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dern cultural heritage

검색결과 309건 처리시간 0.029초

Active Learning Environment for the Heritage of Korean Modern Architecture: a Blended-Space Approach

  • Jang, Sun-Young;Kim, Sung-Ah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2권4호
    • /
    • pp.8-16
    • /
    • 2016
  • This research proposes the composition logic of an Active Learning Environment (ALE), to enable discovery by learning through experience, whilst increasing knowledge about modern architectural heritage. Linking information to the historical heritage us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helps to overcome the limits of previous learning methods, by providing rich learning resources on site. Existing field trips of cultural heritages are created to impart limited experience content from web resources, or receive content at a specific place through humanitie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Therefore, on the basis of the blended space theory, an augmented space experience method for overcoming these shortages was composed. An ALE space framework is proposed to enable discovery through learning in an expanded space. The operation of ALE space is needed to create full coordination, such as a Content Management System (CMS). It involves a relation network to provide knowledge to the rule engine of the CMS. The application is represented with the Deoksugung Palace Seokjojeon hall example, by describing a user experience scenario.

Developing Experiential Exhibitions Based on Conservation Science Content of Bronze Mirror

  • Jo, Young Hoon;Kim, Jikio;Yun, Yong Hyun;Cho, Nam Chul;Lee, Chan Hee
    • 보존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362-369
    • /
    • 2021
  • In museums, exhibition content focuses mostly on cultural heritage's historical values and functions, but doing so tends to limit visitors' interest and immersion. To counter this limitation, the study developed an experiential media art exhibition fusing bronze mirrors' traditional production technology and modern conservation science. First, for the exhibition system, scientific cultural heritage contents were projected on the three-dimensional (3D) printed bronze mirror through interactions between motion recognition digital information display (DID) and the projector. Then, a scenario of 17 missions in four stages (production process, corrosion mechanism, scientific analysis and diagnosis, and conservation treatment and restoration) was prepared according to the temporal spectrum. Additionally, various media art effects and interaction technologies were developed, so visitors could understand and become immersed in bronze mirrors' scientific content. A user test was evaluated through the living lab, reflecting generally high levels of satisfaction (90.2 points). Qualitative evaluation was generally positive, with comments such as "easy to understand and useful as the esoteric science exhibition was combined with media art" (16.7%), "wonderful and interesting" (11.7%), and "firsthand experience was good" (9.2%). By combining an esoteric science exhibition centered on principles and theories with visual media art and by developing an immersive directing method to provide high-level exhibition technology, the exhibition induced visitors' active participation. This exhibition's content can become an important platform for expanding universal museum exhibitions on archaeology, history, and art into conservation science.

The Modern White Horse Temple and Online Reconfiguring of a Buddhist Heritage Space

  • Kai, SHMUSHKO
    • 대순사상과 동아시아종교
    • /
    • 제3권1호
    • /
    • pp.109-128
    • /
    • 2023
  • Recent research shows that since the early 2000s, the Chinese Communist Party has increasingly used various cultural heritage sites, including Buddhist sites, as soft power agents. Furthermore, in the context of the Belt and Road Initiative, launched by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Buddhist temples, representatives, and practices have been harnessed to play a role in the state's agenda. In this context, White Horse Temple, as a feature of cultural tourism in Henan Province, is facing new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The article examines the material particularities of reconstructing the temple in light of this trajectory, building on materials retrieved at the site, and online representations of the temple. The author explores how the temple's unique spatiality and characteristics stress the use of soft power which harnesses online and offline cultural and popular trends for state agenda.

韓·中경계지역 문화유산을 이용한 박물관 전시구축의 교육적 활용 (Approaches to Education Programs and Exhibition Contents of the Museum Using Cultural Heritage in Korea and China Border Areas)

  • 오일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184-192
    • /
    • 2011
  • 문화유산은 민족의 삶과 지역성을 함축하고 있는 역사적 상징이다. 한중경계의 압록강과 두만강 지역에는 다양한 민족의 문화유산이 분포하고 있다. 이에 한중간의 경계에 분포하고 있는 문화유산에 대한 연구는 우리 민족의 정체성과 역사적 문화의식을 확립하고 이를 교육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 매우 중요하고 시급한 연구과제이다. 그러나 중국이 고구려의 문화유산을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하고 동북공정을 본격적으로 추진하면서 고구려와 발해 뿐 아니라 조선시대와 근현대의 역사문제와 문화유산을 둘러싸고 우리나라와 갈등을 야기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한중경계지역의 문화유산에 대하여 문헌학적인 연구보다는 박물관에서 시각적인 자료활용과 교육학습의 연계를 위하여 문화사적 인문경관의 전시콘텐츠 구축과 이를 활용한 교육적 학습방안을 찾아 보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하여 근대국가에 대한 영토인식 뿐 아니라 세계문화유산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으며 동북공정에 대한 실질적인 이해를 학습할 수 있다. 그리고 웹이나 앱의 구축을 통한 역사 문화 관광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박물관의 전시자료를 활용한 학습프로그램에 따라 동북지역에 대한 한중간의 문화적 특징을 이해할 수 있다.

