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del Pile-load

검색결과 288건 처리시간 0.022초

해상관측시설을 위한 파랑하중과 계류계 해석 -모래중에 뭍힌 원형파일의 수평력 추정방법을 중심으로- (Analysis of Wave Load and Mooring System for Ocean Monitoring Facilities - About an estimation method for horizontal force of circular pile in sand -)

  • 윤길수;김용직;김동준;강신영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02-111
    • /
    • 1998
  • 해양관측시설은 고정식과 부유식으로 나뉘는데 본 고에서는 부유식 해상관측시설과 관련된 파랑하중 및 계류계에 대해 다루었다. 부유식 해상관측시설의 일 예에 대해 운동계산과 표류력 계산을 수행하고 고찰하였다. 또한 계류앵커의 일종인 원형 파일앵커가 수평력을 받는 경우의 모형실험과 파주력 계산을 위한 프로그램을 작성하여 그 계산결과와 비교 고찰하였다. SCUBA 활동으로 설치가능한 파일앵커의 파주력 추정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Shaft resistance of bored cast-in-place concrete piles in oil sand - Case study

  • Barr, L.;Wong, R.C.K.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5권2호
    • /
    • pp.119-142
    • /
    • 2013
  • Pile load tests using Osterberg cells (O-cell) were conducted on cast-in-place concrete piles founded in oil sand fill and in situ oil sand at an industrial plant site in Fort McMurray, Alberta, Canada. Interpreted pile test results show that very high pile shaft resistance (with the Bjerrum-Burland or Beta coefficient of 2.5-4.5) against oil sand could be mobilized at small relative displacements of 2-3% of shaft diameter. Finite element simulations based on linear elastic and elasto-plastic models for oil sand materials were used to analyze the pile load test measurements. Two constitutive models yield comparable top-down load versus pile head displacement curves, but very different behaviour in mobilization of pile shaft and end bearing resistances. The elasto-plastic model produces more consistent matching in both pile shaft and end bearing resistances whereas the linear elastic under- and over-predicts the shaft and end bearing resistances, respectively. The mobilization of high shaft resistance in oil sand under pile load is attributed to the very dense and interlocked structure of oil sand which results in high matrix stiffness, high friction angle, and high shear dilation.

실내모형실험과 변형률 쐐기모델을 이용한 수평하중을 받는 말뚝의 거동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Behavior of the Lateral Load Piles using the Strain Wedge Model and Laboratory Model Test)

  • 김홍택;한연진;김홍락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3권2호
    • /
    • pp.103-112
    • /
    • 2012
  • 말뚝에 대한 수평지지력 산정방법은 대부분이 토압론과 지반을 말뚝으로부터 분리하여 고려하기 때문에 지반과 말뚝의 상호작용을 효율적으로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 최근에 말뚝기술이 보다 개선됨에 따라서 수평하중을 받는 말뚝의 실제거동에 대한 규명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말뚝과 지반의 상호작용을 고려할 수 있는 변형률 쐐기모델을 이용하여 단일 말뚝과 무리말뚝에 대한 거동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수평하중을 받는 말뚝에 대한 거동을 알아보기 위하여 축소모형실험을 우선적으로 수행하였으며, 실제 규모의 말뚝조건에 대해서는 변형률 쐐기모델을 적용하여 말뚝의 거동특성을 예측하였다. 실내모형실험 결과와 수치해석의 전반적인 거동을 살펴보기 위하여 실험결과 및 해석결과를 이용하여 비교, 분석을 수행하였다.

