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bile Phone Big Data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24초

Mobile Healthcare System Based on Bluetooth Medical Device

  • Kim, Jeong-Heon;Lee, Seung-Chul;Lee, Boon-Giin;Chung, Wan-Young
    • 센서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41-248
    • /
    • 2012
  • Recently healthcare industry such as pharmaceutical, medical device and healthcare service technology is growing significantly. Mobile healthcare has attracted big attention due to IT convergence technology. Paradigm of healthcare has been changed from the 1st generation(communicable disease prevention) and the 2nd generation(treatment of disease due to extended life expectancy) to the 3rd generation(extended life expectancy due to prevention and control). In our study, we suggest the 3rd generation mobile healthcare system using Bluetooth based wearable ECG monitoring system and smart phone technology. The mobile healthcare system consists of wearable shirts with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ECG sensor, battery, and mobile phone. The ECG data is obtained by a miniaturized sensor and the data is transferred to a mobile phone using Bluetooth communication. Then, user can monitor his/her own ECG signal on an application using Android in mobile phone. The Bluetooth communication device is used due to highly reliable data transmission property and the Bluetooth chip is embedded in every mobile phone. The wearable shirts with chest belt of Bluetooth ECG module is designed with a focus on convenience in the daily life of a wearer. The ECG signal evaluation software in Android based mobile phone is developed for the health check and the ECG signal variation is tested according to the activities of the wearer such as walking, climbing stairs, stand up and sit down, and so on.

통신 빅데이터를 활용한 통행시간예산 산출 연구 (A Travel Time Budget Estimation Using a Mobile Phone Signaling Data)

  • 정연식;남상기;송태진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8권3호
    • /
    • pp.457-465
    • /
    • 2018
  • 본 연구는 개인 휴대전화와 통신 기지국 간에 발생하는 신호 자료(mobile phone signaling data: MPSD) 기반 통행시간예산(travel time budget: TTB) 산출 방법을 소개한다. 연구를 위해 사용된 데이터는 (주)케이티(KT)에서 2016년 5월 19일부터 2016년 5월 26일까지 서울특별시 마포구 3개 동과 세종특별자치시가 상주지로 분류된 사용자를 대상으로 수집된 44,781,693건이다. TTB 산출은 Data-Driven 방식으로 진행되며 MPSD에 다양한 전처리 작업을 통해 진행되었다. 그 결과 마포구와 세종시의 TTB는 각각 82.94분과 80.70분으로 나타났으며, 도출한 결과를 평가하기 위해 기존 연구 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향후 교통분야 MPSD 활용을 위한 초석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Building Smarter City through Big Data - Best Practices in Seoul Metropolitan Gov.

  • Kim, Ki-Byoung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19-20
    • /
    • 2015
  • Since 2013,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SMG) has introduced big data initiatively in administration and put into practices in transportation, safety, welfare in order to overcome limited resources and conflicting interests. For establishing a new midnight bus service, SMG prepared optimized midnight bus routes by analyzing big data from mobile phone Call Data Record (CDR) through collaboration with a telecommunication company. Despite of limited budget and resources, newly identified routes can cover over 42% of the citizen with 9 routes and less than 1% of buses compare with day time operation. In addition to solve transportation problem, SMG utilizes big data to resolve location selection problem for choosing new facility locations such as life double cropping centers and senior citizen leisure centers. As results, SMG demonstrates big data as a good tool to make policies and to build smarter city by overcome space-time limitation of resources, mediation of conflicts, and maximizes benefit of the citizen.

  • PDF

빅데이터 기반의 모빌리티 분석 (A Trip Mobility Analysis using Big Data)

  • 조범철;김주영;김동호
    • 한국빅데이터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85-95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통신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종점통행량 등 교통 모빌리티를 분석하는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모바일 기지국 위치정보 기반의 통신 데이터를 이용하여 개인의 통행사슬(Trip Chain) DB를 구축하고 일별 통행 패턴을 추출하여 통행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의 신뢰성 제고를 위해서 기지국의 영향권을 맵 매칭하고, 통신 데이터가 가지는 Ping pong Handover 문제를 보정하는 로직을 개발하였으며, 기지국 영향권 내에서 Pass By와 Stay를 구분하는 분석기준을 제안하였다. 개발된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전국 지역 간 통행, 도시 및 지방 지역의 통행 발생과 분포를 추정하고 기존의 전통적인 분석방법론과 비교 검증하였다.

