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bile Router

검색결과 188건 처리시간 0.026초

iSCSI 기반의 무선 네트워크 연결형 가상 저장장치 드라이버 구현 및 성능 분석 (Implementation & Performance Analysis of Virtual Storage System Based on iSCSI Protocol in Wireless Networks)

  • 최새봄;임효택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0권6A호
    • /
    • pp.517-525
    • /
    • 2005
  • iSCSI(Internet Small Computer System Interface)는 블록 중심형 스토리지 접근 프로토콜로써, TCP/IP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의 스토리지를 마치 자신의 로컬 상에 있는 블록 장치처럼 접근하는 기술이다. iSCSI는 이 같은 접근을 위해 표준 이더넷 스위치와 라우터를 사용하므로 기존의 수많은 이더넷 기술의 적용은 물론 거리 제한이 없는 스토리지 확장을 가능하게 하며, 이는 곧 무선 네트워크상으로의 적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 점에 착안, 유선 기반의 원격 스토리지 접근을 목적으로 디자인 되어진 iSCSI를 최근 유비쿼터스 컴퓨팅(Ubiquitos Computing)등으로 관심이 모아지고 있는 임베디드 리눅스 장치에 탑재하여 모바일 기기가 가지는 저장 공간 제약 극복의 대안과, 상대적으로 제한된 무선 네트워크상에서 iSCSI 프로토콜의 성능을 평가 및 분석함으로써 그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유비쿼터스 통신 환경을 위한 네트워크 이동성 지원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Network Mobility Support for Uniquitous Communication Environment)

  • 이호선;김성철;조용범;조성준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7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589-592
    • /
    • 2007
  • 유비쿼터스 환경은 사용자가 시간과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자유롭게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환경을 말한다.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끊김 없는 인터넷 연결을 위해서는 단말의 이동성이 필요하다. 사용자들은 단말을 가지고 버스, 기차, 비행기와 같은 이동 수단을 이용하면서 인터넷에 접속하고자 하는데, 차량 안에 위치한 여러 단말들에 대한 이동성 지원은 각각의 단말을 지원하는 것보다는 하나 혹은 여러 개의 서브넷을 구성하여 단말 이동성과 함께 네트워크 이동성을 지원하는 것이 훨씬 효과적이다. 이에 따라 IETF에서는 네트워크 이동성을 제공하기 위해 Network Mobility 워킹그룹을 구성하여 관련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네트워크 이동성을 제공하기 위해 IETF에 의해 표준화된 Network Mobility Basic Support Protocol을 기본으로 네트워크 이동성의 개념, 연구 동향 및 제안된 기술에 대하여 고찰한다.

  • PDF

계층 구조에서 F-SNOOP을 적용한 선택적 버퍼링 매크로 핸드오버 (Slective Buffering Macro Handover Which Applies The F-SNOOP in Hierarchical structure)

  • 안치현;김동현;김형철;유황빈;이대영;전계석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1권5B호
    • /
    • pp.413-420
    • /
    • 2006
  • HMIPv6는 MAP(Mobility Anchor Point)라고 불리는 프로토콜 요소를 도입하여 로컬 핸드오버 시 MN(Mobile Node)에 대한 전송 지연과 외부 네트워크로의 시그널링 로드를 줄이는데 그 의미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로컬지역의 핸드오버가 아닌 메크로 핸드오버의 경우 기존의 MIPv6의 핸드오버를 그대로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패킷손실과 전송 지연에 대한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계층적인 구조에서 매크로 핸드오버 발생 시 CN와 MN 사이의 거리, NAR(New Access Router)와 MN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여 기준값을 생성하고 그에 맞는 버퍼링 핸드오버를 선택하는 메커니즘을 제안한다. 또한 그러한 핸드오버에 알맞은 무선망에서의 성능개선을 위해 F-SNOOP을 도입한다. 무선망은 패스로스, 페이딩, 잡음, 간섭 등의 이유로 높은 에러율의 특성을 갖고 있어 혼잡과 무관하게 많은 패킷 손실이 발생하고 있다. TCP는 이를 혼잡으로 여겨 혼잡제어를 하여 패킷 전송율이 낮아지는데 F-SNOOP은 SNOO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핸드오프 시 혼잡제어지연 기법인 Freeze-TCP의 ZWA(Zero Window Advertisement) 메시지를 이용하여 무선망의 TCP의 성능을 향상시킨다.