수직하중을 받는 모형 강널말뚝의 거동 (Behavior of Model Sheet Piles under Vertical Loads)

  • 윤여원;김두균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14권6호
    • /
    • pp.5-16
    • /
    • 1998
  • 모래지반에서 모형강널말뚝의 수직하중에 대한 거동을 알아보기 위하여 말뚝단면적이 동일하고 플랜지의 개구정도가 각기 다른 5개의 모형말뚝을 제작하였으며, 각 말뚝에 대해 상대밀도, 하중작용방향(압축, 인발)을 달리하여 토조내에서 실내 모형말뚝시험을 수행하였다. 동일한 말뚝에 대해 인발하중을 받는 경우보다 압축하중을 받는 경우가 극한지지력에 있어 100%가량 크며, 상대밀도가 조밀할수록 그 차이는 더욱 증가하였다. 인발재하시험에서 극한지지력과 극한상태의 침하량은 상대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동일한 지반조건하에서 개구정도의 변화에 따른 극한지지력과 침하량은 일정한 범위내에 존재하였다. 압축하중조건하에서 극한지지력은 개구정도가 30$^{\circ}$이내에 있을 경우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상대밀도가 커질수록 이러한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단면의 변화에 따른 극한하중 변화는 하중분포의 해석결과 부분폐색효과에 기인된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무리말뚝의 하중분담률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the Load Sharing Ratio of G개up Pile)

  • 권오균;오세붕;김진복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1권5호
    • /
    • pp.51-58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말뚝지지 전면기초에 대한 대규모 모형실험을 실시하여 여러 가지 조건에 따른 하중분담률을 측정하였다. 모형실험은 동일한 조건하에서 비접촉 무리말뚝과 말뚝지지 전면기초 두가지 상태로 실시되었고, 지반의 상대밀도와 종류, 말뚝길이, 간격, 배열상태와 말뚝관입방법 등의 조건들을 변화시켜 실험을 실시하였다. 모형실험 결과, 말뚝관입방법과 지반 종류에 따른 하중-침하 곡선은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하하중이 작은 경우에는 대부분의 하중을 말뚝들이 부담하지만, 하중이 커지면 래프트도 상당한 하중을 분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래지반의 상대밀도가 높을수록 말뚝지지 전면기초의 하중분담률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며, 말뚝간격이 넓어지고, 말뚝길이가 길어질수록 하중분담률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그러나 말뚝관입방법과 하부 지반의 종류는 말뚝지지 전면기초의 하중분담률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경계면 물성치에 따른 말뚝 거동 분석 - 근거리 사진계측을 이용한 모형시험과 수치해석 비교 (Investigation of Pile Behaviour according to Interface Properties - Comparison between Pile Model Test Using Close Range Photogrammetry and Numerical Analysis)

  • 이정민;이용주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0권9호
    • /
    • pp.29-39
    • /
    • 2014
  • 본 연구는 지반과 말뚝 사이의 경계면 물성치에 따른 말뚝의 거동을 파악하기 위하여, 말뚝 모형시험 결과와 유한요소해석 결과를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모형시험은 말뚝이 침하함에 따른 주변 지반의 거동을 파악하기 위하여 근거리 사진계측 기법을 적용하였으며, 강재와 콘크리트로 제작 된 각각의 말뚝으로 시험을 수행하였다. 수치해석은 모형시험을 근거로 모델링 하였으며, 지반과 말뚝 사이의 미끄러짐을 모사하기 위하여 경계면 요소를 이용하였다. 또한 경계면 강도감소계수 $R_{inter}$를 이용하여 경계면 요소의 물성치를 나타내었으며, 이 값을 바꿔가며 모형시험 결과와 비교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근거리 사진계측 기법과 수치해석 결과가 어느 정도 잘 일치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말뚝의 재료에 따른 경계면 강도감소계수 $R_{inter}$ 값이 말뚝 거동에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변형률 쐐기모델을 이용한 다층지반에서의 횡하중을 받는 말뚝의 적용성 평가 (Application on Pile Under Lateral Load in Multi Layered Ground Using the Strain Wedge Model)