통신사 빅데이터를 활용한 코로나 전염병 전후 대구 대학가 유동인구 분석 - 서울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Using Mobile Phone Data, Analyzing Floating Population Near University Areas in Daegu, South Korea, before and after Covid-19 - with a focus on Comparisons with Seoul)

  • 김재훈;손지훈;박한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62-70
    • /
    • 2022
  • 이 연구는 통신사 유동인구 데이터를 활용하여 코로나 기간 전후 대구의 대학가 유동인구 변화를 집중적으로 분석하였다. 이 과정에서 서울 대학가와 비교하면서, 대구에서 나타난 현상의 특징을 파악하였다. 연구 대상은 비슷한 재학생 수를 지닌 경북대와 고려대로 선정하였다. 통신사 데이터를 제공하는 공공 웹사이트에서 각 대학 소재지 인근의 유동인구를 수집하였다. 데이터를 시각화하여 두 도시 간 유동인구에서 나타난 차이를 분석하였다. 통계적 검정을 위해 T-검정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시간에 따른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기간을 나누어 선형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2020년 상반기에서는 두 도시의 패턴이 유사하였지만, 하반기 코로나의 확산세가 안정된 대구는 유동인구가 2019년 대비 오히려 증가하였고 서울은 감소한 형태를 나타냈으며, 단기적인 선형성 또한 관찰할 수 있었다. 연구를 통해서 도시의 특성과 코로나의 확산 정도 등에 따라 유동인구가 변화하는 패턴을 확인하였다.

모바일 플랫폼에서 MTM을 이용한 보안영역 제공 및 인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oviding Secure Storage and User Authentication Using MTM on Mobile Platform)

  • 이선호;이임영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8C권5호
    • /
    • pp.293-302
    • /
    • 2011
  • 무선 통신 기술의 발달을 통해 스마트폰을 이용한 다양한 정보 서비스를 빠르게 받을 수 있게 되었다. 스마트 폰은 기존에 사용되고 있던 피처폰에 비하여 더 강력한 컴퓨팅 능력을 제공하며, 웹서핑, 문서 편집, 비디오 시청 그리고 게임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스마트폰의 높은 활용성에 따라 수많은 개인정보가 단말기에 저장되고 있으며, 이의 분실 및 도난에 따른 개인정보 유출은 큰 문제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에 제공되는 스마트폰 모바일 플랫폼의 보안영역 제공 및 인증 방법에 대하여 분석하고 요구사항을 도출하였으며, 보안 요구사항을 만족하는 보안 기술을 제안한다. 제안방식은 인증 우회가 불가능한 보안영역을 제공하며, 보안영역에 접근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의 손상으로부터 가용성을 제공한다.

iPhone7을 중심으로 한 아이콘 디자인에 대한 연구 (A Study on Mobile Icon Design of iPhone7)

  • 김정희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34호
    • /
    • pp.367-386
    • /
    • 2014
  • 과학기술의 눈부신 발전은 디지털 기기의 콘텐츠 및 디자인의 다양성과 변화로 이어졌으며 여기에서 파생되는 UI, UX, GUI 디자인은 세분화된 디지털 디자인의 창조 및 발전으로 거듭났다. 이런 다양한 디지털 매체의 디자인은 도스 이후의 윈도우의 시작과 함께 생겨났으며 이는 마우스라는 혁신적인 도구의 개발로 인해 가능했다. 이러한 환경 안의 디지털 매체 디자인의 중심에는 모든 콘텐츠 및 버튼, 입구를 상징하는 아이콘이 있으며 모바일, 앱, 윈도우환경에서 필수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 이러한 아이콘은 윈도우 초기 시절부터 다양한 발전을 거듭하였으며 이는 디지털 과학기술의 발전과 함께 하였다. 디자인 트렌드분석은 스큐어모피즘에서 부터 플랫된 형태 그리고 미니멀리즘으로 되돌아오기까지의 아이콘의 디자인의 변천을 분석한다. 분석 범위는 트렌드와 기기의 성능에 민감한 모바일을 대상으로 분석하며 Kress's grammar of visual design의 분석틀을 기본으로 한다. 특히 iPhone의 IOS7디자인이 애플의 대표 디자인 트렌드인 스큐어모피즘을 접고 미니멀리즘, 플렛 디자인을 채택해 큰 변화를 겪는 현 시점에서 모바일 앱시장의 GUI 디자인 기초 동향 파악 자료로 활용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Emerging Internet Technology & Service toward Korean Government 3.0

