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dular Construction Method

검색결과 161건 처리시간 0.021초

국내 공동주택 모듈러 적용 활성화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Activation of Domestic Co-Housing Module Application)

  • 김충희;심운준;안용선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3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41-142
    • /
    • 2013
  • The modular construction method have improved quality, reduction of defects, such as the reduction of air, a number of advantages. It is utilized composite, larger, in skyscraper building already abroad. The domestic, var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echnical matters taller, automation of production, such as process control, but is still inadequate circumstances. Therefore, in this study, is the purpose that you have presented activation measure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case of co-housing with a modular construction system of outside, and to make the co-housing of modular construction system of domestic.

  • PDF

3D Infill을 활용한 PC모듈러 시공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PC modular Construction System using 3D Infill)

  • 정준수;임석호;허병욱;채지용;박진호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0년도 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4-15
    • /
    • 2020
  • The need for off-site construction has increased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in Korea in recent years due to the enforcement of the 52-hour workweek, the increasing age of workers on construction sites, the deepening dependence on overseas workers, and the stagnation of productivity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Thus, studies on OSC started in April 2020. In addition, as a national policy study advocating the modular construction method, which is one of the OSC methods, was completed in the first half of 2019. 70 housing units in two complexes that satisfied the Housing Act requirements have been supplied to citizens. However, although modular construction methods have been recognized as a dramatic construction method that achieves shortened construction schedules and solves the issues of cost reduction and the shortage of technical workers on sites by combining the advantages of the manufacturing industry and applying the economies of scale, realistically it has issues due to the rising cost of steel and a low pre-fabrication ratio. Moreover, the construction time of core parts, such as those built by pouring concrete, has become a factor that hinders the shortening of construction times. Thus,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precast concrete(PC) modular construction system, which fuses three-dimensional infill as an interior finish material and a three-surface PC module that can acts as a structure for a construction method that is economical and can shorten construction time.

  • PDF

건물 유형별 사례분석을 통한 모듈러 공법 수요창출 방안 수립 (A Study on the Strategy for Creating Demand of Modular Construction through Case Analysis by Building Type)

  • 김동수;김경래;차희성;신동우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4권5호
    • /
    • pp.164-174
    • /
    • 2013
  • 우리나라의 모듈러 공법은 컨테이너하우스나 경량스틸 하우스로만 인식되고 있어, 수요창출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 실제로 모듈러빌딩 활성화에 가장 큰 장애요인은 안정된 수요에 근거한 지속적인 공장 생산이 거의 어렵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모듈러 공법의 대표적인 미국과 영국의 모듈러 기업의 사례 조사를 통하여, 건물 유형별로 모듈러 공법의 성공요인을 우선적으로 도출하였다. 10개의 건물유형과 9개의 성공요인으로 정리하여 조사한 결과, 주거시설은 공기단축, 설계성능, 경제성 순으로 중요도가 높았으며, 교육시설의 경우에는 공기단축, 친환경성, 경제성, 융통성 순으로 나타났다. 병원시설은 공기단축, 융통성, 경제성, 친환경성이 주요 성공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성공요인들이 확보될 경우 우리나라에서도 모듈러 공법의 성공 가능성은 충분히 있다고 생각된다. 주거시설의 겨우 표준화된 모듈 설계안의 반복적인 활용을 통하여, 성공요인을 확보할 수 있으며, 교육시설의 경우, 단모듈-장모듈의 타입화된 모듈의 설계안을, 병원시설의 경우 증축기술의 개발을 통한 성공요인이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모듈러공법의 수요창출 방안을 적용할 수 있는 잠재적인 시장의 규모는 주거시설의 경우, 연간 약 12,000호 규모의 시장이 형성 가능하며 기숙사의 경우, 2012년 1,515억 원 정도의 시장규모를 볼 때, 모듈러 공법의 시장 확보가 충분히 가능하다. 교육시설의 경우, 주거시설보다 평면의 반복정도가 더 높기 때문에 충분한 시장형성이 가능하다. 병원시설의 증축시장은 2012년 1,045억 원 정도의 규모로 모듈러 공법이 적용된 사례가 전무하지만 앞으로의 진출 가능성은 충분하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건물 유형별 수요창출 방안은 발주자가 공법을 선정할 때, 건물 유형에 맞는 전략을 수립하는 데에 조언으로서 활용할 수 있으며, 잠재적 시장을 파악한 결과 충분한 시장 규모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모듈러 설계 및 제조업체는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안을 사업전략으로 활용함으로써 전략적으로 건물 유형에 맞는 사업 방향을 설정하여 지속적인 수요창출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모듈러주택 적용을 위한 PC코어 시스템 제안 (Proposal of PC Core System for Modular Housing)

