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dular textbook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3초

모듈식 해양생산영어 교재 개발 연구 (Developing Vocational English Textbooks for Marine Developing High Schools)

  • 심지현;나현미;이유원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5권6호
    • /
    • pp.1273-1284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vocational English textbooks for vocational high school, especially marine production high school. Vocational English is intended to increase English proficiency in the area of specific industry or jobs. Based on the review of the literature, the study established developed vocational English textbooks for marine production high school based on the modular system. The developing process includes analysis for marine production job, marine production high school and current English textbook for marine production. Based on the analysis, this study developed English contents which marine production students utilize in not only school but also workplace. Also, this study suggests future research directions for effective development and use of the textbooks in the vocational high schools.

A Study on Effective Software Education Model by Disability Type for Youth

  • Lee, Hyun Ju;Lee, Won Joo;Jung, Hoe Kyu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10호
    • /
    • pp.261-268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장애 유형별 청소년 소프트웨어 교육을 위한 효과적인 소프트웨어 교육 모델을 제안한다. 이 소프트웨어 교육 모델은 4단계 과정으로 구성된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특수교육 교육과정에서 소프트웨어 교육 영역을 비교 분석한 결과를 기반으로 장애 유형별 청소년 소프트웨어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을 도출한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지적장애와 중복장애가 없는 시각, 청각, 지체 장애로 구분하여 장애 청소년의 효과적인 소프트웨어 교육을 위한 성취기준을 도출한다. 세 번째 단계에서는 도출한 성취기준에 따라 장애 유형별 장애 특성을 반영하여 코딩 로봇 알버트 기반의 언플러그드 컴퓨팅, 피지컬 컴퓨팅, 블록/텍스트 코딩으로 구성된 모듈식 교재를 개발한다. 네 번째 단계에서는 이 교재를 학교 현장에 적용하여 장애 청소년들이 일상생활에서 접하는 다양한 문제를 스스로 절차적이고 논리적으로 사고할 수 있도록 체험 중심의 소프트웨어 교육을 실시한다. 그리고 장애 청소년의 성취도 평가와 설문조사를 통한 결과를 분석하여 지적장애 82.3%, 시각장애 78.8%, 청각장애 90.9%, 지체장애 78.8%의 장애 청소년들이 '중' 수준 이상의 성취도를 달성하였음을 보인다. 이러한 결과는 본 논문에서 제안한 장애 청소년을 위한 소프트웨어 교육 모델이 장애 청소년의 컴퓨팅 사고력 향상에 매우 효과적임을 검증한 것이다.

고등학교 과학 및 생물교과서 과학용어 네트워크 분석 (Analysis of Scientific Item Networks from Science and Biology Textbooks)

  • 박별나;이윤경;구자을;홍영수;김학용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427-435
    • /
    • 2010
  • 교과서에 쓰인 과학 용어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네트워크의 구조, 관련 정보 및 연관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핵심용어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과학, 생물1 및 생물2 교과서 각 과목별로 출판사 세 곳을 선정하고 각각의 교과서에서 추출한 용어들을 노드로, 한 문장 안에 있는 과학 용어를 링크로 연결하여 네트워크를 구축하였다. 모든 교과서의 과학 용어 네트워크는 척도 없는(scale-free) 네트워크의 특성을 보여주었다. 복잡한 (complex) 네트워크에서 가중치가 낮은 것부터 제거하는 방법인 k-core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핵심 (core) 네트워크를 구축하였는데, 몇 개의 모듈이 연결되는 형태를 보여주었다. 과학교과서의 경우에는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 분야별로 크게 네 개의 모듈을 형성하였고, 생물1과 생물2 교과서는 각단원별로 용어들이 모여 있는 특성을 지닌 네트워크를 나타냈다. 본 연구에서 복잡한 네트워크에서 핵심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유용한 정보를 도출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An Analysis of Student Learning: Using a Standard-Based Earth Science Curriculum in the U.S.

  • Park, Do-Yong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620-634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EarthComm implementation in the U.S. high schools in terms of demographic background including school size, urban/rural area, and teachers' teaching experiences.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impact of students' higher-order thinking skills by using the visions of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Two modular of the EarthComm curriculum were used for this purpose with thirty one teachers and around thousand students involved across four states. Findings were that EarthComm did not significantly impact student achievement differentially in schools of varying sizes and school location, i.e., urban and rural areas. The years of teaching experiences did not impact student achievement scores for Module I but did significantly impact for Module II. It is noted that the two results seemingly conflict with each other similar to other research findings (Ferguson, 1998; Yager et al., 1988). Student higher-order thinking skills, on the other hand, were significantly improved as a result of studying with EarthComm. Implications were discussed at the end of the paper.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 II> 교과서에 나타난 수학사 활용 유형 분석 (An Analysis of the Patterns of Using History in Textbook Developed under the 2015-Revised Curriculum)

  • 김은숙;조완영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3권4호
    • /
    • pp.471-488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II> 교과서의 수학사 활용 실태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Jankvist(2009)의 수학사 활용에 대한 이유와 방법에 따른 수학사 활용 유형을 토대로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9종의 <수학II> 교과서에 나타난 수학사 활용 유형의 분포와 특징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수학교과서에 제시된 수학사 과제가 대부분 정의적 도구로 사용되었고, 인지적 도구나 목표에 해당하는 과제는 소수에 불과했다. 둘째, 정의적 도구로 분류된 수학사 과제 대부분이 수학사나 수학자의 일화를 소개하는 것이고 수학자가 겪었던 어려움 등을 통해 수학의 인간적 측면을 보여주는 수학자 과제는 1개이다. 셋째, 정의적 도구와 목표로 분류된 수학사 과제는 모두 설명 자료이고, 인지적 도구로 분류된 수학사 과제 10개 중 2개는 설명 자료, 8개는 모듈 자료이다. 수학교육에서 수학사 활용의 중요성과 가치를 고려할 때, 인지적 도구-모듈 자료, 목표-모듈 자료 형식의 수학사 과제를 개발하고 이를 교과서나 수학 수업에서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