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bile Voting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38초

행동기반 제어방식을 위한 득점과 학습을 통한 행동선택기법 (Action Selection by Voting with Loaming Capability for a Behavior-based Control Approach)

  • 정석민;오상록;윤도영;유범재;정정주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2년도 합동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정보 및 제어부문
    • /
    • pp.163-168
    • /
    • 2002
  • The voting algorithm for action selection performs self-improvement by Reinforcement learning algorithm in the dynamic environment. The proposed voting algorithm improves the navigation of the robot by adapting the eligibility of the behaviors and determining the Command Set Generator (CGS). The Navigator that using a proposed voting algorithm corresponds to the CGS for giving the weight values and taking the reward values. It is necessary to decide which Command Set control the mobile robot at given time and to select among the candidate actions. The Command Set was learnt online by means as Q-learning. Action Selector compares Q-values of Navigator with Heterogeneous behaviors. Finally, real-world experimentation was carried out. Results show the good performance for the selection on command set as well as the convergence of Q-value.

  • PDF

모바일 투표 Dapp 실행 및 보안 이슈 (A Mobile Voting DApp Implementation and Security Issues)

  • ;박준범;박종서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90-292
    • /
    • 2019
  • 블록체인과 비트코인의 등장 이후에 스마트 컨트랙트를 갖춘 퍼블릭 블록체인 이더리움이 시작되면서 decentralization 이 전세계적으로 가속화 되고 있다. 개발자들은 이더리움의 블록체인 개발 플랫폼을 활용하여 분산화된 P2P 네트워크에서 실행되는 "분산화된 응용 프로그램 (DApp)"을 개발할 수 있고, IoT 부터 모바일까지 다양한 유형의 기기가 블록체인 분산 환경에 참여 할 수 있다. 블록체인 과 스마트 컨트랙트와 상호 작용 할 수 있는 방법은 많이 있지만, 사용자들은 편의성과 접근성의 장점으로 인해 모바일방식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그렇기에 저자는 Android 기반 투표 DApp 을 개발하였고, 그에 관련된 이슈를 연구하였다. 현재는 DApp의 개발방법이 적절하게 연구되고 표준화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 친화적인 DApp을 개발하기 위한 효율적인 방법을 연구하였다. 특히 DApp은 블록체인과 상호작용 하기 위해서 일정량의 수수료를 소비해야하기 때문에 Smart Contract 코드의 수수료 문제 및 코드의 Security 문제에 대해서 집중적으로 조사하였고, 본 논문에서는 이를 소개하고자 한다.

  • PDF

평면 추출셀과 반복적 랜덤하프변환을 이용한 다중 평면영역 분할 방법 (A Method to Detect Multiple Plane Areas by using the Iterative Randomized Hough Transform(IRHT) and the Plane Detection)

  • 임성조;김대광;강동중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57권11호
    • /
    • pp.2086-2094
    • /
    • 2008
  • Finding a planar surface on 3D space is very important for efficient and safe operation of a mobile robot.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using a plane detection cell (PDC) and iterative randomized Hough transform (IRHT) for finding the planar region from a 3D range image. First, the local planar region is detected by a PDC from the target area of the range image. Each plane is then segmented by analyzing the accumulated peaks from voting the local direction and position information of the local PDC in Hough space to reduce effect of noises and outliers and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HT. When segmenting each plane region, the IRHT repeatedly decreases the size of the planar region used for voting in the Hough parameter space in order to reduce the effect of noise and solve the local maxima problem in the parameter space. In general, range images have many planes of different normal directions. Hence, we first detected the largest plane region and then the remained region is again processed. Through this procedure, we can segment all planar regions of interest in the range image.

