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ak Provincial Park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5초

모악산 도립공원의 양서류 다양성 및 서식환경 분석 (The Analysis of Amphibia Biodiversity and Habitat in the Moak Provincial Park)

  • 정규회;심재한;송재영
    • 환경생물
    • /
    • 제19권4호
    • /
    • pp.278-281
    • /
    • 2001
  • 모악산 도립공원의 양서 ${\cdot}$ 파충류에 대한 생태측정 및 서식환경 분석을 하였다. 이 중 서식환경은 활엽수림, 침엽수림, 식재림, 그리고 기타지역(웅덩이, 호수, 논, 하천 및 강 등)으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그 결과 양서류는 총 1목 4과 8종이 관찰 및 채집되었다. 양서류의 생물다양성 지수 조사는 종 풍부도가 1.270, 다양도는 1.77, 그리고 균등도가 0.853으로 나타났으며 서식환경을 살펴보면, 활엽수에서 42.1.%rk 관찰되었으며, 침엽수에서 11.3% 식재림에서 1.6%, 그리고 기타지역에서 45.0%가 관찰되었다.

  • PDF

母岳山 道立公園 植物群集의 分類와 多次元分析 (Classification and multidimensional analysis of plant communities mt. moak provincial park, korea)

  • Kim, Jeong-Un;Yang-Jai Yim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6권1호
    • /
    • pp.1-15
    • /
    • 1993
  • Ordination and classification techiques were used to analyze the forest communities and to examine the integration problem of community-to-ecological species group in mt. moak provincial park of korea. phytosociological classiication based on floristic composition produced seven commuities of zelkova serrata, carpinus densiflora. These seven communities were well discriminated in the two-dimensional analyses of soil moisture, soil organic matter content and temperature(elevation), eciprocally, and in three-dimensional space of the three environmental factors also. They corresponded to seven ecological groups derived from the distribution pattern analysis of species populations in this mountain.

  • PDF

環境傾度에 의한 母岳山 植物個體群의 分布類型 (Distribution patterns of specice populations along the environmental gradients in mt. moak provincial park, korea)

  • Kim, Jeong-Un;Yim, Yang-Jai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5권4호
    • /
    • pp.365-375
    • /
    • 1992
  • The environmental gradient analyses were applied for the distribution patterns of species populations in mt. moak provincial park in korea. The species populations were sequentially ordered along the environmental gradients such as soil moisture, soil ph, soil organic matter content and elevation and were grouped into seven ecological groups by the two-dimensional analyses of temperature-moisture gradient : zelkova serrata group on mesic-lower parts near the streames and well drained stony slopes, carpinus tschonoskii group on mesic-middle parts, quercus acutissima group on lower parts destroyed by human activities, quercus variabilis group on xeric-middle parts, quercus serrata group on xeric-upper middle parts, quercus mongolica group on xeric-upper parts and pinus densiflora group on xeric-rock ridge lines, hillocks and lower parts interfered by human. Four forest vegetation types, zelkova forest dominated by the c. tschonoskii group on mesic-middle parts, oak forest dominated by the groups of q. acutissima, q. variabilis, q. serrata and q. mongolica on xeric sites and pine forest dominated by the p. densiflora group on dry and poor sites, were separated in mosaic chart by the two-dimensional analysis.

  • PDF

잠재적 사용자 중심 시장영역 설정과 자연환경자원의 경제적 가치 측정: 전라북도 4개 도립공원을 사례로 (Measuring Economic Values of Natural Resources using Extent of Market based on Potential User Groups: Cases of 4 Provincial Parks in Chon Buk)

  • 엄영숙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22권1호
    • /
    • pp.147-177
    • /
    • 2013
  • 자연환경자산의 자산가치 측정을 위한 연간 총편익은 가구당 지불의사의 추정과 아울러 수혜 모집단, 즉 시장영역에 의해 결정된다. 국내의 기존문헌에서는 조건부가치측정법(CVM)을 적용하되, 전국 가구 수를 일률적으로 비사용가치를 포함한 총편익 측정을 위한 목표 모집단으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전라북도 도립공원 4곳을 사례로 방문객들의 거주지 분포에 근거하여 잠재적 사용자 그룹을 시장영역으로 설정하였을 경우 연간 총편익과 자산가치 측정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전북지역 인근거주자들이 주를 이루는 모악산 방문객들의 지불의사 표본평균이 8,215원으로 가장 높았고, 전국에서 방문객들이 골고루 분포된 선운산의 경우 지불의사 표본평균이 4,693원으로 낮았다. 전국가구수를 목표모집단으로 적용했을 때 모악산의 연간 총편익과 자산가치가 860억원과 1조6천억원 정도로 가장 높은데 반하여 선운산은 각각 520억원과 1조원 정도로 낮았다. 반면에 잠재적 사용자 그룹을 산정하여 시장영역을 설정하였을 때, 선운산의 연간 총편익과 자산가치가 230억원과 4천억원 정도인데 반하여, 모악산은 100억원과 2천억원 정도로 선운산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였다. 나아가서 같은 도립공원에 대해서도 시장영역 설정방식에 따라 자산가치가 2배에서 8배까지 차이가 난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Notes on the Korean Ascomycetes (VII)

  • Cho, Duck-Hyun
    • Plant Resources
    • /
    • 제3권2호
    • /
    • pp.118-122
    • /
    • 2000
  • Many ascomycetes were collected at Mt.Unjang, Pyonsan penisula national park, Mt.Moak Chonbuk provincial park, Daea-ri hebarium and Mt.Whaam from August 1996 to October 1999. They were identified. According to the resulting, Lanzia echinophila, Discina parma, Hypomyces auranticus, Helotium versicolor, Cordyceps militaris f. albino, Isaria sinclairii are newly to Korea. They were designed Korean common names by author.

