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mparative Study on the Dancheong(丹靑) of Buddhist Temples in Jeolla Region focused on the Dancheong of the main building of Mihwangsa Buddhist Temple at Haenam(海南)

전라도지역 사찰단청(寺刹丹靑)의 비교 연구 해남 미황사(美黃寺) 대웅전(大雄殿) 단청을 중심으로

  • Lee, Su Yee (Head of Research Institute to Preserve Cultural Assets of Buddhist Temples and Instructor of Buddhist Art at Dept. of Art, Dongguk University)
  • Received : 2009.10.29
  • Accepted : 2009.12.08
  • Published : 2009.12.30

Abstract

The Dancheong(丹靑) of the main building of Mihwangsa Buddhist Temple(美黃寺) in Haenam(海南) is the leading work of the Jeolla Dancheong style, which was created in the 18th century and has been passed down to the early modern days, and boasts its excellence and originality. On the outside, one can only see the traces of the Dancheong due to the colors that fell off and deteriorated severely. On the inside, however, the general Dancheong pattern is accompanied by the painting of 1,000 Buddhas(千佛圖), which is hardly found in other Buddhist temples, and the Arahan painting, which is truly magnificent in technique and can pass as an independent painting. The Dancheong also has unique methodological characteristics that can't be found in other Dancheong works such as the painting and attaching technique. The Dancheong inside is estimated to have been created in 1754 considering the records of "Dalmasan Mihwangsasa Daebeopdang Jungsusangryangmun(達摩山美黃寺大法堂重修上樑文)", the calligraphical writings of "Mudeungsanindanhwakya(無等山人丹?也)"and "Geonryungshipgu(乾隆十九)" left in the Jungryang, and the style characteristics reflected in the Dancheong patterns and the painting of 1,000 Buddhas. The fact that there are no traces of re-Dancheong also supports the estimation that the Dancheong was created in the absolute age of 1754. The absolute age will be the reference of deciding the chronological years of Dancheong patterns and be helpful in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and changes by the periods. There were certain style characteristics in Dancheong by the periods and regions. The Dancheong of Jeolla region also had its own style, which includes the tendency of finishing with two- or three-fold green belts without giving meokdanggi to the meoricho and the huge jar decoration of huigol. Treating the baetbadak of all materials, whether it's Geumdancheong or morodancheong, with lines of certain thickness and colors is another style of Jeolla Dancheong from the 18th to the 20th century. The Dancheong of the Geukrakbojeon(極樂寶殿) of Cheoneunsa Buddhist Temple and Daewoongbojeon(大雄寶殿) of Naesosa Buddhist Temple in Jeolla is especially noteworthy in that it bears similar patterns and techniques to that of the main building of Mihwangsa Buddhist Temple in addition to the characteristics mentioned above. The Dancheong of Mihwangsa Buddhist Temple must have exerted so great influences on that of the two temples that it's called "the style of Mihwangsa Buddhist Temple."When adopting a broader point of view, it can be classified as one of the Dancheong styles of Jeolla. The common icons and techniques found in the Dancheong of Mihwangsa, Cheoneunsa, and Naesosa Buddhist Temple provide some clues about the influential relationships among painters of the days. They may have been created by the painters of the same school or the painters affected by those who created the Dancheong of Mihwangsa Buddhist Temple.

해남 미황사 대웅전 단청은 18세기에 조성되어 근래까지 이어오는 전라도지역의 단청 양식을 이끈 대표작으로서 우수성과 독창성이 뛰어난 작품이다. 건물 외부에는 안료의 박락과 퇴색이 심하게 진행되어 단청의 흔적만 확인될 뿐이나 내부에는 일반 단청문양 외에 다른 사찰에서는 그 실례가 드문 천불도(千佛圖)가 함께 조성되어 있으며, 독립적인 회화작품으로 손색이 없을 만큼 기량이 뛰어난 나한도를 포함하고 있다. 방법적인 측면에서도 종이에 그려 붙인 첩부식(貼付式)으로 여타 단청에서는 볼 수 없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현재 남아있는 내부 단청은 "달마산미황사대법당중수상량문"의 기록과 충량에 남아있는 '무등산인 단확야(無等山人丹?也)', '건륭십구(乾隆十九)'라는 묵서명, 단청문양과 천불도에서 엿보이는 양식적 특징 등을 통해 1754년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재단청의 흔적을 찾아볼 수 없는 점 또한 미황사 대웅전 단청의 조성연대가 1754년이라는 절대연대를 뒷받침하는 근거가 된다. 이 같은 절대연대는 단청문양의 편년 설정의 기준이 될 것이며 시대별 특징과 변화를 유추하는데 있어서도 도움이 될 것이다. 단청은 시대별, 지역별로 일정한 양식적 특징이 있다. 전라도지역 단청 또한 일정한 양식을 형성하고 있는데 머리초를 먹당기 없이 2중 내지 3중의 녹색대로 마무리하는 경향, 휘골의 커다란 항아리 장식 등은 전라도 단청양식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금단청이든 모로단청이든 간에 모든 부재의 뱃바닥을 색긋기로 처리하는 점도 18세기부터 20세기까지 이어져온 전라도 단청 양식 중 하나로 볼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전라도지역에 위치한 천은사 극락보전과 내소사 대웅보전의 단청에서 이러한 특징 외에 미황사 대웅전 단청과 유사한 문양과 기법을 찾아 볼 수 있어 주목된다. '미황사 양식'이라 부를 수 있을 만큼 미황사 단청이 나머지 두 사찰 단청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더 넓은 시각으로 보았을 때 전라도지역 단청의 양식 중 하나로 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미황사와 천은사, 내소사의 단청에서 볼 수 있는 공통된 도상과 기법 등은 화사간의 영향관계를 짐작케 하는 부분으로 동일화파 내지는 미황사 단청을 조성했던 화사들의 영향을 받은 또 다른 화사들에 의해 조성되었을 가능성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