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xed sand

검색결과 451건 처리시간 0.023초

한국의 골프 코스 그린의 설계 및 시공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Green Design and Construction of Golf Courses in Korea)

  • 이상재;허근영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181-190
    • /
    • 199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urvey green system, area, green slope, green turfgrass variety, green section, and particle size of green construction materials, and to investigate and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of Design and Construction in Korean golf course green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Korean golf course into that of the international golf course held international tournamen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greens of 129 Korean golf courses consisted of 2(two) green system and 1(one) green system. 2(two) green system was 50.8%, 1(one) green system was 40.7%, and 1+2 green system was 8.5% of them. 2. In 48 Korean golf courses, the green area of 2(two) green system was mostly 400~$600\m^2$(56.5%) and the green area of 1(one) green system was mostly 600~$800\m^2$(47.8%). In 48 Korean golf courses, 1.5~3% green slope appeared the highest frequency(50.0%) and the next was 3~5%(29.4%). 3. Penncross variety was the highest frequency(71.2%). The next was mixed variety (Penncross+Crenshaw, Penn A-1, Pennlinks, or Penneagle/SR 1020+SR 1019) and the frequency of mixed variety was 7.6%. 4. In 48 Korean golf courses, 70~80cm total thickness of green appeared the highest frequency(36.1%), 10~20cm thickness of green mixed sandy layer appeared the highest frequency(43.6%), and 10~20cm thickness of green coarse sandy layer appeared the highest frequency(55.6%). 0~10cm thickness of green gravel layer appeared the highest frequency(67.6%), 20~30cm thickness of green drain layer appeared the highest frequency(52.8%), and 20~30cm width of green drain layer appeared the highest frequency(44.4%). Below 1mm sand diameter used in green mixed sandy layer appeared the highest frequency(46.2%), below 2mm or over 2mm sand diameter used in green coarse sandy layer appeared the highest frequency(31.4%). 20~40mm coarse gravel diameter used in green gravel layer appeared the highest frequency(43.2%) and 0~20mm fine gravel diameter used in green gravel layer appeared the highest frequency(65.8%). 20~40mm gravel diameter used in green drain layer appeared the highest frequency(64.1%).

  • PDF

점토를 매개체로 한 탄산칼슘 석출 및 흙의 고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oil Cementation and Calcite Precipitation with Clay as a Medium)

  • 박성식;서은희;채경헌;장상규;김진호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1권12호
    • /
    • pp.17-27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식물추출액을 이용하여 요소를 분해한 다음 이로부터 분해된 탄산이온과 수용액 상태의 칼슘이온이 음전하를 띄는 점토를 매개체로 하여 탄산칼슘을 석출시켜 친환경적으로 흙을 고결시키면서 내구성도 향상시키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식물추출액과 요소가 혼합된 제1용액과 칼슘원(염화칼슘)이 용해된 용액에 소량의 점토가 혼합된 제2용액을 깨끗한 낙동강모래에 섞어서 비빈 다음 다짐방법으로 소형 공시체를 제작하였다. 요소와 염화칼슘의 몰농도를 세 종류(1, 5, 7몰)로 달리하였으며, 각 공시체에 점토를 전체중량의 0%, 1%, 3%의 세가지 비율로 혼합하여 공시체를 제작한 다음 실내에서 7일 동안 양생하였다. 양생이 완료된 공시체에 대해 일축압축시험, 내구성시험, SEM, EDX 및 XRD 분석, 그리고 열중량 분석을 실시하여 사질토의 고결 정도와 구조를 분석하였다. 요소와 염화칼슘의 몰농도가 높을수록 점토 함유량이 증가할수록 일축압축강도와 내구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SEM, EDX 및 XRD 분석을 통하여 점토광물 주변에 탄산칼슘(calcite)이 석출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열중량 분석으로부터 시료 내에 중량대비 탄산칼슘이 1-2% 정도 석출되었다.

친환경 혼합토의 현장적용성 평가 (Field Appliciability Evaluation of Eco-friendly Mixed Soil)

  • 박경식;오세욱;배우석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5권2호
    • /
    • pp.17-25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토양안정재(SS)를 이용한 흙 포장재의 공학적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일축압축시험과 현장적용성시험을 SS의 혼합비, 원지반 종류, 양생기간에 따라 수행하고 강도 및 변형특성을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SS 혼합토의 경우 양생 초기의 강도발현이 빠르고 28일 강도가 최종강도의 97% 이상을 확보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세립질의 준설점토(DC) 및 유기질토(OS) 보다 조립질의 준설모래(DS)와 화강풍화토(WGS)가 일축압축강도에 대한 변형계수의 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연건조와 강제건조의 조건으로 비교시험을 수행한 결과 54~67%의 강도 저하를 확인하였으며, 동결융해시험 결과에서는 55~63%의 강도 저하가 발생하였다. 그리고 반복재하시험 결과, 준설모래의 경우 최대 10,000회의 재하에서 초기강도의 35%까지 강도 저하가 발생하여 반복재하에 대한 저항능력의 확보를 위해서는 적당량의 세립분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토제 거푸집 무쇠솥 주조와 불미기술 연구 (A Study of Iron Pot Casting and Bellows Technology)

