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del Builder

검색결과 69건 처리시간 0.027초

ArcGIS Model Builder를 이용한 토양유실 우선관리 지역 선정 자동화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Automatic Extraction Model of Soil Erosion Management Area using ArcGIS Model Builder)

  • 금동혁;최재완;김익재;공동수;류지철;강현우;임경재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3권1호
    • /
    • pp.71-81
    • /
    • 2011
  • Due to increased human activities and intensive rainfall events in a watershed, soil erosion and sediment transport have been hot issues in many areas of the world. To evaluate soil erosion problems spatially and temporarily, many computer models have been developed and evaluated over the years. However, it would not be reasonable to apply the model to a watershed if topography and environment are different to some degrees. Also, source codes of these models are not always public for modification. The ArcGIS model builder provides ease-of-use interface to develop model by linking several processes and input/output data together. In addition, it would be much easier to modify/enhance the model developed by others. Thus, simple model was developed to decide soil erosion hot spot areas using ArcGIS model builder tool in this study. This tool was applied to a watershed to evaluate model performance. It was found that sediment yield was estimated to be 13.7 ton/ha/yr at the most severe soil erosion hot spot area in the study watershed. As shown in this study, the ArcGIS model builder is an efficient tool to develop simple models without professional programming abilities. The model, developed in this study, is available at http://www.EnvSys.co.kr/~sateec/toolbox for free download. This tool can be easily modified for further enhancement with simple operations within ArcGIS model builder interface. Although very simple soil erosion and sediment yield were developed using model builder and applied to study watershed for soil erosion hot spot area in this study. The approaches shown in this study provides insights for model development and code sharing for the researchers in the related areas.

ArcGIS ModelBuilder를 이용한 수문학적 지형인자 산정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Calculating Model for Hydrological eographic Parameters Using ArcGIS ModelBuilder)

  • 문창건;이정식;신사철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4권2호
    • /
    • pp.19-29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ArcGIS ModelBuilder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수문학적 지형인자를 계산하기 위한 새로운 GIS 모형을 구축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경상북도 청도군의 18개 저수지를 대상으로 WMS와 HEC-GeoHMS에 의해 수문학적 지형인자를 계산하고, 새로운 GIS 모형으로부터 산정된 지형인자와 비교함으로써 본 연구에서 개발한 모형의 적용성을 평가한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수문학적 지형인자는 유역면적, 유로연장, 유역경사, 하상경사 및 유출곡선지수(CN)이다. 본 연구의 결과로서 평균상대오차는 10%를 상회하였으며, 새로운 GIS Model을 이용하여 기존의 방법에 비하여 보다 더 효과적이고 정확하게 수문학적 지형인자를 산정할 수 있다.

GIS를 이용한 생태마을 입지분석 모델 개발 - 경북 포항시 북구를 사례로 (Developing Analytical Model for Locating Preferred Ecovillage Sites Using GIS - The Case Study of Bukgu, Pohang)

  • 김두순;정선아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30-46
    • /
    • 2013
  • 본 논문은 생태마을 입지분석에 필요한 표준화된 분석요소와 평가기준을 정립하고, GIS를 이용한 생태마을 입지분석 모델을 개발하여 실제 적용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ArcGIS 모델빌더(Model Builder)를 활용하여 개발된 모델은 사용자가 GIS 프로그램에 익숙하지 않더라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 편의성을 최대한 고려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기존연구 분석을 바탕으로 크게 자연환경 요소, 인문/사회적 요소, 법제적 요소로 분류되는 18개의 보편적이고 정량적인 생태마을 입지분석 요소와 평가기준을 선정하였고, 각 요소의 등급화 및 점수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둘째, ArcGIS 모델빌더를 활용하여 18개 입지분석 요소의 주제도 작성과정과 생태마을 입지로 적합한 지역을 도출하는 중첩분석 연산과정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생태마을 입지분석 모델을 개발하였다. 셋째, 개발된 모델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포항시 북구를 테스트 사이트로 생태마을 입지분석을 수행하였다.

Development of a Web-Based Solution Builder for Three-Step Decision Support System

  • Hwang, Heung-Suk
    • Industrial Engineering and Management Systems
    • /
    • 제1권1호
    • /
    • pp.58-63
    • /
    • 2002
  • Recently a new multi-attribute analysis method is one of the evident areas of important points in the decision support system analysis. The area of decision support system may be broken into three primary area: idea generation, multi-attribute structured analysis method, and the integration of the results of analysis. This research developed an internet/intranet-based solution builder for a three-step decision support system in the view of 1) brainstorming for the idea generation, 2) analytic hierarchy process as a multi-attribute structured analysis method and 3) aggregating logic model to integrate the results of individual analysis. A computer program is developed and demonstrated in internet/intranet-based decision problem. This solution builder provides decision makers a good tool for remote group decision making.

