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d

검색결과 886건 처리시간 0.024초

안전감압계통의 열수력과도현상 평가

  • 이희도;윤선홍;박군철
    • 한국원자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원자력학회 1996년도 춘계학술발표회논문집(2)
    • /
    • pp.186-192
    • /
    • 1996
  • 가압기의 유체 조건이 증기에서 이상유체로 변화하는 완전급수상실사고 경우에 대한 안전감압계통의 가압기 노즐 및 밸브 전단에서의 유량, 밸브 후단에서의 압력 변화 등 RELAP5/MOD1과 RELAP5/MOD3로 계산된 열수력 조건이 유사한 추세를 나타내었다. 또한 RELAP5/MOD1-CALPLOTFIII와 RELAP5/MOD3-CALPLOTFIII 전산체제로 계산된 안전감압계통의 각 배관부위에서의 동하중도 유사한 추세를 나타내었다. 즉, RELAP5/MOD1-CALPLOTFIII와 RELAP5/MOD3-CALPLOTFIII 전산체제를 이용한 안전감압계통의 열수력 과도현상 해석 결과가 유사하여 RELAP5/MOD1 대신에 RELAP5/MOD3가 안전감압계통의 열수력 과도현상 분석에 대체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본 연구는 안전감압계통에 국한하여 수행되었으며, RELAP5/MOD1과 RELAP5/MOD3를 이용한 가압기안전밸브 방출배관에 대한 기존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RELAP5/MOD3가 만족스러운 곁과를 제공하지 못하는 바, 다른 계통에 RELAP5/MOD1 대신 RELAP5/MOD3를 대체적용하기 위해서는 개별적으로 각 계통에 대한 비교 평가가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주문형 멀티캐스팅 기법을 사용한 새로운 MOD 시스템의 구현 (Implementation of New MOD System Using On-demand Multicasting Technique)

  • 김영준;황태준;권기섭;김익수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0B권7호
    • /
    • pp.847-852
    • /
    • 2003
  • 본 논문은 멀티캐스트 전송을 이용한 MOD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기존의 시스템은 서버 지향적인 멀티캐스트 시스템을 제공하였지만 구현된 시스템은 사용자 요구 지향적인 멀티캐스트 시스템을 제공한다. 스케줄러는 사용자의 요구를 수집하고 요구된 비디오 아이템과 서비스 시간에 따라서 멀티캐스트 그룹 주소와 포트 번호를 발생한다. 그러면 스케줄러는 MOD 서버와 서비스를 요구한 사용자에게 즉시 멀티캐스트 주소와 포트 번호를 전송한다. .그리고 MOD 서버는 멀티캐스트 그룹 주소로 요구한 스트림을 전송하고, 사용자는 자동으로 그룹 주소에 가입한다. 스케줄러는 같은 스케줄링 시간 안에 있는 다른 사용자들이 동일한 비디오를 요구하였을 때 같은 멀티캐스트 그룹 주소를 할당한다. 구현된 MOD 시스템은 동시에 많은 사용자에게 서비스할 뿐 아니라 서버의 부하를 크게 줄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RELAP5/Mod3.1을 이용한 자연순환 실험 SNC-3, SNC-4의 모사

  • 김상녕;안성수;장완호
    • 한국원자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원자력학회 1997년도 춘계학술발표회논문집(1)
    • /
    • pp.415-421
    • /
    • 1997
  • 자연대류 현상의 특성파악과 주요 관련변수들에 대한 이론적인 연구를 위하여 단일 순환계통 자연대류 실험인 SNC-3, 4를 RELAP5/Mod3.1로 모사계산하여, RELAP5/Mod1의 모사결과와 비교하여, RELAP5의 버전에 따른 결과의 차이를 비교하도록 하였다. 이를 위하여 Mod1의 input을 수정하여Mod3.1로 바꾸고 이를 계산하도록 하였다. 두 실험에 대한 Mod3.1 모사계산 결과는 Mod 1의 계산결과와는 달리 실험을 매우 훌륭히 모사함을 보이고 있다.

