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dern Painters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19초

근대 초 네덜란드의 인쇄술과 미술의 융합: 루벤스와 보르흐트의 사례 (The Convergence of Fine Art and Printing Technology in the Early Modern Netherlands)

  • 정원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5호
    • /
    • pp.391-397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과거 서양에서 이루어졌던 예술과 기술, 과학의 융합 사례를 소개 하고 그 성공 요인을 점검하는데 있다. 연구에서는 16세기 네덜란드 안트베르펜에서 출판업을 수행했던 플랑탱 출판사가 화가들과의 협력 사례를 중심으로 분석한다. 플랑탱 출판사는 루벤스, 보르흐트 등의 화가들과 협력해 사업을 수행했고 결국 큰 성공을 거두었다. 이 협력 작업을 통해 화가들은 자신의 재능을 펼칠 새로운 매체를 발견하거나 아니면 그 재능의 가치를 높게 평가해주는 일자리를 확보할 수 있었다. 한편 출판업자는 혁신적인 기법을 도입하면서 경쟁사보다 수월하게 출판 시장을 점유해 나갈 수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작업은 위대한 식물학 저술들의 출판이라는 결과도 낳았다. 17세기에 네덜란드가 식물학 연구의 중심지가 된 데는 정교한 삽화를 그려낸 화가와 그 지식을 효율적으로 구현해 낸 출판업자들의 숨은 노력이 있었다.

데 스틸(De Stijl) 사조의 건축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De Stijl Style)

  • 김흥섭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4권6호
    • /
    • pp.29-36
    • /
    • 2005
  • The original members of the De Stijl group, formed in neutral Holland during the First World War, included the painters Piet Mondrian, Bart van Leck and Theo van Doesburg, and the architects J.J.P. Oud and Jan Wils. The aim of the group was to create a language of form and color applicable to every sphere of modern life. The means of expression selected by the De Stijl artists was rigorously restricted, using only vertical and horizontal lines with the right-angle created where they cross, and for color, black, white and the primaries- red, yellow and blue. Of these simple elements consisted the compositions painted by Mondrian and van Doesburg during the years around the end of the First World War, and the famous red-blue chair made by Gerrit Rietvelt in 1917. They did share a common influence, Cubism, and they both emphasized contemporaneity. Otherwise they were quite different movements, both in theory and practice, except lot one further point of similarity.

조선 중기 이후의 설계와 시공도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rawings on the Design and Construction after the Middle of the Choson Dynasty)

  • 전영옥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16-28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rrange the terminology of the drawings in Chosun Dynasty, an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drawings after the middle of Chos n Dynasty. This study is based on the and analysis of historic documents and drawings including drawings from China and Japan. In order to accomplish this, the drawings for the process of design were studied first, and the techniques of drawing were studied next in comparison with Japanese drawing techniques. Lastly, the technicians of drawing were studi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ough the procedures of design Choson dynasty were not divided into planning, designing,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just like those of modern society, a variety of drawings in that time were used in each level. 2) The drawings in Choson Dynasty ere divided into Tohyong and Tosol, and mostly, those for design and construction were Tohy ng. 3) Based on the interpretation of Japanese drawings, several suggestions were presented to solve the questions of the drawing techniques for design and construction. 4) The technicians of drawing were the painters who were trained in a government organization in charge of royal paintings. In the future, research of this area should be continued in to deepen study on drawings as historical materials. This research provides meaningful of guidance in the analysis of historic drawing paintings.

  • PDF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pressive Language of Contemporary Chinese Realistic Watercolour Painting

  • Xia Qua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1권1호
    • /
    • pp.241-252
    • /
    • 2023
  • Watercolour painting was introduced to China over a hundred years ago, and in the last two decades, it has developed rapidly, presenting a situation of diversified development. While Western-style watercolour painting has been adopted by Chinese painters, they have also expanded on it with their own aesthetic awareness and cognitive styles. As a result, Chinese watercolour painting has developed a set of expressive techniques that highlight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nation in terms of aesthetics, concepts and techniques, resulting in a painting style with a distinctive national personality at present. Although Chinese watercolour painting has taken on a variety of styles with the intervention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realistic watercolour painting is still the mainstream. However, there are obvious differences between the "realism" of Chinese watercolour painting and the "realism" of Western watercolour painting in terms of expression. The most distinctive feature is the "imagery" language of expression, which is closely linked to the cultural heritage of Chinese tradition and is of great value for research. I interpret the aesthetics, composition, colour and brushwork of Chinese realistic watercolour painting from the perspective of traditional Chinese aesthetics in order to deepen the understanding of Chinese realistic watercolour painting and to provide a reference for the further development of the art of Chinese realistic watercolour painting.