  • 김민준
    • 토지주택연구
    • /
    • 제14권1호
    • /
    • pp.115-122
    • /
    • 2023
  • 최근 Covid-19 및 건설현장 인력 고령화 등으로 인하여 공동주택 생산성은 악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탈현장(Off-Site Construction) 기반의 공장생산 방식으로의 공동주택 건설 방향 전환이 필요하다. 모듈러 공법은 공기단축이 가능하여 스마트 건축시스템으로 각광받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모듈러 공법의 공기단축을 극대화 할 수 있는 PC코어 시스템을 개발하고, 구조성능을 해석적 연구를 통하여 검증하였다. 제안된 PC코어 시스템은 완전 PC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접합방식은 건식 접합이다. 연구 결과, 제안된 PC코어 시스템은 모듈러 주택에 사용가능한 구조성능을 확보한 것으로 나타났다.

모듈러건축 공법의 공장제작과정 개선을 위한 M.E.P.시스템 외주제작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Outsourcing Application of M.E.P. System for Manufacturing Process Improvement of the Modular Construction Method)

  • 최준석;이재수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77-283
    • /
    • 2018
  • 공기를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모듈러건축으로 유사 모듈이 반복되는 공동주택을 건설하는 안에 대해 현행의 시공방법을 고찰한 결과 설비시스템에서 개선할 점을 발견하고, 그 방법으로 공장제작과 현장설치부분을 구분해서 살펴보고 현재 모듈러생산사 실무진의 의견과 종합건설사 기술담당자의 의견으로 그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했으며 그 과정에서 제기된 문제에 대해 원천적인 관점에서 쉽게 풀어나갈 수 있는 방법으로 유리한 설계안을 제안하였고, 접속부위의 누수하자와 같은 고질적 문제점에 대한 대안을 기재하였다.

모듈러 공법을 적용한 건강생활지원센터 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 기존 사례의 공간 근접도 분석을 통한 공간 유닛화와 모듈화 - (Space Planning of the Health Life Support Center using the Modular Construction Method - Space Unitification and Modularization through Spatial Proximity Analysis of Case Projects -)

  • 장활제;권나현;안용한;안치원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5권11호
    • /
    • pp.43-52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use of modular construction method in order to promote the dissemination of the Health Life Support Center of the government, and to suggest the modular unitification and modularization plan for the necessary space data in the initial stage. By analyzing the floor plans of the 50 case projects currently in operation, the 28 required spaces and their spatial proximities are determined. Base on spatial proximities, each space is unitificated into a modular unit and modularized into a modular modules were integrated to modular proposals. As a result of this study, 13 unitificated modular unit floor planes and 3 modularized module floor planes including the staircase unit were proposed. However, future study have needed to study how to apply them to different actual sites and how to reduce cost.

유전자 알고리즘 기반 다중 모듈러 건축 프로젝트 수행 시 모듈러 유닛 공장생산계획수립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Manufacturing Planning for Multi Modular Construction Project based on Genetic-Algorithm)

  • 김민정;박문서;이현수;이정훈;이광표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6권5호
    • /
    • pp.54-64
    • /
    • 2015
  • 모듈러 건축공법은 공장 생산, 운송, 현장설치 프로세스를 통해 기존 현장중심 건축공법에 비해 품질향상 및 공기단축이 가능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특히 모듈러 유닛의 제작과 시공이 분리되어 수행되기 때문에 다수의 프로젝트가 동시에 수행될 경우 각 프로젝트에 따라 생산해야하는 모듈의 크기, 수량, 납기일, 생산 유형 및 과정을 고려하는 SCM(Supply Chain Management) 관점의 공장 생산 공정 계획 수립이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 모듈러 유닛 공장 생산 계획은 개별 프로젝트 중심으로 수립되고 있어 다중 모듈러 건축 프로젝트 수행 시 모듈러 유닛 제작공장의 한정된 자원과 설치 현장별 프로젝트 요구조건들을 동시에 고려한 공장 생산계획을 도출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변수 간 상호 연계성 및 제약조건으로 공정 계획 최적화 결과 도출이 가능한 유전자 알고리즘 방법을 통해 모듈러 유닛 제작공장의 한정된 자원과 설치 현장별 요구사항이 반영된 모듈러 유닛 공장 생산 공정계획 최적화 수립 모델을 제시하며 이를 사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기존 다중프로젝트의 공장생산계획에 비해 평균 7.9%의 현장설치 공기단축 및 43%의 최대 야적장 이용률 감소가 가능하였다. 향후 본 연구 내용을 바탕으로 제약 조건 범위 확장 및 생산성 데이터 추가가 될 경우 다중 모듈러 건축 프로젝트의 모듈러 유닛 공장 생산 계획 수립과 현장시공프로세스 구축을 동시에 지원할 수 있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Behaviour of Multi-Storey Prefabricated Modular Buildings under seismic loads

