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dular Construction Method

검색결과 161건 처리시간 0.188초

모듈러 공법을 적용한 군시설공사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odular construction method in military facilities)

  • 박재식;박태근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6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642-647
    • /
    • 2006
  • 최근 우리 군은 장병들의 삶의 질 향상과 군 구조 개편에 따른 이동성능 향상을 위해 모듈러 공법으로 노후시설 개선사업을 추진하고 있고 향후에도 본 공법에 대한 수요는 점차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2005년부터 본 공법을 적용하여 우리군에 시공한 시설들은 아직 초기단계로서 설계도서에 모듈러 건축특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일부 공사를 습식공법으로 시공하였으며 또한 현장제작 비율이 높아 공기가 지연되고 품질이 저하되는 사례가 발생하였으므로 단계별로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그동안 준공된 시설을 분석한 결과, 현장작업과 습식공법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설계하여야 하며 생산성향상을 위해 자동화 설비를 구축하여야 하고 단위모듈 이송 전 이동경로에 대해 주행시험을 실시하여 도로조건을 확인해야 하며 현장조립 시에는 모듈간 접합 및 연결방법을 개선하여 품질을 향상시켜야 할 것이다.

  • PDF

원전구조물 고강도철근 모듈화를 위한 용접방법 성능평가 (Performance Evaluation of Welding Method for Modular of High-Strength Reinforcing Bars to the Nuclear Power Plant Structures)

  • 임상준;이한우;김형섭;방창준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3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278-280
    • /
    • 2013
  • To minimize construction quantity of nuclear facility, it is required to reduce reinforcing bar amount and solve reinforcing bar concentration and for thi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pplication design technology and modular of high strength reinforcing bar. Hence, KHNP reduces excessive reinforcing bar amount which can cause possibility of poor construction of concrete through design standard development and modular of nuclear facility structure using high strength reinforcing bar to raise economics and has its purpose to maintain high-level safety and durability as they are.

  • PDF

모듈러 플랜트의 업무특성을 고려한 위험 평가 및 예비비 예측 (Risk Assessment and Contingency Prediction considering Work Characteristics for Modular Plant Construction Projects)

  • 강현욱;김종욱;김용수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9권5호
    • /
    • pp.81-89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플랜트 건설사업에서 모듈러 공법의 적용이 확대됨에 따라 모듈러 플랜트에 대한 업무특성을 고려하여 위험을 평가하고 위험에 대응하기 위한 예비비를 예측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모듈러 플랜트의 업무특성을 고려하여 위험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모델(방법)과 예비비를 예측하기 위한 모델(방법)을 제시한다. 그리고 제시된 모델을 기반으로 모듈러 플랜트 건설사업 1곳을 사례로 선정하여 위험요인의 영향을 평가하고 예비비를 예측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과 방법에 따라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위험요인의 발생확률과 영향점수를 평가하여 중요 위험요인 15개를 선정하였다. 그리고 모듈러 플랜트의 특성을 고려하기 위하여 설계(E), 구매(P), 제작(F), 운송(T), 시공(C)단계로 업무를 분류하여 예측된 예비비는 기초사업비(610,503,596 천원) 대비 약 6.739%이며, 설계(E) 2.850%, 구매(P) 6.225%, 제작(F) 6.211%, 운송(T) 4.165%, 시공(C) 8.168%로 도출되었다. 본 모델은 위험관리를 위한 의사결정 과정에서 정량적인 결과를 도출하는 방법으로 활용된다.