인공표식과 자연표식을 결합한 강인한 자기위치추정 (Self-localization of Mobile Robots by the Detection and Recognition of Landmarks)

  • 권인소;장기정;김성호;이왕헌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06-311
    • /
    • 2003
  • This paper presents a novel localization paradigm for mobile robots based on artificial and natural landmarks. A model-based object recognition method detects natural landmarks and conducts the global and topological localization. In addition, a metric localization method using artificial landmarks is fused to complement the deficiency of topology map and guide to action behavior. The recognition algorithm uses a modified local Zernike moments and a probabilistic voting method for the robust detection of objects in cluttered indoor environments. An artificial landmark is designed to have a three-dimensional multi-colored structure and the projection distortion of the structure encodes the distance and viewing direction of the robot. We demonstrate the feasibility of the proposed system through real world experiments using a mobile robot, KASIRI-III.

  • PDF

모바일 임베디드 시스템 환경에서의 복제 데이터 관리를 위한 프레임워크 (A Framework for Replicated Data Management in Mobile Embedded System Environment)

  • 변시우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3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1 (A)
    • /
    • pp.656-658
    • /
    • 2003
  • 무선 인터넷 망의 구축과 휴대용 정보기기의 일반 보급으로 이동형 정보 환경이 최근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동형 환경에서의 거래 안정성과 데이터 가용성 증대를 위한 새로운 복제 데이터 관리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위임 정족수 합의(Proxy Quorum Consensus) 모델은 불안정한 상태의 다수의 모바일 사이트에 직접적인 투표를 하지 않는 대신에, 미리 선출한 대표 정족 집단에 위임함으로써, 안정된 위임 투표(Proxy Voting)를 진행하는 제어 기법이다. 이 기법을 통하여 통신 비용 절감 및 응답 속도 향상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 PDF

모바일 콘텐츠 유통에 적합한 ID 기반 디지털 서명 기법 (The Mobile ID based Digital Signature Scheme Suitable for Mobile Contents Distribution)

  • 윤성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2권1호
    • /
    • pp.1-6
    • /
    • 2011
  •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모바일 상거래가 급속하게 성장함에 따라서 모바일 콘텐츠에 대한 저작권 보호 및 분배 문제가 주요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스마트폰은 장소에 관계없이 항상 소지할 수 있어서 활용성이 매우 높으며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을 등록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자 ID를 대표하는 수단으로 사용 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ID 기반의 디지털 서명 기법을 제안한다. 모바일 ID는 스마트폰의 USIM 정보와 사용자가 임의로 생성한 난수 값을 이용하여 생성한다. 더불어 제안한 서명 기법의 도전-응답 방식의 검증 프로토콜은 스마트폰에서 ID 기반의 모바일 투표 모바일 콘텐츠 분배 등의 응용에 적용될 수 있다.

바이오메트릭 인증 기반의 동적 그룹 서명 기법 (The Biometric Authentication based Dynamic Group Signature Scheme)

  • 윤성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49-55
    • /
    • 2016
  • 대리 인증은 제 3자에게 자신의 인증 정보를 제공하여 본인 대신 인증을 받도록 하는 것으로, 패스워드와 같이 내가 기억하는 것에 기반을 둔 인증 방법은 이러한 공격에 취약하다. 바이오메트릭 인증은 사람마다 고유한 바이오메트릭 데이터를 이용하기 때문에 대리 인증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룹 인증은 그룹 멤버들이 해당 그룹에 속해 있음을 증명하는 것이다. 전자투표, 모바일 회의와 같이 멤버의 수가 동적으로 변하는 응용에서는 그룹 상태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반영하는 새로운 인증 기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바이오메트릭 인증 기반의 동적 그룹 서명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기법은 바이오메트릭 키 생성, 그룹 공통키 생성, 그룹 서명 생성, 그룹 서명 검증 그리고 멤버 업데이트 프로토콜로 구성된다. 제안한 멤버 업데이트 프로토콜은 기존 멤버의 공모 공격으로부터 안전하고 그룹 상태를 실시간으로 반영한다.

