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bile advertising expression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7초

위치 기반 서비스에 따른 모바일 광고 효과에 관한 연구 - 제품 관여도와 모바일 광고의 표현 형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Mobile Advertising Effects for Location-Based Advertisement - Focuse on both of Product Involvement and Forms of Advertising Expression -)

  • 이종호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1권4호
    • /
    • pp.109-137
    • /
    • 2012
  • 본 연구는 위치기반의 모바일 광고가 해당 제품의 관여도와 메시지의 표현형태에 따라 어떠한 광고효과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본 연구에서는 구체적으로 위치기반을 유와 무로 구분, 관여도의 경우 고관여와 저관여 그리고, 표현형태에 있어서는 텍스트 형식과 이미지 형식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광고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선행연구들의 검토를 통한 광고태도, 브랜드 태도, 구매의도를 본 연구의 종속변수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의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저관여 제품의 경우 상대적으로 고관여 제품의 경우보다 더 낮은 광고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소비자들이 모바일 광고 그 자체에 대해서 아직은 저관여 상태에 있기 때문에 기인하지 않아나 사료된다. 둘째, 단순한 문자 형식의 텍스트 광고보다는 다소 그림을 이용한 이미지 형식의 모바일 광고의 효과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다른 선행연구들과도 일맥상통하는 부분이라 할 수 있다. 셋째, 본 연구의 주요 효과의 검증이라 할 수 있는 위치기반의 유/무에 따른 모바일 광고의 효과와 관련해서는 위치기반을 이용한 모바일 광고가 그렇지 않은 광고 보다 더 효과적인 것으로 실증분석 결과 나타났다. 이는 이러한 위치기반의 상황이 해당 소비자들의 즉각적인 반응과 더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으로 유추해 볼 수 있다. 끝으로, 본 연구는 해당 마케팅 관리자 및 연구자들을 위한 시사점이 제시되고 있다.

  • PDF

온라인 패션광고의 지속가능발전 지표 평가 연구 (A Study on the Assessment of the Index for Sustainable Development of On-line Fashion Advertising)

  • 손미영
    • 패션비즈니스
    • /
    • 제20권1호
    • /
    • pp.53-68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valuate the possibility of sustainable development of online advertisements conducted by fashion companies. Factors composed of sustainable development indexes of online advertisement that had been developed in previous studies were identified, and then the relevance between purchase intention and advertisement experience was evaluated. An online survey of 573 persons in the 20 to 40 age range who own mobile phone and have experienced online advertisements of a fashion brand or a fashion company was conducted. The data collected from the survey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from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f six factors (namely,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web use infringement, advertisement expression harmfulness, advertisement expression objectivity, emotional responsibility, and environment-friendly) and 21 questions was confirmed. Second, it confirmed that consumers gave low points to the evaluation of sustainable development indexes of online advertisement of fashion companies. In particular, that consumers gave low points with regard to both environmental friendliness and web use infringement. Third, it was identified that personal indexes such as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web use infringement, and indexes relating to advertisement expressions do not directly influence the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However, social indexes like emotional responsibility and environmental friendliness do have an influence on the consumer's positive action intention.

시각인터페이스적용효과 및 공간표현을 활용한 증강현실광고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Augmented Reality Advertisement using Visual Interface Effect and Spatial Expression)

  • 진주오;장청건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626-637
    • /
    • 2019
  •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computer and digital technologies, those technologies were used in advertising. In order to meet the needs of marketing, a virtual space or character using 3D graphic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was developed and applied to advertisement.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augmented reality in terms of interface design and spatial expression of augmented reality through case study. Firstly, we wanted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s of the augmented reality advertisement and interface effects. Secondly, we wanted to find the spatial expression methods. The sample survey case studies based on 42 articles from 2012 to 2018 using Chinese and Korean site sharing augmented reality advertisement. The results of the case studies were divided into two parts. Firstly, the relationship between augmented reality types and interface effects were found basing on the augmented reality index. It means that the augmented reality index can be illustrated by using the augmented reality type. Simultaneously, the augmented reality type can be illustrated using the interface effect. The second part was that the types of display were used as a spatial representation. And the results showed that mobile display and public place display were the most frequently used.

모바일 게임의 크로스 프로모션이 소비자의 게임 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Cross Promotion in Mobile games on Consumer's Attitude toward Game adoption)

  • 박정민;용혜련;황현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112-122
    • /
    • 2016
  • 모바일 게임에 대한 소비자들의 수요가 증가하면서 게임 기업들 간의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보다 성공적인 마케팅을 위한 전략으로 많은 게임사에서는 크로스 프로모션을 적극 활용하고 있다. 모바일 게임의 크로스 프로모션 마케팅 전략은 기존 게임 인프라를 활용해 소비자에게 새로운 게임에 대한 경험을 제공하고 각 게임사가 보유한 사용자층을 활용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저비용, 고효율 마케팅 방식으로 손꼽힌다. 그러나 크로스 프로모션의 이러한 마케팅적 이점에도 불구하고 크로스 프로모션과 모바일 게임의 수용 관계를 밝히는 실증적 연구는 미비하다. 본 연구는 소비자들의 모바일 게임 수용태도에 미치는 크로스 프로모션의 영향 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소비자의 게임 수용태도에 영향요인들을 살펴보고 모바일 게임의 이미지 광고 및 크로스 프로모션 기획 및 개발에 대한 이론적, 실무적 함의를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