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dern cultural heritage

검색결과 309건 처리시간 0.028초

국내외 연구문헌 조사를 통한 근·현대 동산문화재 보존 연구 동향 분석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n the Domestic and Foreign Research Trends of Movable Modern and Contemporary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 염인경;유재은;이혜연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8권1호
    • /
    • pp.44-61
    • /
    • 2015
  • 근 현대 동산문화재의 보존 기술 및 방안에 대한 연구가 20세기 말부터 국내외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외 근 현대 동산문화재 연구 동향을 체계적 연구문헌 조사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근 현대의 시대적 범위를 설정하고 체계적 문헌 연구 방법으로 다양한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연구논문을 수집하였다. 이 연구의 표본 집단은 국내 연구논문 45편과 국외 연구논문 505편으로 재질에 따라 총 7가지, 즉 지류, 금속류, 섬유 직물류, 사진 시청각류, 목재류, 플라스틱류, 도자기 유리류로 분류하였다. 분류한 재질별로 연구 대상, 세부 재질, 연구 주제를 개별적으로 조사하고 통계적으로 수치화하여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국내에서는 지류와 금속 문화재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이 진행되고 있으나 향후 연구 대상 및 주제의 다양화와 본격적인 분석 및 처리기술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국외에서는 지류, 섬유 직물류, 사진 시청각류 등 유기물 문화재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었으며 보존처리 및 분석뿐 아니라 보존 윤리 분야까지 다양한 주제가 연구되고 있다. 이 연구는 국내의 본격적인 근 현대 동산문화재 보존연구의 방향 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근·현대문화재 인력거 재질분석 연구 (Study on Material Characteristic of Modern Cultural Heritage Rickshaw)

  • 김수철;최재완;이지은
    • 보존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33-42
    • /
    • 2016
  • 근 현대문화재는 다양한 재질의 재료가 공존하는 특성을 갖고 있다. 문화재를 보존하고 관리함에 있어 근 현대문화재에 대한 재질분석이 미비한 실정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소장 인력거를 대상으로 각 재질별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금속, 목재, 도료, 섬유 및 가죽에 대해서 P-XRF, 수종분석, 도막층분석, FT-IR, 현미경 관찰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금속은 대부분 구리(Cu), 아연(Zn) 합금이 확인되었고 부분적으로 철(Fe)과 니켈(Ni)이 측정되었다. 특히 니켈(Ni) 합금은 근대시기에 와서 사용된 금속으로 인력거에 사용된 금속이 근 현대에 제작된 것으로 유추할 수 있었다. 목재는 참나무속, 대나무류, 편백나무류가 식별되었다. 편백나무류는 일본 자생종으로 목부재의 일부분이 일본에서 제작되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도막층은 인력거 외부에 5회 이상 도료가 칠해진 것으로 확인되었고 내부에서는 3회 정도 도료가 칠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내부에서 더 간단한 도색작업이 이루어졌을 것으로 판단된다. 섬유 및 가죽 분석결과 면(Cotton)과 양모(Wool)가 사용되었고 가죽은 우피(牛皮)를 이용한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근 현대문화재 재질에 대한 기초 자료 및 진정성 있는 보존 연구에 활용될 것이라 기대한다.

The Application of Chinese Traditional Tiger Pattern in Men's Fashion Design

  • Ji Fa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1권1호
    • /
    • pp.253-262
    • /
    • 2023
  • Chinese traditional patterns, which are part of our national precious heritage, have a long history. Tiger culture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folk art. In modern society, it is a symbol of human spirit and morality. The tiger pattern is also a unique traditional pattern in Chinese folklore. From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to modern society, the tiger pattern has evolved in form through thousands of years of development. It is also a representativ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contemporary times. It plays a special role in the cultural exchange of different regions, resulting in the generation of the creation of folk art with great local characteristics. Therefore, traditional tiger patterns are an important part of traditional Chinese folk culture and art. In this study, by analyzing the development and evolution history of Chinese traditional tiger patterns, the application methods of Chinese traditional tiger patterns were summarized, the rich cultural connotation, artistic characteristics and application of traditional tiger pattern in modern fashion design were discussed. In contemporary design, the new and improved tiger pattern styles were explore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was interpreted and inherited, and the cultural and artistic values contained therein were extracted. The author combined with modern fashion design, according to people's aesthetic taste and design principles, it is recreated,so that the traditional pattern has certain characteristics of The Times.But at the same time it retains its original character,and the traditional tiger pattern was inherited and the cultural connotation of clothing design was enriched.

