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Moisture retention

Search Result 227,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토양개량제(土壤改良劑) 처리(處理)가 토양(土壤)의 물리성(物理性)과 대두(大豆)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Soil Conditioner Treatments on the Changes of Soil Physical Properties and Soybean Yields)

  • 조인상;허봉구;류관식;엄기태;조성진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29-34
    • /
    • 1987
  • 토양개량제(土壤改良劑)가 토양(土壤) 입단형성(粒團形成)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하고 토양(土壤) 입단(粒團)의 특성(特性)이 토양(土壤) 및 작물생육(作物生育)에 미치는 효과(效果)를 검토(檢討)하기 위하여 토양개량제(土壤改良劑) PAM 및 Bitumen 을 사양토(砂壤土) 및 미사질(微砂質) 식양토(埴壤土)에 각각(各各) 0.5%, 1%씩 처리(處理)하여 입단(粒團)의 안정성(安定性), 습윤각(濕潤角), 평균(平均) 중량직경(重量直徑), 통기성등(通氣性等)을 조사(調査)하고 토양개량제(土壤改良劑)를 미사질(微砂質) 식양토(埴壤土) pot에 각각(各各) 0.5%, 1%씩 표면(表面) 처리(處理)하여 대두(大豆) 생육(生育)과 토양(土壤) 특성(特性) 변화(變化)를 조사(調査)하였다. 1. 토양개량제(土壤改良劑) PAM 및 Bitumen 처리(處理)에 의(依)하여 토양입단(土壤粒團)의 안정성(安定性)은 현저(顯著)히 증대(增大)되었으며 동일농도(同一濃度)에서 PAM은 사양토(砂壤土)에서 Bitumen은 미사질(微砂質) 식양토(埴壤土)에서 더 효과적(效果的) 이었다. 2. PAM 처리(處理)에 의(依)하여 토양(土壤)의 습윤각(濕潤角)은 크게 변화(變化)되지 않았으나 Bitumen 처리(處理)에 의(依)하여 토양(土壤)의 소수성(疎水性)은 크게 증대(增大)되었다. 3. PAM 및 Bitumen 처리(處理)에 의(依)하여 통기성(通氣性) 및 수분(水分)의 침투속도(浸透速度)가 증대(增大)되고 수분함량(水分含量)이 많아졌다. 4. 대두(大豆)의 생육(生育)은 토양개량제(土壤改良劑) 처리(處理)에 의(依)하여 무처리(無處理)보다 초기(初期) 생육(生育)이 양호(良好)하고 수량(收量)은 6-13% 증수(增收) 되었다.

  • PDF

폴리에치렌 글리콜-400에 의한 목재(木材)의 칫수안정화(安定化) (On the dimensional stabilization of woods with treatment of Polyethylene Glycol-400)

  • 조남석;조재명;배규용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권1호
    • /
    • pp.3-15
    • /
    • 1975
  • How to stabilize wood against shrinking and swelling in variable atmospheric moisture conditions is important to the wood-using industry and a challenge to research. Polyethylene glycol stabilize wood by bulking the fiber. PEG also serve as a chemical seasoning agent, suppress decay in high concentrations, and have slight effect on physical properties, gluing or finishing. The study design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PEG-400 on the dimensional stabilization of local hardwoods for wood carvings that could supply a greatly expanding tourist trade and making curved furniture parts, lamp stands and other decorative objects, and possible gunstock. The species examined were 6 species, Seo-Namoo (Carpinus laxiflora), Cheungcheung-Namoo (Cornus controversa), Gorosae-Namoo (Acer mono), Karae-Namoo (Juglans mandshurica), Jolcham-Namoo (Quercusserrata) and Sanbud-Namoo (Prunus sargentii), used as block of 5cm thick radially to the grain, 7cm wide tangentially, and 70cm long parallel to the wood grain. All these test piecies were conditioned above the fiber saturation point before impregnation. The stabilization effects were determined for PEG-400 treated woods in a 50 percent solution for 20 day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PEG retentions increased with treating time. It was more effective to treat at 60$^{\circ}C$ than at room temperature. In degree of PEG-400 impregnation on species, Cheungcheung-Namoo havinglow specific gravity had the highest retentions, 68.77% but the lowest, 56.33% was shown in Jolcham-Namoo with high specific gravity. Specific gravity of treated wood increased considerably with effectiveness of polymer loading. The increases in specific gravity were 5.36 to 13.16 percent. The highest was Jolcham-Namoo, the lowest Karae-Namoo. On the dimensional stability, a 40 percent of effectiveness of polymer loading was just as effective as 60 percent in reduction in water absorptivity (RWA), antishrinkage efficiency (ASE) and antiswelling efficiency (AE), and from over 60 percent they increased more rapidly. Also species response varied considerably. ASE was 30.12 to 69.97 percent tangentially and 27.86 to 56.37 percent radially, AE 34.06 to 73.76 percent tangentially and 30.11 to 70.12 percent radially, and RWA 42.31 to 65.32 percent. No differences in volume swelling among the 6 species were observed. Its values were ranged from 14.98 to 19.55 percent and also increased with PEG retentions.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the strengths very much decreased with PEG-400 loadings as shown in Figure 12; that were 11.41 to 22.90 percent in compression, 21.61 to 34.35 percent in bending and 22.83 to 36.83 percent in tensile strength. PEG retention in cell wall was less than 1 percent and the most of PEG were immersed in cell lumen. Except for Korae-Namoo, effectivenesses of polymer loading were as much high as 61.58 to 75.02 percent. This is believed to be due to the effect of PEG-400 on excellant dimensional stability of treated woods.

