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isturizer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2초

The Effect of Multi-lamellar Emulsion (MLE) on Skin Barrier Function: Can an Improve Permeability Barrier Provide a Solution for Itching due to Skin Barrier Malfunction\ulcorner

  • Youm, Jong-kyung;Kim, Yang-hee;Park, Byeong-deog;Jeong, Se-kyoo;Park, Eung-ho;Ahn, Sung-ku;Lee, Seung-hun
    • 대한화장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화장품학회 2003년도 IFSCC Conference Proceeding Book I
    • /
    • pp.765-779
    • /
    • 2003
  • Physiological lipid mixtures comprised of cholesterol, ceramide and free fatty acid better maintain epidermal homeostasis and have been recently used for dermatoses induced by skin barrier damage, for example for atopic dermatitis and xerotic skin. Itching and dry atopic dermatitis of the skin may be related to altered skin barrier function. In a previous study, the use of multi-lamellar emulsion (MLE), which is a lipid mixtures containing cholesterol, pseudoceramide and free fatty acid, has been shown to accelerate the recovery of the epidermal permeability barrier. In this study, we assessed the efficacy of MLE compared with a currently used anti-itch moisturizer (AIM), the active ingredients of which are menthol and camphor, on barrier recovery after barrier disruption. To clarify the effect of MLE and AIM after acute barrier perturbation, we measured the relation between transepidermal water loss (TEWL) and the barrier recovery rate at 3, 6, 24, and 48 hours after tape stripping hairless mice and then observed changes in the stratum corneum (SC), including the intercellular lipid structure and secretion of lamellar bodies, by electron microscopy. MLE treated skin recover skin barrier function more rapidly, and AIM treated skin delayed barrier repair. Morphological changes in the epidermis, of MLE treated skin revealed well-conserved lipid multi-lamellar structures at 24 h after tape stripping, whereas AIM treated skin showed altered lamellar bilayers within the SC interstices at 48 h. In addition, MLE treated skin showed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LBs and in their secretions and a decrease in the number of SC layers versus AIM treated skin. These results suggest that MLE may accelerate the production of an epidermal permeability barrier in hairless mice by increasing the number and secretion of LB and improve the dryness and itch associated with an altered epidermal permeability barrier.

  • PDF

비동물성 콜레스테릭 액정의 안정성과 보습효능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Stability and Moisturizing Effect of Non-Animal Cholesteric Liquid Crystal)

  • 우병영;민대진;백홍수;김신형;황준영;박영호;이존환;신송석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41-153
    • /
    • 2014
  • 본 연구는 화장품 제형 적용성이 높은 콜레스테릭 액정(CLCs) 개발에 관한 것이다. 비동물성 원료는 동물성 바이러스 감염 이슈로부터 자유롭고 화장품 소비자들에게 안심감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비동물성 유래로부터 콜레스테릭 액정연구를 진행하였다. 따라서 발효로부터 만들어진 비동물성 콜레스테롤[NAB cholesterol (ARCH LONZA)]을 이용하여 3 가지 새로운 콜레스테릭 유도체(CI, CC, CN)를 합성하였다. 그리고 제형 적용성이 높은 콜레스테릭 액정개발을 위해서 넓은 온도범위에서 발색을 유지하는 최적 조성연구를 진행하였다. 콜레스테릭 액정은 3 가지 유도체를 조합하여 41개의 액정을 제조하고 온도에 따른 육안평가를 통해서 색을 나타내는 범위를 평가하였다. 제조된 41개의 액정을 온도에 따라 UV-VIS 스펙트럼을 동시에 분석할 수 있는 새로운 평가법을 사용하였으며 205개의 스펙트럼 분석하고 액정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와 특성을 파악하였다. 위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제형적용성이 높은 비동물성 콜레스테릭 액정 A4, A5, A6, A7의 조성을 개발하였다. 또한 인공피부를 이용한 평가를 통하여 A6 조성의 뛰어난 피부 보습효능을 확인하였다.