Adaptive Differentiated Integrated Routing Scheme for GMPLS-based Optical Internet

  • Wei, Wei;Zeng, Qingji;Ye, Tong;Lomone, David
    • Journal of Communications and Networks
    • /
    • 제6권3호
    • /
    • pp.269-279
    • /
    • 2004
  • A new online multi-layer integrated routing (MLIR) scheme that combines IP (electrical) layer routing with WDM (optical) layer routing is investigated. It is a highly efficient and cost-effective routing scheme viable for the next generation integrated optical Internet. A new simplified weighted graph model for the integrated optical Internet consisted of optical routers with multi-granularity optical-electrical hybrid switching capability is firstly proposed. Then, based on the proposed graph model, we develop an online integrated routing scheme called differentiated weighted fair algorithm (DWFA) employing adaptive admission control (routing) strategies with the motivation of service/bandwidth differentiation, which can jointly solve multi-layer routing problem by simply applying the minimal weighted path computation algorithm. The major objective of DWFA is fourfold: 1) Quality of service (QoS) routing for traffic requests with various priorities; 2) blocking fairness for traffic requests with various bandwidth granularities; 3) adaptive routing according to the policy parameters from service provider; 4) lower computational complexity.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DWFA performs better than traditional overlay routing schemes such as optical-first-routing (OFR) and electrical-first-routing (EFR), in terms of traffic blocking ratio, traffic blocking fairness, average traffic logical hop counts, and global network resource utilization. It has been proved that the DWFA is a simple, comprehensive, and practical scheme of integrated routing in optical Internet for service providers.

MPLS와 멀티캐스트 융합을 통한 Video Stream 방송 전송 최적화 (MPLS and Video Stream broadcast multicast transport optimization through convergence)

  • 황성규;한승조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1330-1336
    • /
    • 2014
  • QoS기술과 전송기술의 고도화로 실시간 통신과 다양한 응용서비스가 가능하며 요즘 모바일기기의 보급화와 LTE기술의 발전으로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고품질 구현이 가능하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단순히 대역폭 확장과 라우터 증가와 라우팅 테이블의 증가를 고려하여 망의 확장성 문제가 포함되어진다. 트래픽 폭주에 따른 데이터를 분산할 수 있는 환경이 중심이 되어야 된다. 그러기 위해서는 현재 수신지 기반 라우팅 방식을 송신지 기반 (Source routing )의 라우팅 설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IETF에서 발표한 표준화인 IP스위칭 방식 기반의 레이블 스위칭 프로토콜인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MPLS)을 이용하여 기존망의 Best Effect로 멀티미디어 전송에 QoS보장이 힘든 환경을 최적화된 MPLS망을 이용 QoS를 보장하여 멀티캐스트를 전송하도록 한다.

OneNet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 실시간 홈 보안 시스템 (OneNet Cloud Computing Based Real-time Home Security System)

  • 김강철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101-108
    • /
    • 2021
  • 본 논문은 스마트폰으로 집 내의 상태를 제어하는 OneNet 클라우드 플랫폼 기반 실시간 홈 보안 시스템을 설계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로컬과 클라우드 지역으로 구분된다. 로컬 지역은 I/O 디바이스, 라우터와 센서 데이터를 수집, 모니터링하고 클라우드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라즈베리파이로 구성되며, 라즈베리파이에 플래스크 웹 서버가 구현된다. 사용자가 집에 있을 경우 플래스크 웹 서버를 통하여 직접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다. 클라우드 지역에서 사용되는 플랫폼은 중국 통신회사의 OnetNet이며, 원격 접속 서비스를 제공한다. 스마트폰에서 사용자와 홈보안 시스템 사이의 통신을 위하여 하이브리드 앱이 개발되고, 센서 데이터와 비디오스트림을 전송하기 위하여 EDP와 RTSP 프로토콜을 파이썬 언어로 구현한다. 구현된 시스템에서 사용자는 스마트폰으로 센서 데이터. 비디오스트림과 위험이 발생시에 경고 문자를 받을 수 있고, OneNet 클라우드를 통하여 원격으로 집 내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다.

