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bile Mental Health Care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4초

대학생을 위한 정신건강 자가관리 어플리케이션 개발 (Development of Mental Health Self-Care App for University Student)

  • 강광순;노선식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25-34
    • /
    • 2019
  •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정신건강 자가관리를 위한 모바일 앱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로, 대상자의 요구를 반영하여 개발하기 위해 사용자 중심 설계를 이용하였다. 사용자 중심설계란 대상자에게 적합하게 적용하기 위해 대상자 요구도 사정-분석-설계-개발-평가-수정 및 보완-적용하는 연구설계이다. 대학생들의 정신건강 자가관리를 위해 이들의 주요 정신건강 문제인 음주·수면·우울·스트레스 등 4가지 영역으로 구성하였다. 각 영역별 현재 상태에 대한 자가테스트 콘텐츠, 점검 결과 분석 및 알림, 현재 상태에 대한 관리 방안 제시 등이 가능하도록 설계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안드로이드 기반 정신건강 자가관리 앱을 개발하였다. 대상자가 자신의 정신건강 상태자료를 입력함으로써 각각의 결과에 대한 정상 혹은 위험 정도를 설명하고 이에 따라 대상자는 자신이 수행할 수 있는 적절한 중재법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4가지 영역에 대한 현재 상태를 일자별로 나타낼 수 있는 정신건강자가관리 캘린더와 현재상태를 애니메이션과 상태바를 통해 통합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대상자 중심으로 다가갈 수 있는 정신건강 중재로, 지속적이고 더 향상된 프로그램으로 개선할 수 있는 정신건강 자가관리 앱 개발의 기초적인 연구로서 시도하였다.

정신건강 증진과 자살예방을 위한 ICT 융합 국내외 사례 연구 (Domestic and Foreign Case Studies on ICT Convergence for Mental Heath Improvement and Suicide Prevention)

  • 김호경;신동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592-606
    • /
    • 2015
  • 전 연령층에 걸친 우울증 및 정신질환과 꾸준한 자살률 증가는 정부경쟁력을 크게 떨어뜨리는 심각한 사회문제이다. 정부는 정신건강을 증진시키고 자살을 예방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실시하고 있으나 시행과정 및 연계 관리 체계 등에서 여러 문제점들이 제기된다. 본 연구는 정신건강분야에 있어 ICT 융합방안의 실태와 방향성을 파악하기 위해 국내외 사례를 살펴보았다. 미국과 영국에서는 ICT를 융합한 원격 정신치료서비스를 지역노인, 소아청소년, 취약계층 등에 제공하고 있다. 국내는 노인자살을 방지하기 위해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응급알림 장치를 설치하거나 우울증과 치매 완화를 위한 기술이 개발 중에 있다. 고령화시대에 사회경제적 비용을 줄이고 보편적 복지실현을 위해 ICT 융합 정신건강관리 서비스가 필요하다. 이에 원격정신진료와 관련하여 첨예하게 갈등을 보이는 의료법과 의료기기에 대한 사회적 합의, 생애전주기에 걸쳐 이용자의 정신적 특성을 고려한 효과성 연구, 인구 밀집도와 의료접근성이 낮은 지역 중심의 특화된 정책 등이 제고되어져야한다.

Correlation betwee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and Mental Health Level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for U-mental Healthcare

  • Choi, Hye-Jung;Woo, Hee-Su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3호
    • /
    • pp.167-174
    • /
    • 2019
  • It is a descriptive study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and mental health of some female college students. We analyzes 433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from March to June 2017 for female students who enrolled in three-year college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South Korea. The conclusion is as follows. We used IBM SPSS Statistics 22.0(SPSS Inc., Chicago, IL, USA) for the analysis by person's characteristics, t-test and one way ANOVA,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The second-year grade shows higher points than the first-year grade i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and mental health level(p<0.001, p<0.05). In addition, when students has the higher level of the household as the humanities students, they have higher level of mental health level(p<0.001).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affecting the mental health level of female college students are domestic economic level and cosmetic management behavioral factors. The level of mental health was higher in the middle and upper group of the domestic economic level. When they do more cosmetic management behavior, they have lower the mental health level. In conclusion, it is deemed necessary for students to attend intensive and sufficient counseling with an academic advisor. The continuous attention through school counseling management services depending on grade, domestic economy level, and cosmetic management behavior is necessary in order to enhance the level of mental health for female students. In addition to that, the college needs to develop individual customized psychology counseling and educational programs through U-mental healthcare service in order to lessen the great pressure of sensitive information and provide mental consultation. The college needs to consider students' characteristics and needs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considered that a smart mental healthcare program will be needed to identify mental health of the individual through the systematic approach.