  • 김홍택;이중재;정종민;윤창진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0권7호
    • /
    • pp.159-165
    • /
    • 2009
  • 변형률 쐐기모델은 지반의 변형과 말뚝의 복합적인 상호거동을 반영하는 효과적인 횡방향 지지력 산정방법이며, 국내에서도 근래에 들어 실무에서 그 적용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특히 다층지반에서의 변형률 쐐기모델은 아직까지 국내에서 검증된 바가 없어, 다층지반에서 횡방향 하중을 받는 말뚝의 거동을 변형률 쐐기모델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층 지반에서도 변형률 쐐기모델이 지반과 말뚝의 복합거동을 모사할 수 있는 유효한 모델인지 확인하기 위하여 모형실험과 수치해석기법으로 그 적용성을 확인해 보았다. 모형말뚝을 이용하여 직접 횡방향 하중을 재하시킴으로써 말뚝의 거동특성을 평가하고, 주면 마찰저항력의 크기로 지반의 변형률을 평가하여 지반의 수동쐐기를 도출하면서 지층의 강성에 따른 수동쐐기의 상태변화를 확인함으로써 다층지반에서의 적용성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수치해석 기법을 이용하여 모형실험을 검증함으로써 모형실험의 신뢰성을 검증하여 변형률 쐐기모델의 적용성을 검증하였다.

  • PDF

Nonlinear dynamic analysis of laterally loaded pile

  • Mehndiratta, S.;Sawant, V.A.;Samadhiya, N.K.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49권4호
    • /
    • pp.479-489
    • /
    • 2014
  • In the present study a parametric analysis is conducted to study the effect of pile dimension and soil properties on the nonlinear dynamic response of pile subjected to lateral sinusoidal load at the pile head. The study is conducted on soil-pile model of different pile diameter, pile length and soil modulus, and results are compared to get the effect. The soil-pile system is modelled using Finite element method. The programming is done in MATLAB. Time history analysis of model is done for varying non-dimensional frequency of load and the results are compared to get the non-dimensional frequency at which pile head displacement is maximum in each case. Maximum possible bending moment and soil-pile interacting forces for the dynamic excitation of the pile is also compared. When results are compared with the linear response, it is observed that non-dimensional frequency is reduced in nonlinear response on account of reduction in the soil stiffness due to yielding. Nonlinear response curve shows high amplitude as compared to linear response curve.

모형실험을 통한 횡하중을 받는 말뚝의 준설깊이 산정 (An Dredging Depth Calculation of a Pile Under Lateral Loading Based on Model Test)

  • 유찬호;이중재;김승욱;정종민;김홍택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10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 /
    • pp.1094-1103
    • /
    • 2010
  • The safety of pile foundation is getting declined when the pile foundation acting on lateral load is exposed by dredging. So appropriate reinforcement is needed for stability secure. Thus, in this study, the stability variation and reinforcement range caused by dredging is estimated on the basis of down scale test. The scale effect is determined by real scale numerical analysis. the behavior of pile by dredging stages is estimated by load control type. The credibility is verified through the comparison between down scale model test and numerical analysis.

  • PDF

프리캐스트 옹벽 마이크로 파일의 보강 효율 (Reinforcing Efficiency of Micro-Pile with Precast Retaining Wall)

  • 문창열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9권7호
    • /
    • pp.61-71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좁게 형성되는 프리캐스트 옹벽 배면에 상재하중을 재하 하였을 경우 마이크로파일의 수평저항 거동에 대한 설치 효율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확인하기 위한 수단으로 모형시험과 수치해석을 수행 하였다. 실내모형시험은 모형토조에 기초지반 조성 후 모형옹벽을 설치하였으며, 옹벽 배면에 상재하중을 재하 하여 마이크로파일의 설치간격 및 길이 등을 각각 변화시켜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보강된 마이크로파일이 프리캐스트 옹벽에 발생하는 수평방향 변형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이크로파일의 간격을 좁게 설치하고 파일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보강효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며, 파일의 길이가 0.5H 설치간격은 7D에서 최적의 보강효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