  • PDF

한국산자낭균류기 (V) (Notes on the Korean Ascomycetes(V))

  • 조덕현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369-374
    • /
    • 1997
  • 1995년 6월부터 1996년 10월까지 지리산국립공원, 변산반도국립공원, 강원도의 방태산 전라북도의 모악산도립공원, 만덕산에서 많은 자낭균류를 채집하였다. 이것들을 동정한 결과 잔 받침버섯속(Calycellina), 요버섯속(Diatrype), 쇠요버석속(Diatrypella)은 한국미기록속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그늘접시버섯(Scutellinia umbrarum), 그늘접시버섯아재비(S. pseudoumbarum), 처녀털컵버섯(Dasyscyphus virgineus), 작은잔받침버섯(Calycellina punctiformis), 열매콩꼬투리버섯(Xylaria oxyacanthae), 접시요버섯(Diatrype disciformis), 참나무 쇠요버섯(Diatrypella quercina) 그리고 사마귀쇠요버섯(D. verrucaeformis)은 한국 미기록 중으로 확인되었다. 이들 한국미기록속과 미기록종에 대하여 한국 보통명을 신청하였다.

  • PDF

한국산부후균의 기재(I) (Notes on the Korean Rotten Wood Fungi(I))

  • 조덕현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97-104
    • /
    • 1996
  • 많은 고등균류를 1995년 4월부터 10월까지 모악산 도립공원, 만덕산(전라 북도)과 변산반도 국립공원에서 채칩하여 동정하였다. 그 결과 속껍질버섯 속(Hyphoderma), 탈모껍질버섯속(Piloderma), 날원통담자버섯속(Cylidrobasidium)은 한국 미기록 속이었고, 결절벌집버섯(Polyporus tuberaster), 붉은 진흙버섯(Phellinus ferruginosus), 누에고약버섯(Corticium bomycinum), 붉은가는주름버섯(Phlebia rufa), 털속껍질버섯(Hyphoderma puberum), 삼베탈모껍질버섯(Piloderma byssinum), 날원통담자 버섯(Cylindrobasidium evolens) 그리고 솔휜구멍버섯(Peniophora pini)은 한국산 미기록 종으로 확인되었다.

  • PDF

한국산 자낭균류기 (I) (Notes on the Korean Ascomycetes (I))

  • 조덕현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91-297
    • /
    • 1996
  • 많은 자낭균류 버서슬 1995년 3월부터 1996년 9월까지 지리산국립공원, 모악산도립공원, 전주근교의 위봉사계곡과 만덕산에서 채집하였다. 이들은 Dennis(1981)와 Breitenbach & Kranzlin(1984)의 분류 검색표를 이용하여 동정하였다. 그 결과 한국 미기록종은 다형방석꼬투리버섯(Hypoxylon multiforme), 루비방석꼬투리버섯(H. rubiginosum), 껍질방석꼬투리버섯(H. udum), 광방석꼬투리버섯(H. rutilum), 벼슬알보리수버섯(Nectria gallignea), 원추알보리수버섯(N. coccinea), 담황색알보리수버섯(N. pallidula), 그리고 연기알보리수버섯(N. fumicola)이었다.

  • PDF

한국산 고등균류기(XII) (Notes on the Korean Higher Fungi(XII))

  • 조덕현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31-39
    • /
    • 1996
  • 많은 고등균류를 1995년 4월부터 10월까지 모악산 도립공원(전라북도), 방태산(강원도), 변산반도 국립공원에서 채집해여 동정하였다. 그 결과 젖꼭지졸각버섯(Laccaria ohiensis), 자주빛애주름버섯(Mycena clavularis), 삔애주름버섯(M.acicula), 가지낙엽버섯(Marasmius ramealis), 나막낙엽버섯(M.calopus), 요리맛솔방울버섯(Strobilurusesculentus), 반구 볏짚버섯(Agrocybe sphaleromorpha) 그리고 띠끈적버섯(Cortinarius fasciatus)은 한국산 미기록종으로 확인 되었다.

  • PDF

한국산 고등균류기(XIII) (Notes on the Korean Higher Fungi (XIII))

  • 조덕현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94-199
    • /
    • 1997
  • 많은 고등균류가 1995년 5월부터 10월까지 모악산도립공원과 완주군의 연석산에서 채집하였다. 그들을 동정한 결과 미기록속은 민꽃버섯속(Stereopsis)이고 미기록종은 포도벚꽃버섯(Hygrophorus arbustivus), 붉은송이(Tricholoma imbricatum), 여린애주름버섯(Mycena fragillima), 납끈적버섯(Cortinarius spilomeus), 붉은끈적버섯(C. saturninus), 전나무끈적버섯 아재비(Dermocybe semisanguinea), 자루민꽃버섯(Stereopsisburtianum), 빨강머리말뚝버섯 (Jansia borneensis)등 8종류였다. 이들 각각의 미기록속과 종에 대하여 한국 보통명을 신청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