  • PDF

톨루엔으로 오염된 공기의 생물학적 여과에 대한 필터용 담체의 영향 (The Effect of Filter Media on the Biofiltration of Air Contaminated by Toluene)

  • 홍성도;한희동;명성운;최호석;김인호
    • KSBB Journal
    • /
    • 제16권6호
    • /
    • pp.603-608
    • /
    • 2001
  • 낮은 농도 (0.41 g/㎥)에서 바이오필터 장치의 제거효율은 5 L/min과 10L/min에서 각각 30~70% 이상을 보여주는 반먼에 고농도 (1.23 g/㎥)에서의 효율은 10~60%이다. 그리고 Synthesized media를 담체로 사용한 바이오필터의 성능이 다른 바이오필터에 비하여 좋지 않았으며, barks를 사용한 바이오필터에 비하여 좋지 않았으며, barks를 사용한 바이오필터의 제거율이 입구농도 0.8g/㎥에서 약 70%로 가장 좋은 성능을 보였다. 이는 합성담체가 porous하여 그 보습능력이 다른 담체들에 비하여 떨어지기 때문임을 알 수 있었다. 바이오필터가 제거할 수 있는 공기중의 톨루엔양은 입구의 단위 시간당 농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제거량이 증가함으로 알 수 있었으며, barks를 담체로 사용한 바이오필터의 제거량이 유입 부하량 40 g/㎥에서 최대 30 g/㎥으로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수분 및 활성의 유지가 안돼는 악의 조건하에서의 바이오필터 적응능력 면에서는 bark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바이오필터의 우수한 거동을 위해서는 필터층의 적당한 수분함량 조절이 가장 필수적이며, 각 바이오필터의 pH 변화는 7~8로써, 중성영역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였다. 모든 바이오필터 시스템에서 압력강하는 0.054 cm$H_2O$/m로서 무시할 만큼 낮았고, 특히 합성담체의 경우에 다른 담체들에 비하여 압력손실이 현저히 낮았다.저히 낮았다.

  • PDF

수출용 심비디움 묘 생산에 적합한 배지 선발 및 시비량 구명 (Selection of Proper Medium and Amount of Applied Fertilizer for Exportable Cymbidium Young Plants Grown in Korea)

