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dulation

검색결과 7,274건 처리시간 0.037초

디지털 SSB 모뎀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SB Modem)

  • 진형두;최조천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7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693-697
    • /
    • 2007
  • SSB 무선모뎀은 데이터의 디지털 전압레벨을 가청주파수로 변환하는 변조와 역으로 가청주파수를 데이터의 디지털 전압레벨로 변환하는 복조과정을 거치는데 변${\cdot}$복조기는 하나의 DSP 칩을 이용하여 구현하였다. SSB의 특성상 주파수가 변할 때 인접한 두 주기에서 왜곡이 발생하는데 이것은 음성통신방식에는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으나 데이터 전송할 때는 심각한 영향을 준다. 다시 말하면 인접해 있는 2주기는 데이터 전송을 할 수 없다. 그래서 2-tone FSK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1비트를 보내기 위해 최소 3주기 이상을 보내야 한다. 그러므로, 고속전송을 위해서는 1개의 tone 신호를 보내는 변형된 위상지연 방식을 사용하여 모뎀을 구현하였다. 1200bps를 전송모드에서는 1.3kHz 심볼주파수에 지연시간 0과 $187{\mu}s$을 발생시켰고 2400bps 모드에서는 1.5kHz 심볼주파수에 0, $70{\mu}s$, $130{\mu}s$, 및 $200{\mu}s$의 지연시간을 두어 구현하였다. 최고전송속도 3600bps 모드에서 는 2.0kHz 심볼주파수에 0, $100{\mu}s$, $160{\mu}s$$250{\mu}s$의 지연시간을 두어 구현하였다. 이상의 방법으로 SSB 모뎀을 구현하였으며 기존 독일의 PACTOR와 미국의 CLOVER계열의 스펙트럼과 비교했을때 SSB 통과대역폭은 거의 비슷하였고 대역폭내의 신호대잡음비를 비교한 결과 본 연구 구현한 모뎀의 파형이 20dB정도 높은 이득으로 전송되는 우수한 특성을 보였다. 실제 전송시험결과에서도 송수신 Platform에 데이터가 정확하게 수신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T-DMB/AT-DMB 서비스를 위한 부호화 모드 제한을 갖는 공간 확장성 부호기의 성능 비교 (A Performance Comparison of Spatial Scalable Encoders with the Constrained Coding Modes for T-DMB/AT-DMB Services)

  • 김진수;박종갑;김규석;최성진;서광덕;김재곤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501-515
    • /
    • 2008
  • 최근에 고품질 이동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가 증대되고, 계층 변조 전송 기법을 통하여 추가적인 전송 대역폭을 확보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스케일러블 비디오 부호화(Scalable Video Coding)를 이용하여 기존의 T-DMB(Terrestrial DMB)의 화질을 개선한 고품질 지상파 DMB(Advanced Terrestrial DMB)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T-DMB와 AT-DMB의 호환적인 서비스를 지원하는 SVC 계층 부호기는 매우 복잡한 구조를 갖게 되므로, 조기 서비스 도입을 위하여 부호기의 복잡도 감소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T-DMB와 호환성을 갖는 공간 확장성 SVC 부호기에서 매크로블록 계층의 부호화 모드 제한을 통한 고속 부호화 모드 결정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은 매크로블록 계층의 부호화 모드 결정 함수의 구조 분석을 통한 기저 계층과 향상 계층, 그리고 계층 간에 사용되는 부호화 모드의 통계적 특성에 기초한다. 모의실험을 통하여, 제안된 기법이 우수한 성능을 유지하면서, 수행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는 호환적인 부호기를 얻을 수 있음을 보인다.

Transduced PEP-1-AMPK inhibits the LPS-induced expression of COX-2 and iNOS in Raw264.7 cells

  • Shin, Min-Jea;Lee, Yeom-Pyo;Kim, Dae-Won;An, Jae-Jin;Jang, Sang-Ho;Cho, Sung-Min;Sheen, Seung-Hoon;Lee, Hae-Ran;Kweon, Hae-Yong;Kang, Seok-Woo;Lee, Kwang-Gill;Park, Jin-Seu;Eum, Won-Sik;Cho, Yong-Jun;Choi, Soo-Young
    • BMB Reports
    • /
    • 제43권1호
    • /
    • pp.40-45
    • /
    • 2010
  • AMP-activated protein kinase (AMPK) is a heterotrimeric enzyme that plays a central role in cellular metabolic stress. Modulation of nitric oxide (NO) and cyclooxygenase-2 (COX-2) is considered a promising approach for the treatment of inflammation and neuronal diseases. In this study, the AMPK gene was fused in-frame with PEP-1 peptide in a bacterial expression vector to produce a PEP-1-AMPK fusion protein. Expressed and purified PEP-1-AMPK fusion proteins were transduced efficiently into macrophage Raw 264.7 cells in a time- and dose-dependent manner. Furthermore, transduced PEP-1-AMPK fusion protein markedly inhibited LPS-induced iNOS and COX-2 expres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EP-1-AMPK fusion protein can be used for the protein therapy of COX-2 and NO-related disorders such as inflammation and neuronal diseases.