Development of a Power Plant Simulation Tool with GUI based on General Purpose Design Software

  • Kim Dong Wook;Youn Cheong;Cho Byung-Hak;Son Gihun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rol, Automation, and Systems
    • /
    • 제3권3호
    • /
    • pp.493-501
    • /
    • 2005
  • A power plant simulation tool ('PowerSim') has been developed with 10 years experience from the development of a plant simulator for efficient modeling of a power plant. PowerSim is the first developed tool in Korea for plant simulation with various plant component models, instructor station function and the Graphic Model Builder (GMB). PowerSim is composed of a graphic editor using general purpose design software, a netlist converter, component models, the scheduler, Instructor Station and an executive. The graphic editor generates a netlist that shows the connection status of the various plant components from the Simdiagram, which is drawn by Icon Drag method supported by GUI environment of the PowerSim. Netlist Converter normalizes the connection status of the components. Scheduler makes scheduling for the execution of the device models according to the netlist. Therefore, the user makes Simdiagram based on the plant Pipe and Instrument Drawing (P&ID) and inputs the plant data for automatic simulating execution. This paper introduces Graphic Model Builder (GMB), instructor station, executive and the detailed introduction of thermal-hydraulic modeling. This paper will also introduce basic ideas on how the simulation Diagram, based on netlist generated from general purpose design software, is made and how the system is organized. The developed tool has been verified through the simulation of a real power plant.

ArcGIS Model Builder를 이용한 기후변화시나리오 강수누락지역의 보간강수량 생성 (Generation of Interpolated Precipitation Data using ArcGIS Model Builder in Not Covered Area of Climate Change Scenario)

  • 장동우;박효선;정지성;조성윤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5년도 학술발표회
    • /
    • pp.518-518
    • /
    • 2015
  • 이 연구에서는 ESRI사의 ArcGI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한반도 남한지역 중 기후변화시나리오에 의한 강수량이 제공되지 않는 해안선지역에 대해 기후변화시나리오를 이용하여 장래 강수량을 생성할 수 있는 모형을 개발하였다.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의한 장래강수데이터의 경우 복잡한 해안선지역에 대해 장래 강수데이터를 제공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최근의 지형도를 적용하여 기상청에서 제공하지 않는 지역에 대해 보완격자를 생성하고, 공간보간 기법을 이용하여 이를 해결할 수 있다. 1km 격자단위의 강수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하여 GIS내에 여러 툴(tools)의 기능을 단계적으로 모형화하여 순서화된 작업을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model builder를 사용하였다. 데이터 변환작업을 위한 전처리, 데이터 보간 추출 기능과 공간보간기법을 적용하여 기후변화 시나리오가 적용된 데이터누락지역에서의 장래 강수예측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RCP 8.5 시나리오를 이용하였고, 일부 해안선과 섬 지역에 대해 장래강수량을 생성할 수 있는 보간기법이 적용된 모형으로 한반도 남한지역 중 강수자료가 제공되지 않는 총 4,186개의 격자에 대해 적합한 공간보간기법을 선택하여, 일단위 및 월단위 강수자료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하였다.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강수데이터의 경우 'ASCII' 파일 형식으로 기후변화 데이터를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별도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강수예측자료를 얻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 강수예측자료를 텍스트파일 형태로 사용자가 원하는 좌표를 선택 한 후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도록 격자화하여 저장되도록 하였다.

  • PDF

WASP5 & WASP Builder을 이용한 농업용저수지 유역의 수질관리 (Water Quality Management using WASPS & WASP Builder for a Basin of an Agricultural Reservoir)

  • 정팔진;고홍석;현미희;이은주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422-431
    • /
    • 2004
  • Water quality modeling was performed for the purpose of diagnosis and prediction of water quality in Gyoung Choen reservoir, using EUTR05/WASP Build model. WASP Builder is capable of visual display in window and it has an advantage of updating and modification for data. Field data of 1992, Spring, Summer, and Fall, were used to calibrate model and these results were validated using data of 2000, Spring, Summer, and Fall. The reservoir was divided into 4 epilimnion segments. Water quality system for modeling were consist of BOD, Chlorophyll-a, DO, $NH_3-N$, $NO_3-N$, T-N, $PO_4-P$, T-P. The results of water quality modelling using EUTR05/WASP Builder, a range of the Correlation for calibration of BOD, T-N, T-P, and Chlorophyll-a according to three seasons are 0.63~0.90, 0.81~0.97, 0.75~0.98, and 0.77~0.98 respectively. And the correlation between simulated and observed values for verification of BOD, T-N, T-P, and Chlorophyll-a according to three seasons are 0.93, 0.94, 0.81, and 0.80 respectively. Among the pollutant sources for a basin of the Gyoung Choen reservoir, generated amount of livestock is the highest and BOD, T-N, T-P of generated loading percentage are 94%, 81%, and 95%. So, we suppose that inflow load amount will decrease 50% and increase 50% only livestock about current load amount. If increasing load amount of livestock 50% in segment 2 and 3, BOD, T-N, and T-P simulated increasing to range of $0.02~0.15mg/{\ell}$, $0.029~0.08mg/{\ell}$, $0.011~0.029mg/{\ell}$ in comparison with current water quality