중고령자의 모바일기기 이용능력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모바일 기반 온라인 사회참여활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Mobile Device Capability of Middle and Older Aged Adults on Life Satisfaction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mobile social participation)

  • 김수경;신혜리;김영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3호
    • /
    • pp.23-34
    • /
    • 2020
  • 본 연구는 중고령자의 모바일기기 이용능력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모바일 기반 온라인 사회참여활동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국정보화진흥원의 2018년 디지털 정보격차 실태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55세 이상 중고령자 1,665명을 대상으로 Baron & Kenny(1986)의 3step 과정을 통해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중고령자의 모바일기기 이용능력은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고령자의 모바일기기 이용능력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모바일 기반 온라인 사회참여 활동(사회적 관심사에 대한 의견표명, 정책제안 및 민원제기, 기부나 봉사활동, 온라인 투표 및 여론조사)에 의해 부분적으로 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중고령자의 스마트폰, 스마트패드와 같은 모바일기기 이용능력이 중고령자의 삶의 만족도 향상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중고령자의 모바일 기반 온라인 사회참여활동의 확대를 통해 간접적으로도 삶의 만족도에 기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연구는 노인의 모바일 기반 온라인 사회참여활동 증진과 삶의 만족도 향상을 위해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기기이용을 확대하고 중고령자의 디지털정보화수준을 향상하기 위한 실천적 개입에 기초적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서버 기반 실시간 바이오메트릭 서명 기법 (The Server based Realtime Biometric Signature Scheme)

  • 윤성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9호
    • /
    • pp.173-179
    • /
    • 2013
  • 바이오메트릭 인증은 사용자 고유의 신체 정보인 바이오메트릭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 3자에게 본인임을 입증하는 것이다. 사용자는 매 인증 세션 마다 직접 참여해야 하기 때문에 제 3자에 의한 대리 인증이 불가능하다. 바이오메트릭 서명은 인증과 달리 서명한 메시지 내용이 틀림이 없다는 것을 제 3자에게 입증하는 것이다. 서명에 사용된 개인키는 바이오메트릭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된다. 하지만 일단 생성된 서명키는 서명자가 접근할 수 있어서 제 3자에게 서명키를 임대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명자가 직접 서명에 참여해야 하는 서버 기반의 실시간 바이오메트릭 서명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기법은 대리서명이 허용되지 않는 전자 선거에서의 투표권 인증, DRM이 적용된 모바일 상거래에서의 저작권자 인증에 적용될 수 있다.

참여기구와 참여수준에 따른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유형과 시사점 (Participatory Budgeting's Types and Policy Implications by Participatory Institutions and Participatory Levels)

  • 윤성일;임동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40-53
    • /
    • 2016
  • 본 연구는 2011년에 개정된 "지방재정법"에 의해 모든 지방자치단체에서 다양한 형태로 시행하고 있는 주민참여예산제도를 참여기구와 참여수준을 중심으로 유형을 분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243개 지방자치단체의 "주민참여예산제도 운영조례"와 운영계획 및 운영체계를 분석하여 주민참여예산제도를 다섯 가지 유형으로 제시하였다. 첫째, 의견제시형 주민참여예산제도는 참여기구 없이 운영되는 형태로 100개의 지방자치단체가 이 유형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위원회형 주민참여예산제도는 주민참여예산위원회만 운영하는 형태로 85개의 지방자치단체가 이 유형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역회의형 주민참여예산제도는 주민참여예산위원회와 지역회의를 운영하고 있거나 지역위원회만을 운영하고 있는 형태로 21개의 지방자치단체가 이 유형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민관협의형 주민참여예산제도는 민관협의회를 운영하고 있는 형태로 30개의 지방자치단체가 이 유형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권한위임형 주민참여예산제도는 사업박람회 또는 모바일 참여를 운영하거나 양자를 모두 운영하고 있는 형태로 7개의 지방자치단체가 이 유형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는 의견제시형과 위원회형이 전체의 76.5%를 차지하고 있어서 제도화 수준이 높지 않은 점은 아쉬움으로 남는다. 주민참여예산제도의 발전을 위하여 더 많은 지방자치단체들이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참여기구로서 민관협의회, 사업박람회 및 모바일 참여 등을 운영하는 것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