일 지역 이동형 방문보건 전산시스템의 재구축과 활용의 효과 (The Effects of a Mobile Computerized System for Individual Tailored Home Care Services in a City)

  • 박남희;장랑;김정영;김명수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71-81
    • /
    • 2012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rocess and outcome of a mobile computerized system for individual home visiting healthcare.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design was employed for this study. The newly constructed system was administered to 80 healthcare provid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for 8 weeks.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analysis, t-test, and ANCOVA with the SPSS 18.0 program. Results: In the process stage, the difference in the frequency of computerized information usage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as significant as $8.88{\pm}3.20$ and $7.08{\pm}2.92$, respectively (t=3.90, p<.001). In the outcome evaluation stage, all kinds of healthy lifestyle such as alcohol use, nutrition, weight management and mental health were not improved.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revised mobile computerized system was an effective device for individual visiting healthcare providers. Further advanced strategies for using this system should be developed and applied in a broad range of community healthcare.

Smart Home Healthcare Device based on Ubiquitous Communication

  • Kim, Keun-Young;Cha, Joo-Hun;Park, Mig-Non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3년도 ICCAS
    • /
    • pp.2235-2239
    • /
    • 2003
  •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and develop enabling technologies for home healthcare device with ubiquitous network. The motivation of this paper is to enable healthcare in home, to development the device for smart home health care. To achieve the aim, we must develop the prototype platform based on home gateways, distributed context user interface based on UPnP and support for information sharing with high speed power line communication and mobile infra-structures. And IPv6 is the base technology of this platform. In this paper, we concern that physical health, mental health and medical emergencies is all of home healthcare. With the smart device, we evaluate the connectivity, automatic information extraction and private data exchange and event driven message. The result of this paper is demonstration of smart device for ubiquitous communication in a healthcare application such as patient monitoring device and several information services. In conclusion, home healthcare will support more healthy and easy living for a human.

  • PDF

서울특별시장애인치과병원 이동검진기관 장애인들의 구강건강조사 (THE MOBILE ORAL HEALTH SURVEY OF THE DISABLED IN FACILITIES IN SEOUL)

  • 이효설;김혜정;남선회;김민선;유혜선;백승호
    •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9
    • /
    • 2012
  • Mobile oral exam at the facilities for the disabled in Seoul is to improve the oral health of the disabled who can hardly approach dental clinic. We analyzed 1609 oral exam records at 24 facilities (11 special-education schools, 10 living facilities, 2 mental hospitals, 1 health care facility for the elderly) in 201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oral health state of the disabled in facilities in Seoul and to compare with the non-disabled in National Survey 2010 and 2008. 1. Special-education school : DMFT index of age 15 is 5.4 which is higher than 3.6 (DMFT index of age 15) of National Survey in 2010. 2. Living facility : DMFT index of ages 35~44 is 8.4 which is higher than 5.2 (DMFT index of ages 35 ~44) of National Survey in 2008. DT rate is higher (31.3% vs 19.2%) and MT rate is lower (7.6% vs 15.5%). 3. Mental hospital : DMFT index of ages 35~44 is 11.3 which is higher than 5.2 (DMFT indext of age 35~44) of National Survey in 2008. DT rate is significantly higher (50.7% vs 19.2%) and FT rate is lower (35.1% vs 65.3%). 4. Health care facility for the elderly : DMFT index of ages 65~74 is 7.1 which is slightly lower than 8.7 (DMFT index of ages 65~74) of National Survey in 2008. The number of existing natural teeth is similar (16 vs 18).