  • Gunawardena, Tharaka;Ngo, Tuan;Mendis, Priyan
    • Earthquakes and Structures
    • /
    • 제11권6호
    • /
    • pp.1061-1076
    • /
    • 2016
  • Prefabricated Modular Buildings are increasingly becoming popular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as a method to achieve financially economical buildings in a very short construction time. This increasing demand for modular construction has expanded into multi-storey applications where the effect of lateral loads such as seismic loads becomes critical. However, there is a lack of detailed scientific research that has explored the behaviour of modular buildings and their connection systems against seismic loads. This paper will therefore present the nonlinear time history analysis of a multi-storey modular building against several ground motion records. The critical elements that need special attention in designing a modular building in similar seismic conditions is discussed with a deeper explanation of the behaviour of the overall system.

거더형식 프리캐스트 모듈러교량 연속화 지점부에 적용되는 연결슬래브의 휨성능 및 피로성능 평가 (Flexural & Fatigue Evaluation of Link Slab for Continuous Girder-Type Precast Modular Bridges)

  • 주봉철;송재준;이상윤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5권5호
    • /
    • pp.517-528
    • /
    • 2013
  • 모듈러 기술은 자동차, 플랜트, 조선산업 분야에서 이미 오래전부터 적용해 오던 기술로, 최근 교량 분야에도 적용되고 있다. 모듈러교량은 부재별 세부설계 과정이 생략되고, 모듈별로 표준화 된다는 점에서 기존의 조립식교량과는 차별화 된다. 거더형식 프리캐스트 모듈러교량은 단순지지 교량 형식으로 개발되었으며, 다경간 교량에 적용할 경우 단순지지 교량 형식의 모듈러교량을 연속화하는 방법으로 적용할 수 있다. 거더형식 프리캐스트 모듈러교량의 연속화는 시공이 간편하고 급속시공에 적합한 연결슬래브를 적용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연결슬래브는 1950년부터 미국에서 RC 형식으로 사용되기 시작하였으며, 2000년대에는 ECC를 적용한 연결슬래브(ECC 연결슬래브)가 개발된 바 있다. 이 연구에서는 ECC에 비해 재연성이 좋고 경제적인 RC를 적용한 연결슬래브를 다경간 거더형식 프리캐스트 모듈러교량에 적용하였으며, 기존의 RC 형식 연결슬래브를 보완한 형태의 연결슬래브와 수정된 연결슬래브의 설계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연결슬래브 설계방법의 검증을 위하여 연결슬래브 바닥판 실험체를 제작하고 연결슬래브의 휨성능 및 균열 사용성 검증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이후 실제 교량시스템을 모사한 실험체를 이용하여 200만회 피로성능 검증실험을 수행하였다.

Value Clustering Method를 이용한 Modular BOM의 생성과 데이터베이스의 효율적인 구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Generation of Modular BOM and Efficient Database Construction using Value Clustering Method)

  • 지용구;김종한;신기태;박진우
    • 대한산업공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311-322
    • /
    • 1998
  • Modular BOMs are typically used in TWO-Level Master Production Schedule. To solve the problems of Modular BOM generation and efficient DB construction, we proposed Value Clustering Method. Based upon Where-Used matrix of products and components, VCM is the method to find out module by generating product family group value, product value, and component value. We also proposed method to find out information about Modules, algorithms to find out Modules that show Alternative Usage Pattern, and method to find out Modules used in a given product. We also compared the DB creation method by Value Clustering Method and by conventional method. We compared the size of DB in both methods. We mathematically proved that the proposed method is doing better as the size and complexity of product family gets larger and more complicat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