대구근대역사관 소장 인력거 보존처리 (Conservation Treatment of the Rickshaw in the Daegu Modern History Museum Collection)

  • 서연주;이의천;박정혜;이영주;김수철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29권
    • /
    • pp.33-46
    • /
    • 2023
  • 근·현대문화재란 우리나라의 근·현대기(개항기 무렵~현대)에 생산된 유형의 역사·문화적 자산을 총칭하는 개념으로 정의되고 있다. 그 중 인력거는 개항기 이후 약 40년간 우리나라 주요 교통수단으로 사용된 만큼 우리나라 근대 생활상을 보여주는 유물이다. 인력거 보존처리는 '몸체부', '덮개부', '바퀴부'로 나누어 진행하였으며, 상태조사 및 금속, 목재, 섬유, 도료에 대한 재질 분석값을 참고해 보존처리 과정을 수립하였다. 보존처리는 건식·습식세척, 접합, 안정화처리, 결손부 보강 및 복원 과정으로 진행하였고, 보존처리 결과, 육안적으로 관찰되지 않던 금속 문양 및 발판의 문양(꽃, 당초무늬 모양 등)을 노출 및 대상 유물의 안정성을 부여하였으며, 또한, 안전한 전시를 위해 전시용 지지대를 제작하였다.

대한민국 근대농업유산의 개념 정의와 보전을 위한 논점 분석 (An Analysis on Conservation Issues and Definition of Modern Agricultural Heritage in Korea)

  • 정기욱;강동진
    • 농촌계획
    • /
    • 제23권1호
    • /
    • pp.113-133
    • /
    • 2017
  • The modern agriculture has been damaged through the rapid changes due to the policy of the plundering of foo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the Korean War, the industrialization, etc.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fine the scope and the concepts of the modern agricultural heritages and to establish utilization standards of the modern agricultural heritages. With such a purpose, this research proceeds with three phases. First, the definitions the systems of the organizations the modern age and the modern agricultural heritages. Second, the analyses of the patterns and the special characteristics through the general investigation. Third, the regeneration through the comparative examinations of the case examples of the conflicts between the modern agricultural heritages. And the new attempts through the drawing of the new discussion points and the advanced tendencies are proposed. It is judged that this research will provide the point of the aim when looking at the modern agricultural heritages as the historical and cultural assets, and that it will provide the several principles when formulating the plans for the invigoration of the farm villages and the plans for the developments of the agricultural regions and provide the bases for the practical formulations.

근대건축 중명전(重明殿)의 실내공간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f interior Utilization Plan of Modern Architecture Jongmyongjeon)

  • 한지연;오인욱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40-144
    • /
    • 2006
  • Modern architecture after enlightenment period of Korea has been defamed indifferently before preparing devices for preservation. Many modern architecture has been underestimated by the feeling of being cultural victimized for Japan and economic logic. Other advanced countries make laws for their historic heritage with a concept for past-present-future. Also they re-create their cultural heritage to help their local economic. As the Registration System is established at july 2001, we have to find organic, positive interior space utilization methods about modern architecture. Modern architecture is private property in real using but it has historic trace. Therefore, modern architecture can be affirmative social property because it is a base of historic, cultural circumstances for local ident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methods of interior space for modern architecture.

  • PDF

미국 문화유산 기록화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eritage Documentation Programs of the United States)