저융점 원소의 첨가에 따른 Ti65Fe35 과공정 합금의 미세구조와 기계적 특성의 변화 (Evolution on Microstructure and Mechanical Property of Ti65Fe35 Hypereutectic Alloys by Adding Low Melting Temperature Elements)

  • 황윤중;홍성환;김정태;김영석;박혜진;김희진;정연범;이영훈;김기범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27권10호
    • /
    • pp.557-562
    • /
    • 2017
  • The microstructural evolution and modulation of mechanical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for a $Ti_{65}Fe_{35}$ hypereutectic alloy by addition of $Bi_{53}In_{47}$ eutectic alloys. The microstructure of these alloys changed with the additional BiIn elements from a typical dendrite-eutectic composite to a bimodal eutectic structure with primary dendrite phases. In particular, the primary dendrite phase changed from a TiFe intermetallic compound into a ${\beta}$-Ti solid solution despite their higher Fe content. Compressive tests at room temperature demonstrated that the yield strength slightly decreased but the plasticity evidently increased with an increasing Bi-In content, which led to the formation of a bimodal eutectic structure (${\beta}$-Ti/TiFe + ${\beta}$-Ti/BiIn containing phase). Furthermore, the (Ti65Fe35)95(Bi53In47)5 alloy exhibited optimized mechanical properties with high strength (1319MPa) and reasonable plasticity (14.2 %).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transition of the eutectic structure, the type of primary phases and the supersaturation in the ${\beta}$-Ti phase are crucial factors for controlling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ultrafine dendrite-eutectic composites.

리튬이 주입된 전기변색 V$_2$O$_{5}$ 박막의 광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ptical Properties of Lithium Injection in V$_2$O$_{5}$ Electrochromic Thin Films)

  • 하승호;조봉희;김영호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5권7호
    • /
    • pp.802-807
    • /
    • 1995
  • 진공증착법으로 제작한 V$_2$O$_{5}$ 박막의 두께 및 결정성에 따른 전기변색 특성을 체계적으로 조사하였다. 증착된 박막은 노란색을 띄고 있었으며 14$0^{\circ}C$ 보다 높은 기판온도에서 증착된 V$_2$O$_{5}$ 박막은 결정질로 낮은 기판온도에서 증착된 박막들은 비정질로 밝혀졌다. 리튬 이온 주입에 따른 V$_2$O$_{5}$ 박막의 광 변조 특성 결과 V$_2$O$_{5}$ 박막의 두께와 결정성에 관계없이 300~500nm 파장영역에서는 산화발색이 500~1100nm 파장영역에서는 환원 발색이 나타났다. 비정질과 결정질 Li$_{x}$ V$_2$O$_{5}$ 박막의 optical band gap 에너지는 리튬 이온 주입양이 증가함에 따라 (x=0.0~0.6) 각각 0.75 [eV], 0.17 [eV]씩 높은 에너지쪽으로 이동하였다. 비정질 Li$_{x}$ V$_2$O$_{5}$ 박막의 coloration efficiency는 근적외선 영역에서는 리튬 이온 주입과 박막두께에 따라 거의 변화가 없었으나 blue와 near-UV 영역에서는 absorption edge가 500nm 파장근처에서 높은 에너지 부근으로 이동됨으로 인하여, 박막두께가 증가하고 리튬 이온주입양이 감소할수록 coloration efficiency가 상당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결정질 Li$_{x}$ V$_2$O$_{5}$ 박막의 경우 coloration efficiency는 전파장영역에서 리튬 이온 주입양과 박막두께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 PDF

분산 제어가 적용된 WDM 전송 링크에서 집중 RDPS를 통한 시스템 성능 개선 (Improvement of System Performance Through Concentrated RDPS in WDM Transmission Links with Dispersion Management)