문화유산 해석 연구의 통시적 발전과 유산 해석(interpretation)의 개념 (Diachronic Research History and the Concept of Heritage Interpretation)

  • 이나연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3권3호
    • /
    • pp.42-61
    • /
    • 2020
  • 문화유산 해석 연구는 20세기 중반부터 꾸준히 진행되어 왔지만, 그 개념이 매우 모호하며, 다양한 의미로 혼용되어 왔다. 이코모스(ICOMOS)에서 2008년에 채택한 '에나메헌장(The ICOMOS Charter for the Interpretation and Presentation of Cultural Heritage Sites)'에서 해석에 대한 정의가 제시되었지만, 매우 광범위하여 명확한 정의를 내리기 어렵다. 또한 유산 해석은 '현상'에 바탕을 둔 용어이기 때문에 개념 정의가 더욱 어렵다. 지금까지 선행된 유산 해석 연구에서도 주로 유산 해석이 사회적으로 어떠한 역할을 지니는가에 대한 논의가 주를 이뤄왔다. 하지만 문화유산의 사회·철학적 연구가 점차 중요해짐에 따라 문화유산 해석의 개념은 명확하게 제시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문화유산 해석 연구의 발전 과정을 살펴보면서 문화유산 해석의 사회적 역할을 두 가지로 나누어 구분하고, 이를 바탕으로 문화유산 해석의 개념을 도출해 보았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문화유산 해석의 두 가지 사회적 역할을 살펴보면 근대적 유산 해석과 포용적 유산 해석으로 나눌 수 있다. 문화유산의 근대적 해석은 전통적으로 소수 전문가에 의해 창출된 문화유산의 가치를 대중에게 전달하는 교육적·커뮤니케이션적 역할로 정의할 수 있다. 둘째, 문화유산의 포용적 해석은 문화유산을 둘러싼 다수 이해관계자 간의 서로 다른 유산 해석에 대한 인정과 유산 해석 불일치로 인해 발생한 갈등의 해소 방법을 모색하는 대안적 역할을 갖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두 유산 해석의 역할이 분명 다른 사회적 배경과 접근으로 발전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두 역할의 발생 배경이 불분명하게 중첩되고, 복잡한 사회 현상을 바탕으로 관점의 변화가 일어났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문화유산 해석의 개념은 '해석'이라는 용어로 단순화하기에는 매우 복잡하다. 본 연구에서는 유산 해석을 문화유산에 가치를 부여하는 과정 속 모든 활동을 의미한다고 보았다. 두 유산 해석의 관점은 집단 정체성을 구축하기 위해 의미 부여가 이루어지는 유산의 본질적 특성을 인정하고 있다는 점에서 '해석'의 개념에 부합한다. 하지만 거대 담론을 통해 패권국이나 집권층의 권력을 유지하려는 근대적 해석을 부정하고 새로운 유산 해석의 시각을 제시한 포용적 해석은 '재해석'으로 개념화하는 것이 적합하다.

종이의 보존을 위한 이산화황 가스(SO2)의 영향 평가 (Evaluation of the Effects of Sulfur Dioxide(SO2) on Conservation of Paper)

  • 임보아;김명남;이선명
    • 펄프종이기술
    • /
    • 제44권6호
    • /
    • pp.15-20
    • /
    • 2012
  • The effects of sulfur dioxide on paper were investigated since these sulfur compounds could cause damages on cellulose and organic materials in papers. For the reason, exposure ageing tests were performed on traditional Korean paper (Hanji) and two different types of modern paper (acid-free and acid paper) to determine the damage with regard to the optical as well as physicochemical properties according to the varying $SO_2$ concentration. As a result, optical properties were not changed while physical and chemical peoperties were remarkably changed with the exposure period. In the case of pH, $SO_2$ had little impact on the pH of the Hanji and acid-free paper while the pH of acid paper was remarkably decreased. The decrease of the folding endurance of the Hanji was relatively smaller than those of the acid-free and acid paper. The results prove Hanji was more resistant to $SO_2$ than the modern paper in terms of optical,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In addition, it was also suggested that $SO_2$ concentration should be kept below 0.01 ppm for the preservation of paper objects.