'만남이론' 관점으로 본 이타미 준의 실내공간 표현특성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Itami Jun's Interior Space Seen from the Viewpoint of 'Theory of Meeting')

  • 김석;김석영;김문덕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6권3호
    • /
    • pp.34-44
    • /
    • 2017
  • Korean-Japanese architect Itami Jun that proceeded with primeval architecture based on analogue ideas in the digital era realizing nomad architecture is delivering a totally different meaning in the modern time. Not like the Japanese architectural community equipped with rich technologies showed state-of-the-art architecture after 1980s, Itami Jun' formative consciousness intending to assimilate nature from the original position of things is thought to have started from the relationship with Korean-Japanese painters leading MONO-HA desiring to look at the world as it is and approach the source of exist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from the viewpoint of 'Theory of Meeting' which is the essence of the work theory of Lee UFan that made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MONO-HA to understand Itami Jun's architectural space in the ideological aspect. Although the characteristics of marginal men appearing in Itami Jun's architectural space as others located on the boundary between Korea and Japan, art and architecture, and functions are valuable research objects, they have not been studied in the aspect of source, so it is needed to research his works and the source of the spatial ideas that led his works. Based on Theory of Meeting claiming that the world becomes the place of experience by the medium of objet which is the structure of meeting, and that human beings can meet the truly opened world by self-awareness through body,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Itami Jun's interior space was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turned out that Itami Jun's interior space actively expressed Theory of Meeting on the unity of structure and space, and on the trans-boundary by the medium of objet. Conclusively, this study suggests that, in the reality of the modern interior design full of technology-intensive designs, analogue approach moving in the opposite way from technologies could be a better expressive method of design delivering the fundamental human emotions.

인상주의 회화에 나타난 근대도시의 기호와 여성패션 (Women's Fashion and Signs of the Modern City Expressed on Paintings by the Impressionists)

  • 박혜원
    • 패션비즈니스
    • /
    • 제22권4호
    • /
    • pp.76-92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meaning of women's fashion in the city culture of Paris in the nineteenth century by examining paintings by the Impressionists. The research method was based on literature survey and visual examination paintings, 224 paintings(by ${\acute{E}}douard$ Manet, James Tissot, Edgar DeGas, Gustave Cailleboat, Jean $B{\acute{e}}raud$, Pierre-Auguste Renoir) were analyzed in this study. The results are as follows: In the nineteenth century, Paris was a new city with new department stores. Department stores were centers of consumer culture, where the power of capital appeared rather than class. The spatial backgrounds of Impressionist paintings were places where they could see the consumption and leisure culture of urban people, such as outdoor parks, cafes, theaters, ballrooms, bars, streets, and the boats. As for the characteristics of women's fashion in paintings, it was found that various changes of artificial silhouettes were developed. Various frills, ruffles, gatherings, and pleats were thought to have been made by machines. In the urban space, many of the women's costumes stood out because of the black color. Not only the black color came to represent widows and mourning but the black outfits worn by women enhanced their sensual appearances. Women's fashion expressed in Impressionist paintings eventually contained a modern meaning that changed from 'class symbol' to 'expression of taste'. And the symbol of consumer and leisure culture showed, and a Demimonde's fashion became a trendsetter, and painters were used as an important element expressing modernity.