  • 이성렬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971-980
    • /
    • 2013
  • 파장 분할 다중 전송을 위한 분산 제어 (DM; dispersion management)가 적용된 전송 링크에서 특정 중계 구간에만 RDPS(residual dispersion per span)가 집중된 구조를 통한 시스템 성능 개선 정도를 RDPS가 모든 중계 구간에서 균일한 구조에서의 시스템 성능과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80 km의 14개 단일 모드 광섬유 중계 구간 중 RDPS가 집중되는 중계 구간을 제외한 나머지 중계 구간의 RDPS가 0 ps/nm인 전송 링크에서 5번째~13번째 중계 구간의 RDPS가 300 ps/nm로 집중되고 6번째~13번째 중계 구간의 RDPS가 1,320 ps/nm로 집중되면 최상의 시스템 성능 개선이 이루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두 경우 모두 precompensation에 의해 결정되는 최적의 NRD(net residual dispersion)는 10 ps/nm이고, postcompensation에 의해 결정되는 최적의 NRD는 -10 ps/nm인 것을 확인하였고, 눈 열림 패널티(EOP; eye opening penalty)가 1 dB 이하가 되는 유효 입사 전력의 범위가 RDPS가 균일한 링크에 비해 집중 RDPS가 300 ps/nm인 경우 2 dB, 1,320 ps/nm인 경우 6 dB 정도 개선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5G를 위한 주파수 및 에너지 효율적인 공간 변조 비-직교 다중 접속 기법 (Spectral and Energy Efficient Spatially Modulated 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NOMA) For 5G)

  • 무하마드 이르판;김진우;신수용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40권8호
    • /
    • pp.1507-1514
    • /
    • 2015
  • 비-직교 다중접속 (NOMA: Non-Orthogonal Multiple Access)는 5G 네트워크를 위한 유망한 후보 기술이다. NOMA는 여러 사용자가 동일한 시간과 주파수 자원을 사용하기 때문에 기존의 직교 다중 접속 (OMA: Orthogonal Multiple Access) 기술보다 개선된 주파수 효율을 갖는다. Multiple-Input-multiple-output (MIMO)는 시스템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또 다른 유망한 기술이다. 본 논문에서 우리는 다중 안테나 기반의 NOMA기법의 주파수 및 에너지 효율을 다룬다. 제안된 기법에서 셀 외각 사용자는 공간 영역 (Spatial Domain)에서 다중화되고, 이것은 셀 외각 유저가 송신 안테나 인덱스를 이용하여 정보를 전송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NOMA에서 셀외각 사용자의 성능은 다른 사용자의 신호로 부터 많은 영향을 받는데, 이때 다른 사용자의 신호는 잡음으로 작용한다. 제안된 기법은 기존의 NOMA에 비해 향상된 주파수 효율을 가진다. 셀 외각 사용자를 공간 영역에서 다중화함으로써 NOMA 신호의 복호 단계를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제안된 기법은 기존의 NOMA 보다 뛰어난 에너지 효율을 갖는다. 주파수 및 에너지 효율, 복호 과정의 간소화는 기지국(Base Station)에서 다중 송신 안테나를 사용함으로 인해 얻게 된다.

위성 기반 측위 시스템에서의 부호 추적편이 완화 기법 (A Novel Scheme for Code Tracking Bias Mitigation in Band-Limited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s)

  • 유승수;김상훈;윤석호;송익호;김선용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2권10C호
    • /
    • pp.1032-1041
    • /
    • 2007
  • 위성 기반 측위 시스템은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 위치 기반 기술의 핵심 기술로서, 통신 물리계층으로 직접수열 확산대역 (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 DS/SS) 시스템을 사용한다. DS/SS 시스템의 성능은 송수신기에서 사용하는 확산 부호의 정확한 동기에 따라 크게 좌우된다. 본 논문은 DS/SS 시스템의 동기기법 가운데 부호 추적 기법에 초점을 맞춘다. 가장 널리 알려진 부호 추적 기법은 이른-늦은 판별기를 사용하는 EL-DLL이다 (delay lock loop with early minus late discriminator). 이상적인 환경에서 EL-DLL은 최적 부호 추정기이다. 그러나 대역 제한된 다중경로 환경에서 EL-DLL은 추적을 통해 정확한 동기시점을 결정한 후에도 여전히 추적편이가 남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대역 제한된 다중경로 환경에서 EL-DLL의 추적편이 특성 분석을 위해 상관 값이 나타나는 영역을 이른 상관시간 옵셋 영역과 (advanced offset range, AOR) 늦은 상관시간 옵셋 영역으로 (delayed offset range, DOR)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대역 제한된 다중경로 환경에서 EL-DLL의 추적편이는 정확한 동기시점을 기준으로 AOR과 DOR에서 상관 값의 대칭성이 왜곡되어 발생하는 제 1형 추적편이와 최고 상관 값이 나타나는 시점이 정확한 동기시점에서 벗어나서 발생하는 제 2형 추적편이로 구별할 수 있으며, 이 가운데 제 2형 추적편이가 추적편이의 대부분을 차지함을 보였다. 또한 AOR과 DOR에서 상관 값 추이 분석을 통해 AOR에서의 상관 값이 DOR에서의 상관 값에 비해 다중경로신호에 의해 덜 왜곡되는 특성을 보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대역 제한된 GNSS에 적합한 새로운 부호 추적편이 완화 기법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기법은 대역 제한된 다중경로 환경에서 EL-DLL에 비해 정확한 추적이 가능함을 보였다.

