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bile internet user interface

검색결과 93건 처리시간 0.034초

이동 로봇의 원격 주행 시스템 (Remote Navigation System for Mobile Robot)

  • 김종선;유영선;김성호;주영훈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7년도 심포지엄 논문집 정보 및 제어부문
    • /
    • pp.325-327
    • /
    • 2007
  • In this paper, we implement the internet- based remote control system for intelligent robot. For remote control of the robot, it uses the socket communication of the TCP/IP. It consists of- the user interface and the robot control interface. Robot control interface transmits the navigation and environmental informations of the robot into the user interface. In order to transmit the large environmental images, a JPEG compression algorithm is used. User interface displays the navigation status of the robot and transmits the navigation order into the robot control interface. Also, we propose the design method of the fuzzy controller using navigation data acquired by expert's knowledge or experience. To do this, we use virus-evolutionary genetic algorithm(VEGA). Finally, we have shown the proposed system can be operated through the real world experimentations.

  • PDF

IMT-2000 이동통신시스템의 보안기능구조 및 무선링크 성능 분석 (Security Architecture and Performance Analysis of Air Interface for IMT-2000 Mobile Systems)

  • 권수근
    • 한국산업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업정보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21세기 신지식정보의 창출
    • /
    • pp.55-63
    • /
    • 2001
  • IMT-2000이동시스템에서는 빠른 전송속도의 지원으로 무선인터넷, 전자상거래 등 많은 응용서비스의 제공이 예상된다. 이들 서비스는 인증, 데이터 무결성, 데이터 암호화 등 높은 수준의 보안기능을 요구한다. 본 논문에서는 IMT-2000에서 암호화, 인증 등 망접속 보안 기능 제공에 따른 무선링크의 성능 분석을 수행하였다. 보안 기능의 추가에 따라 모든 구성 시스템간의 링크에서 관련 메시지 전송에 따른 부하가 증가하나 추가되는 용량의 처리가 쉽게 해결 가능한 유선구간에서의 성능분석은 제시하고 메시지 증가에 가장 민감한 구간인 무선링크에 대만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 PDF

Evaluating the Usability of Size Comparison UI for Online Clothing Shopping Malls

  • Kim, Heesun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2권4호
    • /
    • pp.61-70
    • /
    • 2020
  • As mobile device usage time increases thanks to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alongside the increase in the spread of smartphones, mobile shopping has become a common trend. While mobile shopping has the advantage of saving both time and money, it may also result in dissatisfaction with product differences after purchase. For online clothing shopping malls, in particular, if the size does not match after purchase, it is difficult for customers to return or exchange the goods. To address this problem, some mobile apparel shipping malls offer a virtual fitting service and a size comparison function; however, the number of such malls remains low. In this paper, a usability evaluation was performed on a mobile apparel shopping mall that provides a size comparison function. The three apps selected for evaluation have different size input methods, and a slightly different method of providing results after comparing the user's dimensions with the dimensions of the clothes to be purchased. In this paper, the evaluators were asked to select clothes at the shopping mall and perform the task of deciding the size of the clothes to be purchased through their own measurements and comparison while also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meaning, and satisfaction of the app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results, this paper aims to produce an improvement plan and help design the size comparison UI (User Interface) in the future.

스마트폰 사용자를 위한 모바일 웹 인터페이스 디자인 구현 (Implementation of Mobile Web Interface Design for Smart-Phone Users)

  • 오형용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639-648
    • /
    • 2011
  • 무선 인터넷 접근성이 개선된 스마트폰과 태블릿PC의 등장으로 개인 컴퓨팅 환경이 PC중심에서 모바일 웹(Mobile web) 기반의 모바일 단말기 중심으로 이동하면서, 정보의 이용과 소통 방식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국내 대학들 역시 스마트폰 사용자들을 위한 모바일 웹 사이트 구축이 활발하게 진행 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대학들의 모바일 웹사이트들은 사용성이나 접근성을 고려하기 한 사이트가 아닌 다양한 기능과 화려한 디자인에 주력하여 개발하거나 단순한 홍보용으로 제작되고 있기 때문에 이를 사용하는 학생들은 많은 불편을 겪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스마트폰 환경에서 사용성과 접근성을 고려한 웹 인터페이스를 새롭게 제안함으로써 사용자들이 원하는 정보로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모바일 웹사이트 구축 시 고려해야 할 사항은 직관적인 인터페이스 디자인,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에 대한 고려, 사용자 맞춤형 인터페이스, 그리고 웹표준(Web Standard) 준수이다.

Interacting Mobile Robots for Tele-Operation System Using the Internet

  • Park, Kwang-Soo;Ahn, Doo-Sung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1년도 ICCAS
    • /
    • pp.44.1-44
    • /
    • 2001
  • This paper discusses the interacting mobile robots for tele-operation system using the world wide web. In multi-agent and web-based teleoperation environment the problem of communication delay must be solved for the efficient and robust control of the system. The standard graphic user interface(GUI)is implemented using Java Programing language. The web browser is used to integrate the virtual environment and the standard GUI(Java applet) in a single user interface. Users can access a dedicated WWWserver and download the user interface. Reinforcement learning is applied to indirect control in order to autonomously operate without the need of human intervention. Java application has been developed to communicate and control multi robots using WWW. The effectiveness of our multi robots system is verified by simulation and experiments ...

