의 TMPTA의 높은 가교밀도를 줄임으로써 효과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AA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접촉각의 감소와 젖음성의 향상을 확인하였다. 한편, 유연한 사슬 및 곁사슬 -COOH를 가진 AA의 도입은 규칙성 및 패킹밀도의 감소를 나타내며, 이는 PU-co-AA 필름의 경도 저하를 나타내며, 또한 AA의 분자 내의 작용기 -COOH는 고분자 필름 내의 분극현상을 증가시킴으로써 유전상수의 증가 경향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PU-co-AA 필름의 물리적 특성은 첨가한 AA의 함량에 크게 의존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광경화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에 아크릴산 AA의 도입은 사슬의 유연성 증가와 가교밀도의 감소 영향으로 스테인레스 스틸과의 접착력을 향상시키는데 매우 효과적인 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