청원 지역 쌀단백질 추출물의 항산화 및 수분 보유력 평가 (Evaluation for Antioxidant Effects and Water-holding Capacity of Rice Protein Extracts from Cheongwon Area)

  • 최형철;정수현;정노희
    • 공업화학
    • /
    • 제31권4호
    • /
    • pp.398-403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청원지역에서 재배하고 있는 6품종의 쌀을 당 분해 효소 및 단백질 분해 효소를 이용하여 쌀단백질 추출물을 제조하고, 항산화 효과 및 수분보유력을 비교 분석하였다. 품종별 쌀단백질 추출물의 단백질 함량을 측정한 결과 흑미 추출물이 4900 ㎍/mL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향찰현미 추출물이 3700 ㎍/mL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2,2-diphenyl-1-picryl-hydrazyl-hydrate 라디칼 소거 활성 결과 흑미 추출물과 홍현미 추출물이 2 mg/mL에서 80.0% 이상의 우수한 소거 활성을 확인하였다.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라디칼 소거 활성은 흑미 추출물과 홍현미 추출물이 2 mg/mL에서 70.0% 이상의 소거 활성을 나타내었다. 수분보유력 평가 결과는 홍현미, 홍찰현미, 흑미, 향찰현미를 이용한 추출물은 수분보유력이 110% 이상임을 확인하였다. 종합적으로 흑미를 이용한 쌀단백질 추출물이 항산화 및 수분보유력이 우수한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피부 보습 및 항산화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응용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Effects of Oral Intake of Kimchi-Derived Lactobacillus plantarum K8 Lysates on Skin Moisturizing

  • Kim, Hangeun;Kim, Hye Rim;Jeong, Bong jun;Lee, Seung Su;Kim, Tae-Rahk;Jeong, Ji Hye;Lee, Miyeong;Lee, Sinai;Lee, Jong Suk;Chung, Dae Ky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5권1호
    • /
    • pp.74-80
    • /
    • 2015
  • Skin is the soft outer covering of vertebrates that provides protection from pathogenic infection, physical damage, or UV irradiation, and controls body temperature and water content.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effects of oral intake of kimchi-derived Lactobacillus plantarum K8 lysates on skin moisturizing. In an in vitro study, we observed that the hyaluronic acid content increased in HaCaT cells treated with L. plantarum K8 lysates. Oral administration of L. plantarum K8 lysates effectively attenuated the horny layer formation and decreased epidermal thickening in DNCB-treated SKH-1 hairless mice skin. The damage to barrier function was reduced after 8 weeks of oral administration of L. plantarum K8 lysates as compared with that in the atopic dermatitis mice. For the test with volunteers, we manufactured experimental candy containing 2.1% L. plantarum K8 lysates, while control candy did not contain bacterial lysate. A significant increase in hydration in the experimental candy-administered group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candy-administered group was observed on the face after 4 and 8 weeks, and on the forearm after 4 weeks. Decreases in horny layer thickness and TEWL value were observed on the face and forearm of the experimental group. Together, the in vitro cell line and in vivo mouse studies revealed that L. plantarum K8 lysates have a moisturizing effect. A clinical research study with healthy volunteers also showed an improvement in barrier repair and function when volunteers took L. plantarum K8 lysates-containing candy. Thus, our results suggest that L. plantarum K8 lysates may help to improve skin barrier function.

국내 및 수입브랜드의 핸드크림이 소비자 구매인식과 피부 유, 수분에 미치는 영향 (Hand Cream purchase consumer awareness of Domestic and Foreign Brands and effect of Sebum and Moisture in the Skin)

  • 서현우;유선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373-381
    • /
    • 2016
  • 핸드크림이 국내 및 수입브랜드에 따른 소비자 구매인식과 피부 유, 수분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수도권 지역의 여성 105명을 대상으로 핸드크림에 대한 사용현황과 구매현황, 인시에 대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이후 시장 조사를 토대로 핸드크림의 가격과 용량, 전 성분을 비교하였고, 고가와 저가, 수입 브랜드와 국내 브랜드로 나누어 17명의 임상실험 대상자를 선정하여 2주 동안 핸드크림 사용 전과 사용 후 수분과 유분, 수분 지속력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핸드크림이 가격과 브랜드가 품질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고 생각하는 사람의 비율이 높았으며, 고가와 저가, 수입브랜드와 국내브랜드의 가격을 분석한 결과 1mg (g)당 가격이 최대 4배정도 차이가 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전 성분을 비교한 결과 보습제인 글리세린과 피부 컨디셔닝제인 세테아릴알코올을 공통적으로 함유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임상실험 결과 제품 그룹별 유, 수분량의 변화는 유의하게 확인되었으나, 제품을 고가와 저가, 수입브랜드에 따른 수분과 유분량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결과를 확인하였으며, 수분 지속력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결과를 나타냈다. 이와 같은 결과는 가격과 브랜드의 차이가 피부의 유, 수분 함량에 미치는 영향과의 상관관계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하루에도 여러번씩 사용하는 소비성이 뛰어난 제품임을 감암할 때 소비자의 니즈를 파악하여 핸드크림에 대한 제품 품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기초 자료가 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콜라겐 펩타이드의 피부 장벽 보호 효과 (Beneficial Effect of a Collagen Peptide Supplement on the Epidermal Skin Barrier)