  • 심명선;김미선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17-222
    • /
    • 2010
  • 바크는 심비디움 분화의 배지로서 국내에서 가장 많이 이용되는 배지지만, 분화 수출 시 제거 과정 중에서 쉽게 떨어지지 않아 뿌리가 손상되어 상품성이 낮아지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식물체로부터 쉽게 제거되며 바크를 대체할 수 있는 배지를 선발하고 이때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시비량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심비디움 'Honey Hot'와 'Desert Look'의 묘를 바크, 코코칩, 그리고 피트모스 배지에 식재하였고, 완효성 비료 2, 4, 6g을 처리하였다. 심비디움 묘들은 일반적으로 2년 동안 재배하고 3년째 되는 해에 개화시켜 상품으로 출하하게 되므로, 1년차와 2년차에 식물의 생장 특성들을 조사하였으며, 배지의 특성과 잎의 무기이온 함량을 최종적으로 조사하였다. 1년차에는, 'Desert Look'의 생육이 피트모스 처리구에서 바크보다 더 향상되었다. 'Honey Hot'의 생육 측정값들은 바크 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2년차에는, 두 품종 모두 피트모스 처리구에서 생육이 향상되었다. 코코칩 처리구들은 바크와 피트모스에 비해 생육이 안 좋았다. 모든 배지 처리구에서 시비량에 따른 유의성은 보이지 않았다. 피트모스는 바크에 비해 CEC가 높아 더 많은 양분들을 보유하므로 식물의 생육을 향상시켰다. 특히, 엽내의 높은 K과 Ca 함량은 식물 생육에 좋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결과적으로, 심비디움 묘 생산에서 피트모스가 바크를 대체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이때 배지가 너무 과습하지 않도록 주의가 요구된다.

By-product of Tropical Vermicelli Waste as a Novel Alternative Feedstuff in Broiler Diets

  • Rungcharoen, P.;Therdthai, N.;Dhamvithee, P.;Attamangkune, S.;Ruangpanit, Y.;Ferket, P.R.;Amornthewaphat, 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6권12호
    • /
    • pp.1732-1741
    • /
    • 2013
  •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vermicelli waste (VW) and effect of VW inclusion levels on growth performance of broilers. In experiment 1, VW samples were randomly collected from vermicelli industry in Thailand to analyze nutritional composition. Vermicelli waste contained 9.96% moisture, 12.06% CP, 32.30% crude fiber (CF), and 0.57% ether extract (EE), as DM basis. The ratio of insoluble:soluble non-starch polysaccharide (NSP) was 43.4:8.9. A total of 120 chicks (6 pens per treatment and 10 chicks per pen) were fed a corn-soybean meal-based diet or 20% VW substituted diet to determine the apparent metabolizable energy corrected for nitrogen retention ($AME_n$) of VW. The $AME_n$ of VW was $1,844.7{\pm}130.71$ kcal/kg. In experiment 2, a total of 1,200 chicks were randomly allotted to 1 of 4 dietary treatments for 42-d growth assay. There were 300 chicks with 6 pens per treatment and 50 chicks per pen. The dietary treatments contained 0%, 5%, 10%, or 15% VW, respectively. All diets were formulated to be isocaloric and isonitrogenous. From 0 to 18 d of age chicks fed VW diets had higher (p<0.001) feed conversion ratio (FCR) compared with those fed the control diet. No difference was observed during grower and finisher phase (19 to 42 d). Chicks fed VW diets had lower relative weight of abdominal fat (p<0.001) but higher relative weight of gizzard (p<0.05) than those of chicks fed the control diet. Increasing VW inclusion levels increased ileal digesta viscosity (p<0.05) and intestinal villus height of chicks (p<0.001). For apparent total tract digestibility assay, there were 4 metabolic cages of 6 chicks that were fed experimental treatment diets (the same as in the growth assay) in a 10-d total excreta collection. Increasing VW inclusion levels linearly decreased (p<0.05) apparent total tract digestibility of DM and CF.

Dietary inclusion effect of yacon, ginger, and blueberry on growth, body composition, and disease resistance of juvenile black rockfish (Sebastes schlegeli) against Vibrio anguillarum

  • Lee, Ki Wook;Jeong, Hae Seung;Cho, Sung Hwoan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3권4호
    • /
    • pp.7.1-7.8
    • /
    • 2020
  • Background: To minimize the use of antibiotics and to obtain a more sustainable fish culture and aquaculture industry, development of alternative natural source of immunostimulant to replace antibiotic in aquafeed is highly needed. Objective: Dietary inclusion effect of yacon (YC), ginger (GG), and blueberry (BB) on growth, body composition, and disease resistance of black rockfish against Vibrio anguillarum was compared to ethoxyquin (EQ). Methods: Four hundred eighty juvenile (an initial weight of 4.2 g) fish were randomly distributed into 12 of 50 L flowthrough tanks (forty fish per tank). Four experimental diets were prepared; the control (Con) diet with 0.01% EQ inclusion, and YC, GG, and BB diets at 1% each additive inclusion. Each additive was included into the experimental diets at the expense of wheat flour. Each diet was assigned to triplicate tanks of fish and hand-fed to satiation twice daily for 8 weeks. At the end of 8-week feeding trial, 20 fish from each tank fish were artificially infected by intraperitoneal injection with 0.1 mL of culture suspension of pathogenic V. anguillarum containing 3.3 × 106 cfu/mL respectively. Fish were monitored for the following 8 days after V. anguillarum infection and dead fish were removed every 6 h for the first 4 days and 12 h for the rest of the study. Results: Weight gain, specific growth rate (SGR), and feed efficiency ratio (FER) of fish fed the YC diet was higher than those of fish fed all other diets. However, feed consumption, protein efficiency ratio, and protein retention was not affected by dietary additive. Moisture, crude protein, and crude lipid content of the whole body of fish were affected by dietary additive. Analysis of the Kaplan-Meier survival curves showed that survival of fish fed the YC, BB, and GG diets was higher than the Con diet. Conclusion: Oral administration of YC can improve not only weight gain, SGR, and FER of black rockfish, but lower mortality of rockfish at occurrence of V. anguillarum.

