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de Choice Model

검색결과 146건 처리시간 0.029초

대중교통수요예측을 위한 보행접근 및 승용차접근 잠재수요의 추정 (Estimating Walk Access and Auto Access Ridership for Transit Demand Forecast)

  • Yun, Seong-Soon;Yun, Dae-Sic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43-55
    • /
    • 2003
  • 본 연구에서 대중교통 수요예측과정에서 교통죤(TAZ)내의 거주인구, 직장인 등 대중교통이용가능 잠재수요 추정을 개선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이 제시되었다. 대중교통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보행 또는 승용차(Park & Ride or Kiss & Ride)로 대중교통에 접근하는 바, 제시된 방법이 보행에 의한 대중교통 잠재수요 및 승용차에 의한 대중교통 잠재수요를 추정하는 데 있어 기존의 buffer method 및 network ratio method보다 합리적이고 개선된 방법임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방법은 교통수단선택모형(mode choice model)의 적용과정에서 대중교통 수요예측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신교통수단 수혜자의 시장분할을 고려한 수단선택 모형 개발 (A Mode Choice Model with Market Segmentation of Beneficiary Group of New Transit Facility)

  • 김덕녕;최아름;황재민;김동규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3권2호
    • /
    • pp.667-677
    • /
    • 2013
  • 신교통수단의 도입은 통행 대안 간의 수단분담률에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수단분담률을 추정하는 데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다항로짓 모형은 통행자 선택의 다양성을 반영하기 어렵기 때문에 수단선택 특성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데에 한계가 있다. 이러한 문제는 교통수단의 도입 효과를 과다 또는 과소추정하는 결과를 야기하며, 이는 심각한 사회적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선호의 동질성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방법론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체모집단을 직접수혜자와 간접수혜자로 구분하는 시장분할 구조를 적용하여 선호의 이질성을 반영할 수 있도록 한다. 제주도의 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수단 선택 모형이 추정되며, 통계적 검정이 수행된다. 분석 결과, 신교통수단의 통행특성이 고급화됨에 따라 도심부에 거주하는 직접수혜자의 수단 전환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수단전환 패턴의 다양성을 반영함으로써 신교통수단 도입시 수요예측의 정확성을 제고하는 데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보조금 정책을 고려한 적정 수송 분담률 추정 모형 - Dual Mode Trailer(DMT) 사례를 중심으로 (Estimation of Optimal Modal Split Considering the Subsidy Policy - In the Case of Dual Mode Trailer)

  • 박범환;김충수;이강원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2권2호
    • /
    • pp.205-211
    • /
    • 2009
  • 국가 물류 수송의 총 사회적 비용을 감소시키기 위해 기존의 물류 수송 체계를 철도 중심의 물류체계로 전환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해 DMT와 같은 다양한 새로운 운송 수단의 도입이 고려되고 있으며, 이러한 운송수단의 도입은 기존의 도로의 수송 분담률을 낮춰줄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새로운 운송 수단의 도입에 따른 경제성 평가는 대부분 화물 운송 소비자의 효용함수를 도출하고, 이 효용함수로부터 수단별 운송 분담률이 어느 정도 될 것인지를 추측하는 데에 치중해왔다. 본 연구는 운송 소비자의 효용과 사회적 비용을 동시에 고려하여, 물류수송에 관여되는 사회적 비용을 최소화하는 적정 수송분담률을 구하기 위한 수리 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이용하여 컨테이너 화물에 대한 운송 수단별 적정 수송 분담률을 계산해 본다.

개인성향 요인이 탄소저감형 교통서비스 잠재선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Effect of Attitudinal Factors on Stated Preference of Low-carbon Transportation Services)

  • 이윤희;이경재;추상호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49-65
    • /
    • 2023
  • 최근 전세계적으로 환경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국제사회가 '탄소중립'을 선언하면서 '탄소'를 고려한 다양한 수단선택모형 연구가 실시되고 있으나, 탄소에 대한 개인성향을 반영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탄소저감형 이동수단(전동킥보드 등)을 포함한 대중교통 서비스로 SPT(Sustainable Public Transit)라는 새로운 수단을 제시하고, 수도권 통근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SP(Stated Preference)조사를 활용하여 요인분석을 통해 응답자의 탄소에 대한 개인성향을 분석한 후, 다항로짓모형을 활용하여 SPT에 대한 수단선택모형을 구축하였다. 분석 결과, SPT 잠재선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성별, 소득, 개인성향('새로운경로 탐색에 대한 열정', '수단간 환승 선호', '탄소저감지식', '탄소저감실천') 변수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수단선택모형 구축시 수단의 속성변수로 탄소배출량을 선정하거나, 탄소저감과 관련한 개인성향 변수를 구축했다는 부분에서 의의가 있다.

한국제조기업의 해외시장진입방식 선택요인과 성과 (A Study on the Determinant of Foreign Market Entry Mode and Performance of Korean Manufacturing Firms)

  • 박태호;김석수;서민교
    • 통상정보연구
    • /
    • 제11권4호
    • /
    • pp.183-214
    • /
    • 2009
  • We identify key theoretical approaches, constructs, and primary variables of interest that exist in the foreign market entry mode articles. This provides fertile ground for continued development in our foreign market entry mode research. Using the integrated framework, this paper examines the determinants of foreign market entry mode choice by Korean firms and the impact of the entry mode choice on performance in a unified model. Using a database of KIS-VALUE in Korea from 2003 to 2005, we find that the hypothesized effects of related factors on entry modes are partially supported.