  • 김정기;이지해;배일홍;서대방;이상준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458-463
    • /
    • 2011
  • In vivo에서 10주간의 UV 조사에 의해 유발되는 피부 손상 및 2주간의 아세톤 도포에 의해 유발되는 급성 피부장벽손상에 대한 콜라겐 펩타이드의 보호 효능을 관찰한 결과, 주름 증가, 비정상적 각질 세포 증식에 의한 피부 두께 증가,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증가 등이 콜라겐 펩타이드의 경구 섭취에 의해 개선됨을 확인하여, 콜라겐 펩타이드가 피부 손상을 방어하고, 피부 장벽회복기능이 정상적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콜라겐 펩타이드의 피부 장벽 회복 기전을 살펴보기 위하여 사람 각질세포를 이용하여 평가한 결과, 콜라겐 펩타이드는 SPT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킴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콜라겐 펩타이드가 광노화 및 급성 피부장벽 손상에 의해 유발되는 피부 진피 및 표피 층의 손상을 회복 혹은 보호하는 효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콜라겐 펩타이드가 광노화 보호 또는 피부장벽 개선 효능을 갖는 새로운 미용 식품 소재로써 이용 가능성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다.

생체활성 각질층 지질 - 아토피 피부염 관리를 중심으로 - (Stratum Corneum Lipids as Bioactive Materials for Atopic Dermatitis)

  • 박병덕;염종경;안성구;이승헌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45-352
    • /
    • 2004
  • 아토피 피부염을 설명하는 데는 두 가지 패러다임이 있는데, 첫 번째는 outside-inside paradigm이고 두 번째는 inside-ouside paradigm이다. Outside-inside paradigm에 의하면 아토피 피부염을 치료하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피부 장벽 기능을 회복시키는 것이다. 장벽 기능은 각질층의 특징적인 구조에 의해 유지되는데, 각질층은 층상구조의 inter-cellular lipids와 corneocyte로 구성되어 있다. 아토피 피부염 환자, 층판상 어린선 환자의 각질층 내 층상구조는 hexagonal 구조가 많이 존재하고 있음을 보였으며, 이는 Ceramide 1 타입과 long chain fatty acid의 감소 때문이라고 보여진다. 이러한 이유에서 라멜라구조를 가지며 intercellular long periodicity phase 기능을 복원할 수 있는 보습제는 각질층의 intercellular lipid의 층상구조를 복원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세라마이드와 유사세라마이드를 함유한 보습제는 손상된 피부장벽, 피부질환, 아토피 피부염을 위한 유용한 치료제로 사용할 수 있다. Inside-outside paradigm에 따르면, 아토피 피부염 등이 보조 T cell, lg E, eosinophil 등을 포함한 면역반응과 관계되는데, 특히 Th1/Th2 imbalance의 복원이 아토피 피부염을 치료하는데 효과적일 것이다. 현재 여러 종류의 면역억제제가 소개되고 있지만, 이들은 고유 면역기능을 감소시킬 우려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세라마이드 대사산물인 SPC와 S1P는 면역조절 기능 및 상처치유의 기능을 가짐으로써 향후 관심이 집중될 것이다.