MANET에서의 네트워크 수명을 연장시키는 위치기반 라우팅 기법 (A Geographic Routing Algorithm to Prolong the Lifetime of MANET)

  • 이주영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119-125
    • /
    • 2010
  • 동적으로 연결되어 자치적인 네트워크 망을 형성하는 에드 혹 네트워크에서는 이동 단말들이 협업하여 기지국의 도움 없이 망을 형성하며 제한된 에너지 자원을 가지고 있다.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단말기들은 라우터 역할을 수행하므로 잦은 데이터 전송 등에 의해 에너지가 고갈되면 라우터 수가 감소하게 되어, 전체 네트워크는 통신 장애를 초래하게 되며 네트워크 수명이 단축될 수 있다. 그러므로, 네트워크 수명을 최대화 하기위해 이동 호스트들의 균형있는 에너지의 소모에 관한 문제는 라우팅에 있어서 중요한 문제가 된다. 본 논문에서는 지역 정보를 이용하여 라우팅 경로를 형성하고 경로 탐색에 대한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는 위치 기반 지역적 라우팅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전송 에너지, 링크 에러율, 각 노드의 잔여 에너지 등을 고려하여 다음 이웃 노드를 선택하여 경로를 형성하므로 노드들 간의 균형된 에너지 소비를 가능하게 하여 네트워크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방법이다.

이동 애드혹 네트워크에서 DSR 프로토콜을 위한 경로 축소 방법 (A Route Shortening Mechanism for DSR protocol in Mobile Ad-Hoc Networks)

  • 하은용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정보통신
    • /
    • 제34권6호
    • /
    • pp.475-482
    • /
    • 2007
  • 이동 무선 애드-혹 네트워크에서 이동 노드들은 일반적인 호스트 기능뿐만 아니라 이동 노드의 위치 변화에 따른 네트워크 토폴로지가 변화는 상태에서 데이타 패킷 전달의 역할도 수행하는 라우팅 기능을 수행한다. 이런 애드-혹 네트워크를 위한 라우팅 프로토콜이 여러 가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여러 제안된 프로토콜 중에서 네트워크에서 라우팅으로 인한 프로토콜 오버헤드가 작은 요구/응답 방식으로 동작하는 DSR 프로토콜을 대상으로 성능을 향상시키는 새로운 경로 축소 방법을 제안했다. 기존 경로 축소 방법은 소스 경로 상에 있는 노드만이 경로 축소에 참여하는데 반해, 본 논문에서 소스 경로 밖에 있는 인접 노드들도 청취한 패킷으로부터 수집한 정보를 경로 캐쉬로 관리해서. 저장된 캐쉬 경로 정보를 토대로 진행 중인 연결에 대해 더 짧은 경로를 발견한 경우에 기존 경로 대신 새 경로를 사용하도록 경로 축소 작업을 수행하는 방법을 제시했다. ns2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결과, 제안한 방법이 이동 노드의 위치 변화가 활발한 경우에 기존 방법보다 경로 축소 횟수가 많이 발생했고, 또한 토폴로지의 변화에 대해 신속한 경로 축소를 수행해서 패킷 전송 성공률도 높아졌음을 확인했다. 즉, 약간의 프로토콜 오버헤드를 치루고 노드의 이등성에 따라 두 배에서 다섯 배 정도의 경로 축소로 신속한 패킷 전송과 전체적인 노드의 에너지 소모를 줄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