시판 강력분 우리밀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Domestic Strong Wheat Flour)

  • 곽한섭;김미정;김의웅;김상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616-621
    • /
    • 2017
  • 시판 우리밀 강력분 밀가루의 품질 특성을 국내 대표적인 제빵용 수입밀 강력분 밀가루와 비교하였다. 우리밀 시판 강력분 제품은 수입밀 밀가루 제품과 비교해 수분 함량, 단백질 함량, 명도 및 색도가 낮게 나타났다. 용매보유능(SRC), gluten performance index(GPI), 수분흡수지수에서 시판 수입밀 강력분 밀가루가 높게 나타났으며, 수분용해지수는 우리밀 강력분 밀가루에서 높게 나타났다. 수입밀 강력분의 경우 전분 손상도와 관련된 SCSRC가 83.5%로 우리밀 강력분의 67.3~74.1%보다 높았으나, 글루텐 형성을 나타내는 LASRC가 낮게 나타났다. 최근 중요하게 인지되고 있는 GPI는 수입밀의 경우 0.65로 나타났으며, 우리밀은 0.5대의 수치를 보여 우리밀의 품질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분흡수지수에서는 수입밀이 더 많은 수분을 흡수하였으며, 그와 반대로 수분용해지수에서는 수입밀이 더 적은 양의 수용성 고형분이 용출되었다. Rapid visco analyzer를 통한 점도특성에서 전분의 노화 지표인 setback 수치가 수입밀과 우리밀 D3 시료에서 낮게 나타났다. 우리밀 시료 사이의 호화특성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 같은 강력분 밀가루 내에서 점도 특성의 차이가 있었다. 밀가루 전분의 상변이 특성에서는 시판 강력분 수입밀 밀가루의 경우 상변화에 필요한 에너지가 6.2 J/g으로 우리밀의 6.67~7.13 J/g보다 낮았다. 밀가루 반죽 특성 분석 결과 수입밀의 경우 수분흡수율이 높았고, 반죽의 안정도 시간이 길게 나타났다. 우리밀 반죽의 저항도 및 신장성은 수입밀보다 낮았다.

Antimelanogenesis and skin-protective activities of Panax ginseng calyx ethanol extract

  • Lee, Jeong-Oog;Kim, Eunji;Kim, Ji Hye;Hong, Yo Han;Kim, Han Gyung;Jeong, Deok;Kim, Juewon;Kim, Su Hwan;Park, Chanwoong;Seo, Dae Bang;Son, Young-Jin;Han, Sang Yun;Cho, Jae Youl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2권3호
    • /
    • pp.389-399
    • /
    • 2018
  • Background: The antioxidant effects of Panax ginseng have been reported in several articles;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the antimelanogenesis effect, skin-protective effect, and cellular mechanism of Panax ginseng, especially of P. ginseng calyx. To understand how an ethanol extract of P. ginseng berry calyx (Pg-C-EE) exerts skin-protective effects, we studied its activities in activated melanocytes and reactive oxygen species (ROS)-induced keratinocytes. Methods: To confirm the antimelanogenesis effect of Pg-C-EE, we analyzed melanin synthesis and secretion and messenger RNA and protein expression levels of related genes. Ultraviolet B (UVB) and hydrogen peroxide ($H_2O_2$) were used to induce cell damage by ROS generation. To examine whether this damage is inhibited by Pg-C-EE, we performed cell viability assays and gene expression and transcriptional activation analyses. Results: Pg-C-EE inhibited melanin synthesis and secretion by blocking activator protein 1 regulatory enzymes such as p38,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s (ERKs), and cyclic adenosine mono-phosphate response element-binding protein. Pg-C-EE also suppressed ROS generation induced by $H_2O_2$ and UVB. Treatment with Pg-C-EE decreased the express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s,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and hyaluronidases and increased the cell survival rate.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Pg-C-EE may have antimelanogenesis properties and skin-protective properties through regulation of activator protein 1 and cyclic adenosine monophosphate response element-binding protein signaling. Pg-C-EE may be used as a skin-improving agent, with moisture retention and whitening effects.