  • PDF

통행수단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지역특성이 통행수단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Traveler's Mode Choice)

  • 권세나;김형진;손봉수
    • 대한교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교통학회 2007년도 제55회 학술발표회논문집
    • /
    • pp.181-190
    • /
    • 2007
  • 본 연구는 기존의 통행수단선택에 관한 연구들이 주로 다룬 개인 및 가구의 사회경제적특성에 관한 변수를 비롯하여 통행이 발생하는 지역의 특성에 관한 여러 가지 변수를 고려하여 통행수단 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분석대상은 첨두시와 비첨두시의 대표적인 목적통행인 출근통행과 쇼핑통행으로 삼았으며 승용차, 버스, 지하철에 관한 다항로짓모형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변수들이 목적통행별로 상이한 영향을 미쳤고, 지역특성변수들이 모형의 설명력을 높여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수송수단의 선택을 위한 리드타임 분석 (Lead time analysis for transportation mode decision making)

  • 문상원
    • 경영과학
    • /
    • 제13권1호
    • /
    • pp.47-55
    • /
    • 1996
  • Rapid globalization of production and marketing functions makes choice of international transportation mode of great importance. In this paper, transportation mode is characterized by two factors, mean and variability of transportation lead time. We developed a simple mathematical model to estimate the relative impact of mean lead time, lead time variance and demand variance on the required average inventory level under specified service rates.

  • PDF

Analyz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Stated Preference and the Revealed Preference before/after the High-speed Rail Service in Korea

  • Lee, Jang-Ho
    • International Journal of Railway
    • /
    • 제7권1호
    • /
    • pp.24-33
    • /
    • 2014
  • The Korean high-speed rail (HSR) began its commercial service in 2004. This service has been created significant changes in the system of intercity passenger travels of Korea. However, the actual ridership was approximately half of the estimated one in the planning stage. In this background, this paper presents the difference between the stated preference (SP) before the HSR service and the revealed preference (RP) after it using the intercity travel mode choice models. Several meaningful differences are found in terms of the factors affecting the travel mode choice, the estimation results of model, the monetary values of time, and elasticities. While the access/egress travel time of high-speed rail is less important than in-vehicle travel time in the SP sample, they have same weight in the RP sample. Also the RP models show that the probability of choosing HSR can be decreased by the increase of the number of vehicles in household contrary to the results from the SP models. The monetary values of travel time are relatively high and the direct and cross elasticities in response to changes in level-of-service of HSR are relatively low in the RP sample. This Korean case is expected to offer referable material for preparing high-speed rail services in other countries by show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SP and RP before/after the actual service, identifying the importance of access/egress travel time and lower direct elasticities of HSR demand.

공유 전동킥보드를 고려한 수단선택모형 추정 - 접근통행과 생활권통행을 중심으로 - (Estimating a Mode Choice Model Considering Shared E-scooter Service - Focused on Access Travel and Neighborhood Travel -)

  • 김지윤;김수재;이경재;추상호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22-39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공유 전동킥보드가 운영되고 있는 1기·2기 신도시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SP조사를 수행하여 광역교통수단의 접근통행과 생활권통행의 공유 전동킥보드를 고려한 수단선택모형을 추정하였다. 연구결과 두 모형에서 공통적으로 통행시간과 통행비용이 음의 계수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접근통행은 통행시간에, 생활권통행은 통행비용에 보다 민감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개인속성 및 가구속성에 따른 공유 전동킥보드 이용선호도를 살펴보면 40세 이하, 자전거 소유, 주로 이용하는 수단이 대중교통인 경우 긍정적인 영향을 보인 반면, 가구 월소득 300만원 미만, 개인 승용차 보유는 이용선호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속도로 연계성을 반영한 고속철도 수단선택모형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of Mode Choice Model and Applications Considering Connectivity of Express Way)

  • 조항웅;정성봉;김시곤;오재학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4권4호
    • /
    • pp.383-389
    • /
    • 2011
  • 지금까지 고속철도와 고속도로의 계획 및 건설은 시설 간 연계 환승에 대한 고려 없이 개별시설 확충 위주로 진행되었으며. 이로 인해 시설의 효율적 투자 및 활용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고속도로 연계성 향상으로 고속철도 수단선택행태에 미치는 영향을 다항로짓모형(Multinominal Logit Model)과 이항로짓모형(Binary Logit Model)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모형개발을 위한 설문조사는 고속철도, 고속버스, 장거리 승용차 이용자를 대상으로 통행실태조사와 진술선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고속철도와 연계 환승수단에 대한 수단분담모형을 구축하였다. 수단선택모형을 통하여 고속도로와 고속철도가 연계 시 동탄역을 대상으로 사례분석을 수행한 결과 서울~부산 간 약 2시간의 통행시간이 단축되었으며, 이로 인해 약 30%의 수요증가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고속철도와 고속도로의 계획 시 연계 환승을 고려하여 건설 및 운영이 이루어질 경우, 고속철도의 이동성 기능과 고속도로의 접근성 기능을 결합함으로써 수단간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