모듈러 건축의 현황과 활용에 관한 기초연구 - 사례조사 분석을 중심으로 - (A Basic Study on the Applica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ocused on the Analysis of Case Study -)

  • 김재영;이종국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5권4호
    • /
    • pp.39-46
    • /
    • 2014
  • This research was for the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the illustration of modular construction application which is different use by each school facility since modular construction related examples are rare in domestic situation, and it has a limitation because of its being basic research material for generating the basic form of modular construction.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ings. First, in case of school facility from illustration investigation results, module measurement of class modulation is as similar as $3m{\times}10m$, but in resident facility the planning of more flexible plane shape can be possible since modules of 6 cases are free and various, and facade form of various types can be appeared by combination of module unit. Second, as a result of the generated characteristics in compared analysis of representative examples, school facilities were highly indicated for movability and duration reduction areas, and the flexibility, economic efficiency, and environment-friendliness was indicated low relatively. Third, the basic planning types of modular construction can be largely divided into layered type, horizontal (straightway) type, and compound type. The layered type has a short traffic line and facility system and is appropriate for the low-rise form unless separate construction method is used since it is susceptible to load. The horizontal type is advantageous for securing an opening since it has wide extent in light but has a long traffic line and facility system. Finally, the compound type can be possible for planning of various forms but needs the combination of various unit modules and traffic line and facility plan for it can be difficult.

FRP 모듈형 박스 부재의 연결 시스템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Connection System of FRP Modular Box Member)

  • 곽계환;장화섭;양동운;김호선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1권4호
    • /
    • pp.29-36
    • /
    • 2009
  • This is a basic experimental study to apply FRP modular box member to a variety of construction structures exposed to flexural strength, such as a slab and a girder. Applying FRP modular box member to a real structure requires a large section. FRP box member was made into modular systems. Tests were conducted under various conditions in order to analyze jointing performance of the developed FRP modular box member as a large section. For the methods of jointing FRP modular box member, synthetic resins connection, mechanical connection, and a combination of both were used to test both length and breadth connection. As a result of the test, using urethane + two bolts + sheets was the most efficient method of connecting FRP modular box member. It is expected that the proposed joint system in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increase of failure load and synthesis behavior of FRP modular box member.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의 상하부에 C형강 보가 결합된 복합 패널의 개발 (Development of Hybrid Panel with C-shaped Steel Beam at Top and Bottom of Precast Concrete Wall)

  • 이상섭;박금성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9권6호
    • /
    • pp.435-442
    • /
    • 2017
  • 모듈러 건축물을 중고층화하기 위해 횡력저항시스템은 반드시 필요한 구조 요소로 10~20층 규모에서 콘크리트 코어는 가장 전형적인 횡력저항시스템으로 알려져 있다. 습식 공법인 콘크리트 코어 공사는 모듈의 오염과 파손 가능성으로 모듈 적층과의 동시 작업이 곤란하다. 이에 모듈 적층과 콘크리트 코어의 동시 시공이 가능한 복합 PC 패널 공법을 개발하였다. 복합 PC 패널은 일정 간격을 두고 웨브가 마주보는 한 쌍의 C형강을 콘크리트 벽체의 상부와 하부에 결합한 구조 부재로 볼트로 접합하여 적층하는 건식 공법으로 콘크리트 코어를 구축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복합 PC 패널이 콘크리트 벽체와 동등한 성능을 갖도록 해석을 통해 상세 개선 과정을 제시하였다.

Stability study on tenon-connected SHS and CFST columns in modular construction

  • Chen, Yisu;Hou, Chao;Peng, Jiahao
    • Steel and Composite Structures
    • /
    • 제30권2호
    • /
    • pp.185-199
    • /
    • 2019
  • Modular construction is an emerging technology to accommodate the increasing restrictions in terms of construction period, energy efficiency and environmental impacts, since each structural module is prefabricated offsite beforehand and assembled onsite using industrialized techniques. However, some innate structural drawbacks of this innovative method are also distinct, such as connection tying inaccessibility, column instability and system robustness.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theoretical and numerical stability analysis of a tenon-connected square hollow section (SHS) steel column to address the tying and stability issue in modular construction. Due to the excellent performance of composite structures in fire resistance and buckling prevention, concrete-filled steel tube (CFST) columns are also taken into account in the analysis to evaluate the feasibility of adopting composite sections in modular buildings. Characteristic equations with three variables, i.e., the length ratio, the bending stiffness ratio and the rotational stiffness ratio, are generated from the fourth-order governing differential equations. The rotational stiffness ratio is recognized a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with interval analysis conducted for its mechanical significance and domain. Numerical analysis using ABAQUS is conducted for validation of characteristic equations. Recommendations and instructions in predicting the buckling performance of both SHS and CFST columns are then proposed.