인삼제품의 첨가에 따른 제빵적성 및 관능평가 (Qual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White Bread added with Various Ginseng Products)

  • 송미란;이가순;이병찬;오만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69-377
    • /
    • 2007
  • 백삼분말, 홍삼분말 및 홍삼추출농축액 등의 인삼제품을 첨가하여 기능성 식빵 제조에 이용하고자 인삼제품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반죽에 대한 물성을 측정하고 식빵을 제조하여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Farinograph, extensograph 및 amylograph에 의한 분석결과, 인삼제품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은 수분흡수력이 나타났고 반죽의 안정도가 무첨가구에 비하여 불안정하여 반죽시간이 단축되었으며 R/E값 및 점도가 감소하였다. 또한 발효시간의 경과에 따라 pH는 하강하였으며 발효팽창력은 무첨가구보다 우수하였으나 일정량이상의 첨가는 가스보유력을 약화시켰다. 인삼분말제품 첨가에 따른 비용적은 백삼분말 2% 첨가 시 5.41 mL/g으로 가장 높았고 홍삼추출농축액첨가제품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아져서 4% 첨가 시 5.82 mL/g을 나타냈다. 인삼제품을 첨가한 식빵의 저장 중 경도를 측정한 결과 백삼 및 홍삼분말첨가 시는 무첨가구에 비하여 초기경도가 높았으며 저장일수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고 홍삼추출농축액을 첨가한 제품은 초기경도가 무첨가구보다 낮았으며 저장일수가 증가함에 따라 경도의 증가폭이 작았다. 색도 측정결과 인삼제품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적색도와 황색도가 증가하였으며 관능검사결과 전체적인 기호도면에서 홍삼추출농축액 2% 첨가한 제품에서 가장 좋은 기호도를 나타내었다.

Glucomannan, Carrageenan, Carboxymethyl cellulose 및 Transglutaminase-B 첨가가 돈육껍질결체조직 함유 돈육 패티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lucomannan, Carrageenan, Carboxymethyl cellulose, and Transglutaminase-B on the Quality Properties of Pork Patties Containing Pork Skin Connective Tissue)

  • 진상근;양한술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4권4호
    • /
    • pp.307-313
    • /
    • 2012
  • 본 연구는 glucomannan, carrageenan, carboxymethyl cellulose 및 transglutaminase-B의 0.5% 첨가가 돈육껍질 돈육껍질결체조직 함유 돈육 패티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육색의 경우, 대조구와 처리구들간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관능평가 또한 모든 처리구들간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05). 그러나 가열감량의 경우, 저장말기인 21일에 대조구에 비해 모든 처리구들에서 낮은 가열감량 값을 나타내며, 전단가 또한 저장 14일에 CMC 및 TGB 처리구들에서, 저장 21일차엔 GMN 및 TGB 처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낮은 전단가 값을 나타내었다(P<0.05). 지방산패도 결과, 저장 1일에 CAR 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지방산패도 값을 보였으나, GMN, CMC 및 TGB 처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경향은 저장말기인 21일에 GMN 및 TGB 처리구에서 낮은 지방산패도 값으로 나타났다(P<0.05). 또한 저장 21일의 모든 처리구에서 대조구보다 낮은 휘발성염기태질소 값을 나타내었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돈육껍질 함유 돈육 패티에 GMN, CAR, CMC 및 TGB의 첨가는 육색과 관능평가에 영향을 미치진 못하지만, 패티의 가열감량을 줄여 연한 조직감을 형성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GMN 및 TGB 첨가는 저장 중 패티의 지방산패도를 억제시키며, 저장말기 휘발성염기태질소 값을 떨어뜨려 저장성 향상에 기여 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