청년층의 우울증 개선을 위한 감정 인식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제안 (A Proposal of Emotion Recognition Mobile Application to Improve Depression in Young People)

  • 박재완;최복규;이상원;이현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594-606
    • /
    • 2020
  • 우울증에 대한 사회적 문제가 꾸준히 제기되는 것과 반대로 정신치료에 대한 부정적 인식 때문에 정신건강을 스스로 돌보는 이는 소수에 불과하다. 본 연구에서는 우울증을 방치하지 않도록 자동 감정인식 시스템을 도입한 애플리케이션의 서비스 디자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제안한다. 먼저, 문헌 연구와 사례 분석을 통해 기존 앱의 사용성 개선사항을 도출하고, 청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여 우울증을 자각하지 못하고 있는 사용자에 대한 퍼소나를 제작하였다. 우울증 개선 서비스 디자인의 필수 요소로 다이어리 작성 권장, 아바타 관리를 통한 본인의 감정 상태 인지, 인지체계 개선을 위한 감정 포인트 추적기능을 제시한다. 본 제안을 통해 우울증의 발전을 방지하고, 우울증에 대한 인식변화와 경도 우울증을 스스로 해소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한다. 궁극적으로 정신건강 관리 애플리케이션 디자인의 필요성 확산과 정신치료를 위한 개인적, 사회적 비용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스마트 헬스를 위한 마이닝 기반의 정신 건강과 혈압 관리 서비스 (Mining based Mental Health and Blood Pressure Management Service for Smart Health)

  • 정은진;김주창;정호일;유현;정경용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13-18
    • /
    • 2017
  • 유비쿼터스 스마트 헬스케어에서 융합기술 급격히 발달하고, 이동식 모바일 장치가 보급됨에 따라 사용자는 스마트 헬스 플랫폼을 통해 의료 정보를 손쉽게 얻을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급격한 산업화, 웰니스 케어, 고령화 사회, 정보화 사회, 질병양상 및 생활습관의 변화, 의약분업 실시 등에 따라, 사용자 중심의 건강관리 및 건강증진 콘텐츠가 제공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헬스를 위한 마이닝 기반의 정신 건강과 혈압 관리 서비스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마이닝 기반의 스마트 헬스 플랫폼에서 정신 건강관리 서비스와 혈압관리 서비스를 만성질환자를 위해 제공한다. 사용자는 PHR 기반의 스마트 헬스 플랫폼에서 시간과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최적화된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제안한 마이닝 기반의 정신 건강과 혈압 관리 서비스의 성능평가 결과, F-검증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인다.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모바일 기반 사용자 피로도 측정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mobile user fatigue measurement system using smart wearable device)

  • 김나연;김동근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2357-2364
    • /
    • 2017
  • 최근 건강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건강상태를 모니터링 하기 위한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활용되어 오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동된 피로도 측정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충분히 휴식을 취하면 회복되는 신체적인 피로도와는 달리 정신적인 피로도는 일의 능률이나 집중력을 떨어트릴 수 있으므로 측정을 통해 정신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본 시스템은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계측한 데이터를 스마트폰으로 전송하고 정신적인 피로도를 계산해주는 기능을 제공한다. 피로도를 측정하기 위한 피로도 인덱스를 개발하여 1부터 5까지의 수치로 표현하였다. 또한 피로도 계산 결과와 설문조사 결과와 비교하여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값이 나왔다. 본 시스템은 사용자들이 건강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데에 활용될 것이다.

공황장애 케어를 위한 디지털 치료제 어플리케이션 개발 (Development of Digital Therapeutics Mobile Application for Panic Disorder Care)

  • 윤주희;김동근
    • 정보처리학회 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319-325
    • /
    • 2024
  • 본 연구는 공황장애 케어를 위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여 공황 발작 예방 및 증상 관리를 돕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공황장애란 지속적인 두려움과 불안, 공황발작 등의 증상을 가지는 심리적 장애로 적절한 치료 및 관리를 필요로 하는 정신질환 중 하나이다. 이에 시공간적 제약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가 케어를 받을 수 있는 디지털 치료제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연구를 통해 개발된 어플리케이션은 공황장애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자가진단을 통해 상태를 점검할 수 있으며, 다양한 치료법을 제공하여 공황장애 케어를 효과적으로 돕는다. 또한, 사용자 실시간 위치를 기반으로 하여 공황을 일으킨 경험이 있는 장소에 도달할 시 알림을 제공함으로써 개인맞춤형 지원을 제공한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디지털 치료제를 통해 전통적 치료법에서 벗어난 새로운 도구와 치료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더 나아가 공황장애 뿐만 아니라 정신건강 전 분야에서 디지털 치료제 활용을 도모하며, 사용자들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