  • Song, In Kuk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8권2호
    • /
    • pp.540-546
    • /
    • 2014
  • Recently a new government has announced an action plan known as the government 3.0, which aims to provide customized services for individual people, generate more jobs and support creative economy. Leading on from previous similar initiatives, the new scheme seeks to focus on open, share, communicate, and collaborate. In promoting Government 3.0, the crucial factor might be how to align the core services and policies of Government 3.0 with correspoding technologies. The paper describes the concepts and features of Government 3.0, identifies emerging Internet-based technologies and services toward the initiative, and finally provides improvement plans for Government 3.0. As a result, 10 issues to be brought together include: Smart Phone Applications and Service, Mobile Internet Computing and Application, Wireless and Sensor Network, Security & Privacy in Internet, Energy-efficient Computing & Smart Grid, Multimedia & Image Processing, Data Mining and Big Data, Software Engineering, Internet Business related Policy, and Management of Internet Application.

공간 빅데이터를 위한 동태적 시각화 모형의 개발과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Dynamic Visualization Model for Spatial Big Data)

  • 김동한;김다윗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57-70
    • /
    • 2018
  • 빅데이터 시대로 진입하게 되면서 전 세계적으로 생산 및 공유되어지는 무수한 양의 데이터를 활용하고자 하는 노력이 곳곳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이러한 데이터와 발전된 기술을 통해 국토와 도시 공간에서 일어나는 현상들을 분석함으로써 기존의 전통적 방식에서 보여주지 못하던 새로운 정보를 제공 할 수 있는 가능성과 이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다. 따라서 기존의 틀을 넘어서는 정보의 구득 방식, 활용 및 전달을 위한 과학적이고 효과적인 방법과 수단이 필요하며 이를 공공의 의사결정의 지원수단으로 활용하려는 노력도 함께 요구된다. 이 연구는 국토도시계획지원(planning support)의 한 수단으로 공간 빅데이터의 동태적 시각화 모형의 개발과 실증적용에 주요한 목적을 두고 수행하였다. 주요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데이터 시각화의 개념과 의미와 함께 계획지원 또는 의사결정에서의 공간 빅데이터 시각화의 적용이 가지는 효용성을 살펴보고 시사점을 고찰하였다. 둘째, 공간 빅데이터 동태적 시각화 모형을 개발하고, 제주도를 대상으로 실증적용을 수행하였다. 도시 공간의 현황 파악과 문제 해결을 지원하기 위한 데이터의 시각화 자체는 새로운 것은 아니다. 그러나 빅데이터와 새로운 시각화 툴을 활용할 경우 기존의 방식과는 차별되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위와 같은 내용을 바탕으로 향후 계획지원을 위한 데이터 시각화의 활용성을 체계적으로 검토하고, 이를 확대하기 위한 방안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Personalized Seamless 라이프스타일 케어 스마트홈 서비스디자인 연구 : 포노 사피엔스 시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ersonalized Seamless Smart Home Service Design for Life-style Care in Phono Sapience era)

  • 박의정;김정우;최재붕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1-14
    • /
    • 2020
  • Mankind has been attempting to live a happy and safe family life in a residential space. Due to the advent of the mobile phone in the 1990s and the smart phone in the 2000s, when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age came, human life has been innovatively changed. The revolution of human civilization led to the Neolithic Revolution and the Iron Age, followed by a smart phone revolutionizing human life, and the revolution faces with the era of info-communication, smart phones became a daily life an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an era of info-communication technology (ICT), creating a new paradigm across human life through technological development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AI), IoT, big data, mobile, and cloud. The smart home is actively researched in a direction to support the overall human life as a representative future residential culture paradigm. However, the study considering the needs according to the lifestyle,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each living space and human lifestyle of the Phono Sapiens era where smart phones live like daily life was relatively insufficient. In addition, research on smart home service design should be considered from the apartment residential space planning stage. Therefore,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suggesting the direction of research on human-centered smart home service desig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living space and resident's life-style in the smart phone er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