BIM 기반 1인 가구 모듈러 공동주택 유닛 개발 (Development of Modular Apartment Unit for Single Person Household Based on BIM)

  • 이시현;유무영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809-820
    • /
    • 2023
  • 현대 사회에서는 1인 가구가 증가하고 주거 공간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적절한 대안 모색이 중요하다. 빠른 시간 내에 경제적이고 지속 가능한 주거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 모듈러 건축이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기술을 활용한 모듈러 건축 유닛 설계 및 시공 과정 최적화 방법을 제안한다. 1인 가구의 주거 요구사항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요인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BIM을 활용하여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모듈러 공동주택 유닛을 개발하였다. BIM은 건축 요소의 시각화 및 상호 연결을 제공하여 설계 과정의 오류를 최소화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모듈러 건축의 장점과 한계를 평가하였다. BIM을 활용한 모듈러 건축물은 주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적인 대안으로 제시될 수 있으며 주거 공간의 품질과 다양성을 높일 수 있다. 다만 기술적 요구사항 및 비용 등의 한계도 고려되어야 한다. BIM 기반 1인 가구 공동주택 유닛 설계의 가능성과 장점을 제시하고 1인 가구 개선을 위한 실질적인 해결책으로 활용될 수 있다.

루프이음을 가진 모듈식 슬래브 연결부의 휨성능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Flexural Performance of Modular Slab Connections with Loop Joints)

  • 김동완;신정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459-467
    • /
    • 2016
  • 최근, 도로를 따라 지하 5~7m의 저심도에 설치되는 저심도 도시철도시스템의 경제성을 확보하기 위해, 신개념의 모듈식 개착 시공법을 개발 중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상부 슬래브간의 연결부에 대한 구조성능 검증을 위해 루프이음을 가진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부재들의 4점 재하 실험을 수행하였다. 전체 11개의 실험체가 제작되었으며 단면형상, 이음부 형상, 이음길이, 횡방향 보강철근을 변수로 이음이 없는 전단면 및 반단면 실험체와 비교하였다. 실험결과, 루프이음 실험체는 항복하중과 최대하중시 변위량 차이가 컸으며 이는 항복이후 접합부에서 발생한 균열이 확장됨에 따라 강성저하로 변위량이 급격히 증가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200mm의 루프이음을 가진 반단면 실험체의 경우, 이음이 없는 기준 실험체에 상당하는 휨성능을 확보하며 200mm 초과시 휨성능 향상의 정체기를 보였다.

유닛모듈러 건축물의 설계 초기 단계에서의 고려 사항 (Considerations in the early stage of Designing the Unit Modular Building)

  • 이영호;이두헌;김균태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3권6호
    • /
    • pp.133-142
    • /
    • 2012
  • 최근 저탄소 녹색성장 등 건설 환경의 변화에 따라 친환경적이고 시공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유닛모듈러 공법 등과 같은 새로운 건축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유닛모듈러 공법은 전체 공정의 80%이상을 공장에서 제작하고 현장에서는 유닛모듈 조립과 마감작업 위주로 작업이 진행되므로 설계 및 공장 제작 등 현장시공 이전 단계의 품질이 건축물 전체의 품질을 좌우하는 특성을 가진다. 국내 유닛모듈러 공법은 2003년 학교 건축물의 적용을 시작으로 점차 확대되고 있지만, 적용 사례와 관련 자료의 부족, 모듈러 생산업체의 영세성 등으로 유닛모듈러 공법의 특성을 충분히 반영한 설계, 공장제작 및 현장시공은 아직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국내 유닛모듈러 건축물의 설계품질 향상의 일환으로 공장제작 및 현장시공 단계에서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그 원인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유닛모듈러 건축물의 설계 초기 단계에서 고려해야 할 주요 검토 항목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