웹 구축 보조 시스템에 대한 GUI 객체 감지 및 대규모 언어 모델 활용 연구 (A Study on the Web Building Assistant System Using GUI Object Detection and Large Language Model)

  • 장현철;장형국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4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830-833
    • /
    • 2024
  • As Large Language Models (LLM) like OpenAI's ChatGPT[1] continue to grow in popularity, new applications and services are expected to emerge. This paper introduces an experimental study on a smart web-builder application assistance system that combines Computer Vision with GUI object recognition and the ChatGPT (LLM). First of all, the research strategy employed computer vision technology in conjunction with Microsoft's "ChatGPT for Robotics: Design Principles and Model Abilities"[2] design strategy. Additionally, this research explores the capabilities of Large Language Model like ChatGPT in various application design tasks, specifically in assisting with web-builder tasks. The study examines the ability of ChatGPT to synthesize code through both directed prompts and free-form conversation strategies. The researchers also explored ChatGPT's ability to perform various tasks within the builder domain, including functions and closure loop inferences, basic logical and mathematical reasoning. Overall, this research proposes an efficient way to perform various application system tasks by combining natural language commands with computer vision technology and LLM (ChatGPT). This approach allows for user interaction through natural language commands while building applications.

  • PDF

HLA Application 개발을 위한 CASE Tool (CASE Tool For HLA Application)

  • 박민호;김재형;정창성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1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2 (1)
    • /
    • pp.415-417
    • /
    • 2001
  • HLA(High Level Architecture)는 차세대 DIS(Distributed Interactive Simulation)를 이어 네트워크 분산 시뮬레이션의 기반이 되는 표준 아키텍쳐이다. 이 HLA 시스템의 개발 과정에서 FEDEP(Federation Development and Execution Process) Model이 제안되었는데, FEDEP의 목적은 federation 개발자가 application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federation 개발 및 실행에 대한 guideline을 정하는 것이다. FEDEP의 일련의 process들 중에서 노동집약적인 과정은 CASE(Computer Aided Software Engineering) tool을 사용함으로써 보다 강화되고 능률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소개하는 HLA Application Builder 는 federate 와 federation을 자동적으로 생성하는 CASE tool 로서, 자동적인 FED(Federation Execution Data)file 및 C++ source code를 생성함으로써 HLA Federation 개발에 있어서의 인력(manpower)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HLA에 대한 배경지식과 HLA Application Builder 개발의 필요성과 구현, 그리고 실제 예를 들어서 HLA Application Builder가 어떻게 federation 개발에 사용되는지에 대해서 설명한다.

  • PDF

하이브리드 정보서비스 모델의 설계원칙 (Principles of Design for Hybrid Information Service Model)

  • 노진구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87-114
    • /
    • 2001
  • 하이브리드 정보환경은 적절한 범위의 이질적인 정보서비스가 단일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지속적이며 통합된 방법으로 이용자에게 제공되는 환경이라고 할 수 있다. 하이브리드 정보환경은 지역 및/혹은 원격 분산서비스 인쇄 및 전자적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그 환경은 객체들이 소속되어 있는 영역에 상관없이 발견, 소재. 신청, 배달 및 이용 등과 같은 기능들의 일부 혹은 전부를 제공할 것이다. 본 연구는 전통적 정보서비스와 전자적 정보서비스를 통합하고 다양한 유형의 정보자원에 대한 연속적이며 통합된 접근을 요하는 하이브리드 정보환경과 하이브리드 도서관에 대한 이해를 통하여 차이브리드 정보서비스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이어서, 하이브리드 정보서비스 모델 설계에 필요한 기본개념과 이를 바탕으로 한 Agora. BUILDER, HeadLine. HyLife, MALIBU 같은 주요 하이브리드 도서관 프로젝트에 대해 살펴보았다. 아울러 일반적인 하이브리드 정보서비스 모델을 고찰하고 하이 브리드 정보서비스 모델 구축을 위한 기본원칙으로 통합(integration), 연속성(seamlessness), 인증(authentication), 상호연결성(interconnectivity), 정보탐색과정 환경의 개인화(personalisation) 등의 5가지 기본 원칙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