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Heritage Documentation Programs of the United States

미국 문화유산 기록화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 최선영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
  • 이승휘 (명지대학교 기록과학정보전문대학원)
  • Received : 2016.06.20
  • Accepted : 2016.07.22
  • Published : 2016.07.30

Abstract

A modern architectural building is a cultural heritage, which is also part of our history until the present. Documentation is thus considered an irreplaceable method to preserve our cultural heritage as it may be the last resort of preservation. The study analyzed the Historic American Buildings Survey (HABS) on the Heritage Documentation Programs of the National Park Service.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omparison and documentation of the modern architectural building implemented by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the study suggested improvement plans from three different perspectives. First, specifically detailed regulations of the legal system are supposed to be used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documentation of modern architectural buildings. Second, it is suggested that a general plan for continuous documentation be made. Last, by setting up a collection method, an information service needs to be provided for the public.

근대건축물은 현재까지 우리의 역사와 함께 해 온 문화유산이다. 이런 문화유산을 보존하기 위한 수단으로 기록화를 들 수 있다. 기록은 보존의 마지막 수단이 되기 때문이다. 근대건축물 기록화로 생산된 사진, 실측도면, 보고서 등은 일반 대중에게 근대건축물의 정보를 제공하고, 연구자들에게 연구 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다. 이 뿐만 아니라 화재나 다른 재난에 대비해서 문화재 수리, 복원 자료 등으로 활용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미국 국립공원관리청의 문화유산 기록화 프로그램 중 역사적 건축물 조사를 분석하였다. 이 분석을 토대로 문화재청에서 시행하고 있는 근대건축물 기록화에 대한 세 가지 측면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첫 번째, 문화재청의 근대건축물 기록화 사업은 법적인 의무로 시행되고 있지 않아 모든 근대건축물이 기록화의 대상이 되고 있지 않다. 근대건축물 기록화가 법적인 의무로 시행될 수 있도록 법 제도의 구체적인 규정이 필요하다. 두 번째, 기록화가 한번으로 끝나는 것이 아닌 근대건축물의 외 내부 변경사항에 대한 지속적인 기록화가 시행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컬렉션 구축을 통해 일반 대중들을 위한 정보제공 서비스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동식, 김태영. 2002. 근대건축문화재의 보전 및 관리현황.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계획계, 18(12), 127-134.
  2. 김수진. 2013. 한국 근대건축문화재의 박물관 활용과 대안 모색.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문화유산학협동과정.
  3. 김종수. 2009. 군산 개항의 역사적 의의. 서울: 선인.
  4. 문예은. 2010. 근대문화유산을 둘러싼 담론의 변화 : 군산시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전북대학교 대학원, 고고문화인류학과.
  5. 문화재청. 2004. 근대문화유산 기록화 지침서. 대전: 문화재청.
  6. 문화재청. 2005. 근대문화유산보존을 위한 등록문화재 제도. 대전: 문화재청.
  7. 문화재청. 2007. 문화재 기록화사업 종합개선 보고서. 대전: 문화재청.
  8. 문화재청. 2007. 2007년 문화재 기록화 사업 종합개선 보고서. 대전: 문화재청.
  9. 문화재청. 2009. 구 조선은행 군산지점 기록화조사보고서. 대전: 문화재청 문화유산국 근대문화재과.
  10. 양은정. 2012. 군산시 원도심 보존계획의 변천에 관한 연구 : 1960-2010년대의 도심부 계획안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공학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건축학과.
  11. 이세욱. 2015. 미국의 협력 아카이브즈(Affiliated archives)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기록관리전공.
  12. 임진희. 2013. 전자기록관리론. 서울: 선인.
  13. 연합뉴스. 2008. 국회 토론회서 서울시청사 철거 논란. 검색일자: 2015. 11. 18.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02411659
  14. 세계일보. 2015. 헐리고 불타고...홀대받는 근대문화유산. 검색일자: 2015.12.14. http://www.segye.com/content/html/2015/07/27/20150727003471.html?OutUrl=nav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