고지방식이 수컷 마우스 비만모델에서 micro-CT를 이용한 마황(麻黃)과 마우(魔芋)의 복부비만 조절효과 (Herba Ephedrae and Rhizoma Amorphophalli modulates visceral obesity in micro-CT of high fat induced obese male mice)

  • 원찬욱;정양삼;윤기현;이희영;윤미정;김보경;박선동;신순식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05-217
    • /
    • 2008
  • Objectives :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Herba Ephedrae and Rhizoma Amorphophalli on high fat diet induced obese male mice. Methods : 8 weeks old, high fat diet induced obese male mice were divided into 5 groups: C57BL/6 normal control, obese vehicle control, GGEx55 (Herba Ephedrae), GGEx61 (Rhizoma Amorphophalli), GGEx62 (Herba Ephedrae + Rhizoma Amorphophalli). After mice were treated with GGEx for 8 weeks, we measured body weight gain, food intake, feeding efficiency ratio, rectal temperature, fat weight, plasma leptin and lipid levels. We also took micro-computerized axial tomography (micro-CT) on the mice. Results : 1. GGEx55 and GGEx62 groups significantly decreased body weight gain and feeding efficiency ratio compared with vehicle control. But they significantly increased rectal temperature. 2. Plasma total cholesterol and LDL-cholesterol concentration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by GGEx55 groups, wherea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by GGEx62 groups compared with vehicle control. 3. GGEx55 and GGEx62 groups significantly decreased total, subcutaneous and visceral fat as well as fat areas in micro-CT analysis of abdomen compared with vehicle control. 4. Plasma GOT and GPT concentration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by GGEx55 groups compared with vehicle control. Conclusions :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GGEx55 and GGEx62 effectively reduces body weight gain, feeding efficiency ratio in high fat diet induced obese mice, leading to the modulation of obesity. In addition, GGEx55 and GGEx62 decreases visceral adipose tissue mass and improves plasma lipids, suggesting that GGEx55 and GGEx62 may act as a therapeutic agent for obesity.

  • PDF

좌골신경 만성협착손상 흰쥐에서 척수강 내로 투여된 Zaprinast의 항이질통 효과 (The Antiallodynic Effects of Intrathecal Zaprinast in Rats with Chronic Constriction Injury of the Sciatic Nerve)

  • 이재도;전인구;최윤식;임소현;박종연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22권1호
    • /
    • pp.16-20
    • /
    • 2009
  • Background: Zaprinast is an inhibitor of phosphodiesterase 5, 6 and 9. Phosphodiesterase inhibitors could produce anti-nociceptive effects by promoting the accumulation of cGMP. We hypothesized that intrathecal zaprinast could attenuate the allodynia induced by chronic constriction injury of the sciatic nerve in rat. Methods: Sprague-Dawley rats were prepared with four loose ligations of the left sciatic nerve just proximal to the trifurcation into the sural, peroneal and tibial nerve branches. Tactile allodynia was measured by applying von Frey filaments to the lesioned hindpaw. The thresholds for the withdrawal responses were assessed. Zaprinast ($3-100{\mu}g$) was administered intrathecally by the direct lumbar puncture method to obtain the dose-response curve and the 50% effective dose ($ED_{50}$). Measurements were taken before and 15, 30, 45, 60, 90, 120, and 180 min after the intrathecal doses of zaprinast. The side effects were also observed. Results: Intrathecal zaprinast resulted in a dose-dependent antiallodynic effect. The maximal effects occurred within 15-30 min and then they gradually decreased down to the baseline level over time in all the groups. There was a dose dependent increase in the magnitude and duration of the effect. The $ED_{50}$ value was $17.4{\mu}g$ (95% confidence intervals; $14.7-20.5{\mu}g$). No severe motor weakness or sedation was observed in any of the rats. Conclusions: Intrathecally administered zaprinast produced a dose-dependent antiallodynic effect in the chronic constriction injury neuropathic pain model.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pinal phosphodiesterase 5, 6 and 9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modulation of neuropathic pa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