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elationship of European Landscape Painting and the Scientific (Visual) Instruments in the Pre-modern Period: On the Using of Camera obscura and Camera lucida in the Artistic Works by Canaletto·Sandby·Talbot

근대 유럽 풍경화와 과학(영상)기구의 연관성 - 카날레토·샌드비·탈보트의 미술작업에서 카메라 옵스쿠라와 카메라 루시다의 사용에 대해

  • 이상면 (연세대 미디어아트연구소)
  • Published : 2013.12.31

Abstract

This thesis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of the 18th century European landscape painting and the scientific (optical) instruments like Camera obscura and Camera lucida. Based on the fact that some landscape painters, 'veduta painters', at that times might have used or surely used these optical instruments in their sketches/drawings, it explores the reasons for using them and their working process with them, and analyses the advantages/disadvantages here as well as the aesthetic problems in the cases of the Italian painter Antonio Canaletto (or Canal, 1697-1768), the British topographic artist Thomas Sandby (1721-98) and the British chemist/optician Willian Henry Fox Talbot (1800-77). Advantages of using Camera obscura/lucida are rapidity in drawing, truthful representation of nature/reality and 'accurate' fulfilling of perspectival structures. But partly 'inaccurate' or simplified depictions as disadvantages can be traced in drawings/sketches made by using these instruments. Another problem lie in the subordination of the artistic work to the technical devices, but for artists still remain the creative working process in painting like coloring, tone and chiaroscuro etc. Therefore, it can be maintained that the optical instruments have played a role of the subsidiary tool as an aid to painting.

본 논문은 근대 풍경화와 과학(영상)도구와의 연관성을 탐구하고자 한다. 18세기 유럽의 풍경화가들이 자연경관과 인공적 설치물(건물 등)을 그리는 작업에서 근대 과학의 도움으로 만들어진 영상기구들인 카메라 옵스쿠라와 카메라 루시다 등을 사용했던 사실에 근거하여, 이 논문에서는 당시에 유명한 풍경화가들이자 증거자료들이 비교적 분명히 남아있는 이탈리아의 안토니오 카날레토(Antonio Canaletto/Canal 1697-1768)와 영국의 토마스 샌드비(Thomas Sandby 1721-98), 과학자 윌리엄 H F 탈보트(Willian Henry Fox Talbot 1800-77)의 경우를 중심으로 과학적 영상도구를 사용한 이유와 작업과정에 대해 알아보고, 그 사용에서 장단점들과 더불어 미학적인 문제들을 분석하고자 한다. 당대의 풍경화가들이 카메라 옵스쿠라/루시다 같은 기구를 이용했을 때의 장점들은 빠른 스케치 작업으로 인한 시간 절감, 자연/현실의 충실한 묘사, '정확한' 원근법적 구도의 구현에 있다. 그러나 이 기구들이 사용된 스케치들은 부분적으로 부정확하거나 단순화된 묘사가 보이기도 한다. 또 과학적 영상기구를 사용해서 예술작업이 기계의 메카니즘에 종속 문제가 있는데, 이 기구들은 스케치/드로잉에 사용되었고, 화가의 본격적인 그림작업, 즉 자연 해석과 채색·질감·명암 배합 같은 조형적 과정이 남아있으므로, 이들은 '회화작업에 도움을 주는 보조도구'일 뿐이었고, 화가의 창조적인 작업과정에 전혀 지장이 되지 않는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13년 정부(교육과학기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13S1A5A2A010198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