  • PDF

소형냉각재 상실사고시 루프밀봉 형성 및 제거에 대한 예측 (Prediction of Loop Seal Formation and Clearing During Small Break Loss of Coolant Accident)

  • Lee, Sukho;Kim, Hho-Jung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24권3호
    • /
    • pp.243-251
    • /
    • 1992
  • 소형 냉각재 상실사고시 루프밀봉 형성 및 제거에 대하여 LSTF에서 수행된 실험 SB-CL-18의 결과를 RELAP5/MOD2와 /MOD3를 이용하여 예측하였다. 본 연구는 증기발생기 상향 및 하향 유동에서의 비대칭 냉각재수용에 따른 마노메트릭 유동에 의해 노심노출의 조기발생을 야기시키는 열수력학적 현상을 예측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RELAP5/MOD2를 이용한 해석결과는 루프밀봉 형성 및 제거를 포함하여 감압사고시의 주요 현상을 전반적으로 잘 예측하고 있으나 기초 계산외 결과를 볼 때 현상 및 시간적 순서에 관련하여 몇 가지의 차이가 있었다. RELAP5/MOD3는 RELAP5/MOD2보다 전반적인 현상, 특히 증기발생기 액체수용을 보다 잘 예측하고 있으며, 또 한 RELAP5/MOD3를 이용하여 증기발생기 U자관과 펌프 흡입관의 nodalization수를 늘린 경우는 루프 밀봉제거현상과 시간적 순서를 잘 예측할 수 있었다.

  • PDF

실제증발산 자료의 불확실성 파악에 관한 연구: flux tower, 인공위성 및 재분석자료 (A study on the analyzing of uncertainty for actual evapotranspiration: flux tower, satellite-based and reanalysis based dataset)

  • 백종진;정재환;박종민;최민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2권1호
    • /
    • pp.11-19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인공위성 및 재분석 자료인 Global Land Data Assimilation System (GLDAS), Global Land Evaporation Amsterdam Model (GLEAM), MOD16의 실제증발산량 산출물을 활용하여 한국수자원조사기술원(Korea Institute of Hydrological Survey, KIHS)에서 관리하고 있는 청미천(cheongmicheon farmland site, CFK)과 설마천(seolmacheon site, SMK) flux tower에서 검증하였고, Triple collocation (TC) 방법을 활용하여 자료간의 불확실성 및 상관성분석을 수행하였다. 플럭스타워와의 검증 결과에서는 전반적으로 GLEAM>GLDAS>MOD16순으로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세가지 산출물의 조합(S1: flux tower vs. GLDAS vs. MOD16, S2: flux tower vs. GLDAS vs. GLEAM, S3: flux tower vs. GLEAM vs. MOD16)을 통한 TC 결과에서는 청미천(설마천)에서 GLEAM>GLDAS>MOD16>flux tower (GLDAS>GLEAM>MOD16>flux tower)순으로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TC 분석 결과에서 Flux tower의 error variance와 correlation coefficient가 상대적으로 좋은 결과를 나타내지 못하였으므로, 한반도 지역에서 인공위성과 재분석 자료(GLDAS vs. GLEAM vs. MOD16)만을 활용하여 TC를 적용하였다. 그 결과, GLDAS와 GLEAM이 한반도 영역에서 낮은 error variance 와 높은 correlation coefficient를 나타낸 반면, MOD16의 경우, 농지에서 낮은 correlation coefficient과 높은 error variance를 나타내었다.

최단 보폭-최장 보폭 이산대수 알고리즘의 변형 (Modified Baby-Step Giant-Step Algorithm for Discrete Logarithm)

  • 이상운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8권8호
    • /
    • pp.87-93
    • /
    • 2013
  • 최단 보폭-최장 보폭 알고리즘은 n을 $m={\lceil}\sqrt{n}{\rceil}$개의 원소를 가진 m개의 블록으로 분할하고 첫 번째 블록의 m개에 대해 $a^x$ (mod n) 값을 저장한다. 다음으로 m개의 블록에 대한 mod n을 계산하여 첫 번째 블록의 원소 값을 검색하여 일치하는 블록을 찾는 방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첫 번째로, $a^{{\phi}(n)/2}{\equiv}1(mod\;n)$$a^x(mod\;n){\equiv}a^{{\phi}(n)+x}$ (mod n)의 특징을 적용하여 m개의 원소를 가진 ${\lceil}m/2{\rceil}$개의 블록으로 분할하는 방법을 적용하여 최장보폭의 수행횟수를 50% 감소시켰다. 두 번째로, ${\lceil}m/2{\rceil}$개의 최단 보폭을 먼저 수행하여 저장하고, 첫 번째 블록의 m개 원소를 수행하는 최단 보폭을 수행하는 방법으로 최단 보폭-최장 보폭 알고리즘을 역으로 수행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 알고리즘은 최단 보폭-최장 보폭 알고리즘의 m개 저장과 검색을 ${\lceil}m/2{\rceil}$개로 50% 감소시키는 특징이 있다.