라캉의 정신분석학 개념으로 살펴 본 한국의 현대 벽화 (A Study on Contemporary Murals of Korea; in Lacan′s Psychoanalytic View)

  • 조현신
    • 디자인학연구
    • /
    • 제15권2호
    • /
    • pp.187-196
    • /
    • 2002
  • 한국의 현대 벽화는 한국의 시각적 수위를 드러내는 하나의 지표이다. 본 논문의 첫째 장에서는 한국의 현대 벽화제작 시스템을 분석한 후, 둘째 장에서는 조선시대의 풍속화나 시각상징물을 재현한 벽화를 라캉의 정신분석학적 개념을 빌어 설명했다. 라캉의 연구 중 주종을 이루는 상상계와 상징계의 개념으로 한국적인 소재 재현의 심리적, 정신적 배경을 분석하는 방법을 취했다. 한국의 벽화가 보여주는 시각 현실은 과거조선 시대 공동체와의 상상적 동일시를 피하는 것이라는 논지로 전개되었으며, 이는 서구 중심의 상징계에서 생활하는 주체의 분열상, 허구적 의식을 암시하는 동시에 주체의 시지각에 혼란을 초래하는 요인이 되어 또 다시 상상계적 재현을 되풀이하는 것으로 결론지었다. 결론에서는 이러한 시각 혼란 현상을 극복하고 실재 생활을 표현하는 시각 양식의 개발을 위해서 한국인의 아비투스를 연구해서 그에 맞는 대안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후속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최초의 영상기구, 카메라 옵스쿠라의 문화사적 의미 (The Cultural Meanings of the first optical insturment, Camera obscura, in the pre-modern Age)

  • 이상면
    • 영상문화
    • /
    • 제16권
    • /
    • pp.131-161
    • /
    • 2010
  • 본 논문은 그동안 국내에서 연구가 미흡했던 최초의 영상기구 카메라 옵스쿠라(Camera obscura)를 영상이론의 관점에서 연구하고, 근대문화에서 그것의 의미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르네상스 이후 카메라 옵스쿠라의 역사·문화·과학적 발전과정을 추적하고, 화가들의 미술작업과 연관되며 사용된 사례를 검토한다. 카메라 옵스쿠라의 원리는 중세이후 천문학자들의 개기일식 관찰과정에서 알려지기 시작했으며, 르네상스 이후 다 빈치와 델라 포르타의 영상 실험, 아타나지우스 키르허, 요하네스 차안 등과 같은 과학자들에 의해 이론적으로 발전되었다. 17세기 후반에는 '휴대용 카메라 옵스쿠라'가 제시되고 실용화되기 시작했으며, 화가들이 스케치와 드로잉할 때 사용하기 시작했다. 카메라 옵스쿠라는 인간 스스로 세계상(世界像)을 관찰하려는 점에서 탈중세적이고 시각중심주의적인 근대 과학정신을 반영하는 매체이며, 자연세계의 모습을 인공적 이미지로 보여주는 점에서 최초의 영상기구이다. 국내에 카메라 옵스쿠라는 조선 후기 정조(正祖) 때 북경(北京)을 갔다온 연행사(燕行使)들에 의해 유입되었으며, 정약용을 비롯한 서구 학문에 개방적인 실학자들에 의해 적극 수용되었고, 당시 초상화의 대가 이명기는 카메라 옵스쿠라를 이용해서 공신상(功臣像)을 그리기도 했다.

근대 유럽 풍경화와 과학(영상)기구의 연관성 - 카날레토·샌드비·탈보트의 미술작업에서 카메라 옵스쿠라와 카메라 루시다의 사용에 대해 (The Relationship of European Landscape Painting and the Scientific (Visual) Instruments in the Pre-modern Period: On the Using of Camera obscura and Camera lucida in the Artistic Works by Canaletto·Sandby·Talbot)