화장품의 면포 비유발 평가에서 오일 레드 오 염색법의 응용 (Use of Oil Red O Staining Method in Non-Comedogenic Test for Cosmetics)

  • 이선화;이정임;김유리;이범천;강민지;최광성;문태기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15-224
    • /
    • 2013
  • 화장품에 배합되는 원료 중에 피부 모공을 막아 여드름의 초기단계인 면포를 유발함으로써 염증성 여드름으로 악화시키는 사례가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는 '여드름 피부에 사용이 적합한' 면포 비유발성 화장품의 객관적인 평가 기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외국 임상기관에서 실시하고 있는 non-comedogenic test를 조사하고 등 상부 반복 폐쇄 첩포를 통해 면포 유발 평가방법을 확립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또한 안면부 사용성 시험을 동일 피험자에게 추가로 진행하였다. 등 상부 반복 폐쇄 첩포를 통해 면포를 채취하여 분석한 결과 시험시료로 사용한 보습제와 자외선 차단제가 면포를 유발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동일한 시험제품을 안면부에 사용하여 얻은 면포 유발 결과와 Global acne grading system (GAGS)의 여드름 육안평가 결과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또한 사진 판독을 통해 분석하는 면포와 모낭의 구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면포 채취 표본에 Oil red O staining을 실시하였다. 염색을 한 경우의 표본이 염색을 하지 않은 표본과 비교하여 결과 간 높은 일치도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Oil red O staining을 통해 객관성과 신뢰성을 증진시킨 새로운 버전의 화장품 면포 비유발성 평가법을 확립하였다.

방사선을 이용한 느릅나무 추출 다당류가 함유된 하이드로젤의 제조 및 항염증성 평가 (Radiation Synthesis and Anti-inflammatory Evaluation of Polysaccharide Hydrogels from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 권희정;박은지;최종배;임종영;정진오;신영민;정성린;박종석;임윤묵;최영훈;김상숙
    • 폴리머
    • /
    • 제38권1호
    • /
    • pp.69-73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방사선 기술을 이용하여 항염증 특성을 가지는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고분자 하이드로젤을 제조하여 항염증 패치로서의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천연 추출물로는 오래 전부터 전통 민간요법으로 항염제나 궤양 및 종양 치료 등에 사용되고 있는 느릅나무를 사용하였고, 생체 적합성 고분자인 poly(vinyl alcohol)(PVA)와 보습률 향상을 위해 글리세린을 첨가하여 감마선 가교에 의해 다당류 함유 고분자 하이드로젤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하이드로젤은 항염증 패치로 사용하기에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나타내었고, 사이토카인 분비를 효과적으로 억제함은 물론 세포독성도 나타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느릅나무 추출 다당류가 함유된 하이드로젤은 항염증 패치로써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사물소풍음(四物消風飮)과 Prednisolone이 NC/Nga mice의 아토피 피부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amulsopungeum and Prednisolone on NC/Nga Atopic Mice)

  • 윤채성;주현아;황충연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59-74
    • /
    • 2010
  • Objectives : Atopic dermatitis(AD) is a chronic recurrent skin disease which usually developed in infancy or childhood. AD often repeat improvement and relapse. The cause of AD is so indefinite that many methods of therapies(moisturizer, steroid ointment, antihistamine, immunomodulator, immunosuppressant, herbal medicine, alternative medicine, etc.) are tried. Recently, a lot of studies were made. But there is no report about the effect of Samulsopungeum(SM) and Prednisolone(PN) on AD. So, author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M and PN on AD of NC/Nga mice. Methods : Thirty two mice(8 Balb/c mice and 24 NC.Nga mice)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Balb/c mice was normal group. NC/Nga mice were divide into three group : control, PN, SM group. AD was induced in the control, PN, SM group by spreading DNCB. Then normal saline, PN and SM were orally administered three times in a week for 8 weeks to the control, PN, SM group, respectively. We observed changes of clinical skin severity score, serum IgE, IgG1, IFN-$\gamma$, IL-2, IL-4, IL-5, IL-10, IL-13, and so on. We used one-way ANOVA test statistically(p<0.01). Results : The clinical skin severity scores of PN group and SM group in 8th week were decreas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Serum IgE, IgGl levels of PN group and SM group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Serum IFN-$\gamma$ in SM grou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But, Serum IFN-$\gamma$ in PN group was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Serum IL-10 levels of PN group and SM group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Serum IL-2, IL-4, IL-5, IL-13 levels of PN group and SM group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mRNA expression levels of IL-2, IL-4, IL-5, IL-13 in the dorsal skin tissues of PN group and SM group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ccording to biopsy reports of the ear and skin tissues showed that the tissue damage of PN group and SM group were highly reduc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reatinine, BUN, ALT, AST levels of PN group and SM group were normal. Conclusion :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it is considered that SM is effective treatment for the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