Microsized Corn-Oil Droplet (MOD)의 Trichloroethylene (TCE) 생물학적 탈염소화 분해 자연저감 완효성 촉진제 적용성 평가 (Feasibility of Natural Attenuation for TCE Anaerobic Reductive Dechlorination Using Microsized Corn-Oil Droplet as an Activator)

  • 한경진;김희윤;권수열;김영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11-18
    • /
    • 2024
  • Recently, enhanced in situ bioremediation using slow substrate release techniques has been actively researched for managing TCE-contaminated groundwater. This study conducted a lab-scale batch reactor experiment to evaluate the feasibility of natural attenuation for TCE dechlorination using microsized corn-oil droplet (MOD) as an activator considering the following three factors: 1) TCE dechlorination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MOD; 2) TCE dechlorination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inactivator of native microbial activity; and 3) MOD concentration effects on TCE dechlorination. Batch reactors were constructed using site groundwater and soil in which Dehalococcoides bacteria were present. Without MOD, TCE was decomposed into dichloroethylene (DCE). However, other by-products of TCE dechlorination were not detected. With MOD, DCE, vinyl chloride (VC), and ethylene (ETH) were sequentially observed. This result confirmed that MOD effectively supplied electrons to complete dechlorination of TCE to ETH. However, when an excess of MOD was provided, it formed unfavorable conditions for anaerobic digestion because dechlorination reaction did not proceed while propionic acid was accumulated after DCE was generated. Therefore, if an appropriate amount of MOD is supplied, MOD can be effectively used as a natural reduction activator to promote biodegradation in an aquifer contaminated by TCE.

Assessment of RELAPS/MOD3 with Condensation Experiment for Pure Steam Condensation in a Vercal Tube

  • Kim, Sang-Jae;No, Hee-Cheon
    • 한국원자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원자력학회 1998년도 춘계학술발표회논문집(1)
    • /
    • pp.559-564
    • /
    • 1998
  • The film condensation models in RELAP5/MOD3.1 and RELAP5/WOD3.2 are assessed with the data experiment performed in the scaled down condensation experimental facility with a single vertical tube inner diameter 46 mm in the range of pressure 0.1∼7.5 Mpa for the PSCS(Passive Secondary Condenser System) Both MOD3.1 and MOD3.2 don't shows any reliable predictions the experimental data The RELAP5/MOD3.1 overpredicts the heat transfer coefficients experiment, whereas the RELAP5/MOD3.2 underpredicts those data it is recommended that the film condonation model in RELAP5/MOD3.2 should be modified to hue a larger heat transfer coefficient than those the present model to give the reliable predictions.

  • PDF

MODf : 대규모 단백질 DB에서 효과적이고 빠르게 PTM을 동정하는 알고리즘 (MODf : An Effective and Fast Algorithm for Identification of PTM in Large Protein Sequence Database)

  • 신성호;박희진;백은옥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834-1836
    • /
    • 2010
  • 프로테오믹스는 세포 안 또는 개체 안의 모든 단백질을 총체적으로 연구하는 분야이다. 단백질 동정은 단백질이 어떤 아미노산의 서열로 구성되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하지만 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과 같은 단백질 변형을 고려하게 되면 단백질 동정은 매우 어렵게 된다. $MOD^i$ 알고리즘은 단백질 동정을 할 때 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의 종류나 개수에 제한 없이 단백질 동정을 정확하게 수행한다. 하지만, 대용량 단백질 서열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면 수행시간이 많이 걸리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MOD^i$를 보완하기 위해 대용량 데이터베이스에서 후보 단백질을 선정하는 알고리즘을 통해서 개선된 $MOD^f$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Target-decoy search strategy를 적용하여 정확성을 분석한다. 후보 단백질 선정 알고리즘과 Target-decoy search strategy 적용 결과 $MOD^f$$MOD^i$에 비해 정확도를 희생하지 않으면서 수행속도는 약 2배 향상되었다.

인터넷 GIS를 이용한 MOD 서비스 개발 (Development of MOD Service using Internet GIS)

  • 안병익;김성룡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1998년도 학술회의 논문집 1권1호
    • /
    • pp.211-221
    • /
    • 1998
  • 인터넷 GIS는 지리정보 데이타에 대한 접근, 전송, 분석 및 공간데이타를 표현하는 수단으로 인터넷을 이용하는 시스템이다.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 GIS의 개요 및 클라이언트 기반의 인터넷 GIS와 서버 기반의 인터넷 GIS를 분석하고 인터넷 환경에서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실시간으로 지도를 제공하는 GIS Data Server 및 자바를 이용한 MOD 서비스와 TC1-DP를 이용한 MOD 기술 개발에 대하여 기술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