대구근대역사관 소장 인력거 재질분석 연구 (Study on Material Characteristic of Daegu Modern History Museum Collection Rickshaw)

  • 이의천;이영주;김수철
    • 보존과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33-143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대구근대역사관 소장 인력거의 재질별 분석을 통해 다양한 재질이 복합적으로 사용되는 근·현대문화재의 재료를 확인하고, 보존 및 관리의 기초 자료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금속, 목재, 섬유, 도료를 대상으로 P-XRF, 수종분석, 섬유동정, 도막층 분석(층상 구조, SEM-EDS, FTIR)을 실시한 결과, 금속은 구리(Cu), 아연(Zn), 황동(Brass)과 철(Fe)로 확인되었다. 목재는 상수리나무류, 삼나무, 대나무아과, 비자나무속이 식별되었으며, 이 중 삼나무는 일본 자생종으로 인력거 제작 당시 일본에서 목재를 수입하여 제작하고, 근대 일본 인력거의 제작 양식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섬유는 면(Cotton)을 주로 사용하였으며, 일부는 가죽(Leather)도 확인되었다, 도막층은 캐슈(Cashew)를 사용하여 1회 이상 도포한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특히 인력거 몸체부는 섬유층, 토회층, 도료층, 채색층이 중복되어 관찰되고, 성분이 다른 적색 안료(산화철 및 진사)층이 관찰된 점을 보아, 과거 일부 보수 및 보존처리가 진행된 것으로 판단된다.

일원오악도 안료에 대한 과학적 분석 (A scientific analysis of pigments for the Ilweoloakdo)

  • 한민수;홍종욱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26호
    • /
    • pp.165-188
    • /
    • 2005
  • From the ancient to these days, there have been used many kinds of pigment which have two types that are inorganic pigment and organic pigment. At the ancient times, natural pigment had been used but the artificially mixed pigment has been used in modern times. By the way, searching for studies has been studied recently, it would be said the ancient pigments such as Danchung, Wall painting and Mural painting are the mainthema. However, studies about the pigments used in modern pictured relics have rarely can be found. Therefore, this analysis of Ilweolokdo would be important at the point of the pigments used in pictures of royal family in modern times and the results can be briefly summarized as below; Firstly, the results of qualitative analysis of the pigments that base or all pigments of picture was detected components of Ca, Fe and As, this results meaning that picture was used filler and basic paint. Secondly, a result of the analysis on the composition elements of the pigments shows that the main components in their composition are ;White - Lead Cyanamide($2PbCO_3$.$Pb(OH)_2$) or Titanium Oxide($TiO_2$)Blue - Ultramarine($2(Na_2O$.$Al_2O_3$ .$2Si_O2$).$Na_2S_2$)Green - Emerald green($C_2H_3A_s3Cu_2O_8$)Gold - Gold(Au), Red-Red Lead($Pb_3O_4$) or Cinnabar(HgS)Black - Carbon(C)Thirdly, X-ray diffraction analysis of crystalline structure for the blue and green pigment peeling off in picture shows that the components of blue pigment is Ultramarine($2(Na_2O$.$Al_2O_3$ .$2Si_O2$).$Na_2S_2$) and green pigment is Emerald green($C_2H_3A_s3Cu_2O_8$). Especially, microcrystalline structure of the green pigment was the shape like a cross section of wood. Consequently, we knew through the analysis of qualitative and microcrystallinestructures seen on the cross section of analyzed pigments layer that the all pigments used in the Ilweoloakdo is possible to use synthetic pigments in modern.

  • PDF

종묘 지당(池塘)의 변천(變遷)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ge of Pond in the Jongmyo Shrine)

  • 오준영;김영모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9권4호
    • /
    • pp.64-79
    • /
    • 2016
  • 본 연구는 종묘(宗廟)의 지당(池塘)을 대상으로 조선시대부터 근현대기까지 진행된 변천과정의 규명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종묘 지당에 관한 최초의 기록은 "세종실록"에서 확인된다. 세종 25년(1443)에 조성 중이던 지당은 지금의 상지(上池)를 가리키며, "국조오례의" "종묘전도"에 따르면 중도(中島)가 없는 형태의 방지(方池)였다. 숙종대의 중지(中池)에는 쌍도(雙島)가 조성되어 있었고, 중도(中島) 내에는 단풍나무, 박달나무 등을 비롯한 여러 수목이 식재되어 있었다. 또한 중지 내에는 무성한 연꽃도 자라고 있었다. 특히 쌍도 형식이었던 중지의 중도는 이후 단도(單島) 형식으로 변화하였는데, 영조(英祖) 연간에 이루어진 지당의 확장공사와 관련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근현대기에 이르러 이원적(二元的) 배치의 하지(下池)가 조성되면서 종묘의 지당은 본격적인 변형국면에 접어들었다. 근대기의 항공사진에 의하면 하지는 적어도 1947년 이전에 조성되었는데, 1980년대 중반에 이르러 이원적 배치의 하지 가운데 우측 하지가 매립되면서 일원화된 형태의 하지가 나타나게 되었다. 한편 "종묘배치도"와 국가기록원 소장 사진첩에 의하면 상지와 중지의 호안(護岸)은 본래 토축(土築)으로 조성되었지만 이후의 어느 시점에 석축(石築)으로 개축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