  • 최선영;이승휘
    • 기록학연구
    • /
    • 제49호
    • /
    • pp.77-119
    • /
    • 2016
  • 근대건축물은 현재까지 우리의 역사와 함께 해 온 문화유산이다. 이런 문화유산을 보존하기 위한 수단으로 기록화를 들 수 있다. 기록은 보존의 마지막 수단이 되기 때문이다. 근대건축물 기록화로 생산된 사진, 실측도면, 보고서 등은 일반 대중에게 근대건축물의 정보를 제공하고, 연구자들에게 연구 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다. 이 뿐만 아니라 화재나 다른 재난에 대비해서 문화재 수리, 복원 자료 등으로 활용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미국 국립공원관리청의 문화유산 기록화 프로그램 중 역사적 건축물 조사를 분석하였다. 이 분석을 토대로 문화재청에서 시행하고 있는 근대건축물 기록화에 대한 세 가지 측면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첫 번째, 문화재청의 근대건축물 기록화 사업은 법적인 의무로 시행되고 있지 않아 모든 근대건축물이 기록화의 대상이 되고 있지 않다. 근대건축물 기록화가 법적인 의무로 시행될 수 있도록 법 제도의 구체적인 규정이 필요하다. 두 번째, 기록화가 한번으로 끝나는 것이 아닌 근대건축물의 외 내부 변경사항에 대한 지속적인 기록화가 시행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컬렉션 구축을 통해 일반 대중들을 위한 정보제공 서비스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근대 문화유산의 평가 기준과 상대적 중요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Value Criteria and Relative Importance for Conservation of Modern Cultural Heritage)

  • 박재민;성종상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12-20
    • /
    • 2013
  • 본 연구는 지역주민, 향토사학자들이 찾아낸 근대 문화유산을 1차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기준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최근 근대 문화유산을 보전하기 위해 정부 차원에서 등록문화재 제도를 도입하고 있으나, 정부와 전문가의 손길이 닿지 않는 곳곳에 숨겨진 지역 문화유산의 발굴을 위해서는 지역에 기반한 현황조사가 필요하다. 하지만 현재의 기준은 서술적으로 기술되어 있어 다소 모호하고, 일부 가치만을 반영하고 있어 적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반면, 80년대 이후 서구 유럽에서도 유사한 논의가 전개되었으며, 평가기준에 있어 초기 건축적, 미학적 가치만이 아닌 사회문화적, 학술적 가치와 최근에는 경제적 가치를 중요한 평가가치로 제시하며 발전해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양에서 시계열적으로 확장되어온 문화유산의 선정가치를 참조하여, 보전 가치와 관련한 역사적, 미학적, 사회 문화적, 학술적 가치, 활용 가치와 관련한 교육적, 경제적 가치로 구분하여 재구성하여 제안하였다. 다만 선정된 가치를 동일한 수준으로 평가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음에 따라, 쌍대비교(paired comparison)를 이용하여 상대적 중요도와 값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전통적으로 중요한 가치로 인식되었던 역사적 가치는 여전히 가장 주요한 선정 기준이었음을 확인하였다. 반면, 과거 중요한 가치였던 미학적 가치는 새롭게 등장한 사회 문화적 가치 비해 낮게 평가되었다. 개별 시설의 아름다움보다는 근대문화유산의 사회, 환경적 관계를 보다 중요시함을 알 수 있었다. 활용가치의 경우, 보전 가치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현재 건축적 가치와 미학적 가치 중심으로 평가되어 사라지고 있는 근대 문화유산에 대해 다각화된 가치를 선정 기준으로 반영함으로써, 지역민 스스로도 지역 내 근대 문화유산을 비교적 쉽게 평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문화재(文化財) 지정(指定) 근대기(近代期) 한옥(韓屋)의 전시용도(展示用途) 변경사례(變更事例) 연구(硏究) -"이화장"과 "최순우 옛집"을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the Exhibition Reuse of Korean Traditional Houses designated as Modern Cultural Heritage -Focused on Rhiwhachang.Choi Sunu House-)

  • 김해리;이민경;김태영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56-161
    • /
    • 2008
  • The registered-properties guideline was adopted to preserve the facade of existing cultural assets with effect and alter the interior space freely. But many problems have been occurred over all the converted buildings with the passing of the years as a result of unfeasible design guidelines. Accordingly, the thesis is to propose the problem and assignment in a setting for a display through the conversion for exhibition of Korean traditional houses designated as modern cultural heritage focused on Riwhachang Choi Sunu House.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exhibition circulation is continuously connected with each room, considering the previous life-style. The interior design elements are preserved according to the stand-up and sitting style. It is possible to put on one sided wall display in stand up style(Rhiwhachang), and island showcase display in sitting style(Choi Sunu House). And also these apparatus is suitable for the existing window pattern and frame. Therefore, this study is to suggest an assignment of design guideline for exhibition reuse in Korean Traditional Houses as well as the sustainable preservation of cultural assets as modern hous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