  • 이상면
    • 영상문화
    • /
    • 제23권
    • /
    • pp.329-368
    • /
    • 2013
  • 본 논문은 근대 풍경화와 과학(영상)도구와의 연관성을 탐구하고자 한다. 18세기 유럽의 풍경화가들이 자연경관과 인공적 설치물(건물 등)을 그리는 작업에서 근대 과학의 도움으로 만들어진 영상기구들인 카메라 옵스쿠라와 카메라 루시다 등을 사용했던 사실에 근거하여, 이 논문에서는 당시에 유명한 풍경화가들이자 증거자료들이 비교적 분명히 남아있는 이탈리아의 안토니오 카날레토(Antonio Canaletto/Canal 1697-1768)와 영국의 토마스 샌드비(Thomas Sandby 1721-98), 과학자 윌리엄 H F 탈보트(Willian Henry Fox Talbot 1800-77)의 경우를 중심으로 과학적 영상도구를 사용한 이유와 작업과정에 대해 알아보고, 그 사용에서 장단점들과 더불어 미학적인 문제들을 분석하고자 한다. 당대의 풍경화가들이 카메라 옵스쿠라/루시다 같은 기구를 이용했을 때의 장점들은 빠른 스케치 작업으로 인한 시간 절감, 자연/현실의 충실한 묘사, '정확한' 원근법적 구도의 구현에 있다. 그러나 이 기구들이 사용된 스케치들은 부분적으로 부정확하거나 단순화된 묘사가 보이기도 한다. 또 과학적 영상기구를 사용해서 예술작업이 기계의 메카니즘에 종속 문제가 있는데, 이 기구들은 스케치/드로잉에 사용되었고, 화가의 본격적인 그림작업, 즉 자연 해석과 채색·질감·명암 배합 같은 조형적 과정이 남아있으므로, 이들은 '회화작업에 도움을 주는 보조도구'일 뿐이었고, 화가의 창조적인 작업과정에 전혀 지장이 되지 않는다.

전라도지역 사찰단청(寺刹丹靑)의 비교 연구 해남 미황사(美黃寺) 대웅전(大雄殿) 단청을 중심으로 (Comparative Study on the Dancheong(丹靑) of Buddhist Temples in Jeolla Region focused on the Dancheong of the main building of Mihwangsa Buddhist Temple at Haenam(海南))

  • 이수예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2권4호
    • /
    • pp.152-171
    • /
    • 2009
  • 해남 미황사 대웅전 단청은 18세기에 조성되어 근래까지 이어오는 전라도지역의 단청 양식을 이끈 대표작으로서 우수성과 독창성이 뛰어난 작품이다. 건물 외부에는 안료의 박락과 퇴색이 심하게 진행되어 단청의 흔적만 확인될 뿐이나 내부에는 일반 단청문양 외에 다른 사찰에서는 그 실례가 드문 천불도(千佛圖)가 함께 조성되어 있으며, 독립적인 회화작품으로 손색이 없을 만큼 기량이 뛰어난 나한도를 포함하고 있다. 방법적인 측면에서도 종이에 그려 붙인 첩부식(貼付式)으로 여타 단청에서는 볼 수 없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현재 남아있는 내부 단청은 "달마산미황사대법당중수상량문"의 기록과 충량에 남아있는 '무등산인 단확야(無等山人丹?也)', '건륭십구(乾隆十九)'라는 묵서명, 단청문양과 천불도에서 엿보이는 양식적 특징 등을 통해 1754년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재단청의 흔적을 찾아볼 수 없는 점 또한 미황사 대웅전 단청의 조성연대가 1754년이라는 절대연대를 뒷받침하는 근거가 된다. 이 같은 절대연대는 단청문양의 편년 설정의 기준이 될 것이며 시대별 특징과 변화를 유추하는데 있어서도 도움이 될 것이다. 단청은 시대별, 지역별로 일정한 양식적 특징이 있다. 전라도지역 단청 또한 일정한 양식을 형성하고 있는데 머리초를 먹당기 없이 2중 내지 3중의 녹색대로 마무리하는 경향, 휘골의 커다란 항아리 장식 등은 전라도 단청양식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금단청이든 모로단청이든 간에 모든 부재의 뱃바닥을 색긋기로 처리하는 점도 18세기부터 20세기까지 이어져온 전라도 단청 양식 중 하나로 볼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전라도지역에 위치한 천은사 극락보전과 내소사 대웅보전의 단청에서 이러한 특징 외에 미황사 대웅전 단청과 유사한 문양과 기법을 찾아 볼 수 있어 주목된다. '미황사 양식'이라 부를 수 있을 만큼 미황사 단청이 나머지 두 사찰 단청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더 넓은 시각으로 보았을 때 전라도지역 단청의 양식 중 하나로 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미황사와 천은사, 내소사의 단청에서 볼 수 있는 공통된 도상과 기법 등은 화사간의 영향관계를 짐작케 하는 부분으로 동일화파 내지는 미황사 단청을 조성했던 화사들의 영향을 받은 또 다른 화사들에 의해 조성되었을 가능성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