  • PDF

PDA를 이용한 이동로봇 제어 (PDA-based Supervisory Control of Mobile Robots)

  • 정성호;김성주;김용택;전홍태
    • 한국지능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퍼지및지능시스템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 및 임시총회
    • /
    • pp.105-108
    • /
    • 2002
  • This paper represents the mobile robot control system remote controlled by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 So far, owing to the development of internet technologies, lots of remote control methods through internet have been proposed. To control a mobile robot through internet and guide it under unknown environment, We propose a control method activated by PDA. In a proposed system, PDA acts as a user interface to communicate with notebook as a controller of the mobile robot system using TCP/IP protocol, and the notebook controls the mobile robot system. The information about the direction and velocity of the mobile robot feedbacks to the PDA and the PDA send new control method produced from the fuzzy inference engine.

  • PDF

음성인식과 웨어러블 모듈을 이용한 이동로봇 제어 (Control of Mobile Robot Using Voice Recognition and Wearable Module)

  • 정성호;서재용;김용민;전홍태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2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3)
    • /
    • pp.37-40
    • /
    • 2002
  • Intelligent Wearable Module is intelligent system that arises when a human is part of the feedback loop of a computational process like a certain control system. Applied system is mobile robot. This paper represents the mobile robot control system remote controlled by Intelligent Wearable Module. So far, owing to the development of internet technologies, lots of remote control methods through internet have been proposed. To control a mobile robot through internet and guide it under unknown environment, We propose a control method activated by Intelligent Wearable Module. In a proposed system, PDA acts as a user interface to communicate with notebook as a controller of the mobile robot system using TCP/IP protocol, and the notebook controls the mobile robot system. Tlle information about the direction and velocity of the mobile robot feedbacks to the PDA and the PDA send new control method produced from the fuzzy inference engine.

  • PDF

지리정보 서비스를 이용한 모바일 진료예약 시스템의 구현 (An Implementation of Mobile Medical Reservation System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ervice)

  • 노경택;김영훈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173-178
    • /
    • 2010
  • 최근 유비쿼터스 사회로 도약하기 위하여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기술 혁신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의료 분야에서도 u-Hospital의 대중화를 위해 장소의 제약을 받지 않는 모바일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려는 추세를 보인다. 현존하는 모바일 진료예약 시스템은 기존 웹 페이지의 텍스트 기반 인터페이스를 그대로 사용하므로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잘 활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Web 2.0 환경에 적합하도록 RIA (Rich Internet Application) 기술을 활용하여 지리정보 서비스를 이용한 모바일 진료예약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또한 적은 페이지 뷰에서 모든 작업 처리가 가능하고 XML을 이용한 효율적인 데이터 교환으로 기존 시스템과 차별화를 두었으며, 유연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사용자 편의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사용 상황에 맞게 분류된 사물의 데이터 시각화와 제어를 위한 인터페이스 개발 (Development of an Interface for Data Visualization and Controlling of Classified Objects based on User Conditions)

  • 박희성;한민석;최유리
    •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 /
    • 제22권7호
    • /
    • pp.320-325
    • /
    • 2016
  • IoT(Internet of Things) 기술의 급격한 발전으로 스마트 홈 환경에서 사용되는 사물들의 수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Mobile 환경에서 다양한 스마트 사물을 효율적으로 관리 및 제어하기 위해 Application을 통해 제공한다. 하지만, 기존의 방법은 단순 정보 나열하여 보여줄 뿐 사물 간의 유의미한 정보를 나타내지 않아 스마트 사물의 탐색과 제어가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의 사물 사용 패턴 정보에 맞춰 사물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시각화하고 제어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스마트 사물 기기의 사용 상황에 맞게 시간 축으로 패턴 정보를 분류하고 사물의 데이터를 시각화 하여 그룹 및 개별 제어를 쉽게 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과거 및 현재의 전체 사물 정보를 종합하여 유의미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모바일 서비스 사용의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Mobile Service Usage)

  • 문현필;옥석재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14권2호
    • /
    • pp.133-154
    • /
    • 2005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use of mobile service. We extracted critical study variables according to literature reviews about adoption of information systems, those under the internet environment and mobile internet adoption for theoretical foundation. TAM suggested by Davis(1985) has explained the acceptance mechanism with the following constructs: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ttitude toward use, behavioral intention and actual usage. After studying prior literature review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group of people using mobile services. The result of study claims that it has same results with previous TAM, especially between personal innovativeness and attitude toward use have strong statistical relations. On the other hand, there haven't been any statistical relations between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usefulness and between perceived usefulness and behavioral intention, either. In conclusion, use of mobile service can be promoted by developing various kinds of mobile service, designing device and interface to use mobile service more convenience and familiar, stimulating user's innovative characters and recognizing mobile service more useful in real lif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