  • 윤용현;도정만;정영상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3권2호
    • /
    • pp.4-23
    • /
    • 2020
  • 이 연구는 우리나라 철 주조기술의 다양성과 기술 체계를 규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으며, 이를 위해 고문헌 조사 및 유물 분석, 제작 도구와 제작 기술에 대한 현지 조사 그리고 주조와 거푸집에 사용된 재료의 과학 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불미기술은 송풍구인 풀무를 이용하여 주철을 녹인 뒤 그 쇳물을 토제 거푸집에 부어 주물을 완성하는 철 주조기술로 현재 유일하게 제주도에서만 전승되고 있는데, 모래 거푸집을 사용하는 육지와 비교해 토제 거푸집을 사용하고 있다는 것이 큰 차이점이라 할 수 있다. 무쇠솥 주조기술에는 석비레, 모래, 점토 등을 섞어 만든 모래 거푸집을 이용한 주물사주조법(鑄物砂鑄造法)과 점토에 볏짚과 갈대 등을 섞어 만든 토제 거푸집을 이용한 도토주조법(陶土鑄造法)이 사용되고 있다. 주물사주조법에 의한 무쇠솥 주조는 거푸집 만들기, 속심 제작, 쇳물 작업, 거푸집에 쇳물 붓기, 완성품 다듬기 등 5단계의 작업공정을 거치며, 도토주조법에 의한 무쇠솥 주조는 거푸집 만들기, 거푸집 굽기, 질먹 입히기, 쇳물 작업, 쇳물 붓기, 완성품 다듬기 등 크게 6단계의 작업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두 주조법은 거푸집의 재료, 거푸집을 불에 굽고 질먹을 입히는 제작 공정에서 차이를 보인다. 이번에 연구한 불미기술은 토제 거푸집 무쇠솥 주조로 진흙 채취 및 반죽, 거푸집 제작, 초벌 굽기, 화적모살 및 질먹 바르기, 건조 및 비얄질, 거푸집 합장, 둑(용광로)제작, 재벌 굽기, 제련, 쇳물 붓기, 주물 다듬기 등 단계별 주조 공정에 사용된 재료 및 도구 분석과 제작 기술에 담겨진 과학 기술 원리를 규명하여 우리 고유 철 주조기술의 기술 체계를 밝혀 보았다. 그리고 무쇠솥 도토주조를 위해 이용한 재료와 완성품을 과학 분석한 결과, 거푸집은 주성분이 SiO2, Al2O3, Fe2O3으로 이루어진 진흙과 모래이고, 이형재는 SiO2, Al2O3, Fe2O3, K2O가 함유된 흑연이며, 완성된 무쇠솥의 미세 조직은 시멘타이트(Fe3C)와 펄라이트(페라이트와 시멘타이트의 층상 구조)로 이루어진 백주철 조직임을 확인하였다.

한국 서남해안 두우리 조간대에서 표층 퇴적물 및 퇴적구조의 특성과 계절변화 (Depositional Characteristics and Seasonal Change of Surface Sediment and Sedimentary Strucutre on the Doowoovi Tidal Flat, Southwestern Coast of Korea)

  • 백영숙;전승수
    • 한국석유지질학회지
    • /
    • 제10권1_2호
    • /
    • pp.10-17
    • /
    • 2004
  • 한국 서남해안에 위치한 두우리 조간대는 사주와 보호섬이 존재하지 않고 외해로 열려있는 전형적인 개방형 조간대이다. 이러한 개방형 조간대에서는 바람에 의한 파랑이 퇴적작용에 중요한 요소의 하나이므로, 계절에 따른 파랑에너지의 차이가 조간대 표층퇴적물의 분포와 퇴적구조의 특성에 직접적으로 반영된다. 두우리 조간대는 상부의 조수해빈 (tidal beach), 중부의 전형적인 조간대 (intertidal flat)와 최하부의 니질대 (lowermost mudflat)로 구분된다. 이러한 구분은 표층퇴적물의 구성뿐만 아니라 조간대의 경사도에 의한 구분과도 일치한다. 조간대 내에서의 퇴적물은 1차 퇴적구조와 사서질 퇴적물의 함량에 따라 다시 사질 조간대, 혼합 조간대와 니질조간대로 나누어진다. 두우리 조간대의 표층퇴적상은 계절에 따라서 퇴적물의 함량과 퇴적구조에 변화를 보이며, 퇴적상의 변화양상은 계절풍의 방향과 세기, 폭풍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북서계절풍이 강한 겨울철과 봄철에는 사질 조간대의 퇴적상이 우세하며, 약한 남동풍이 우세한 여름철에는 니질 조간대의 퇴적상이 우세하게 분포한다. 가을철에는 혼합 조간대가 우세하게 나타난다. 표층퇴적물은 여름에는 전 조간대가 약 20 cm 두께의 니질 퇴적물로 뒤덮이고 가을이 지나 겨울로 가면서 니질 퇴적상에서 사질 퇴적상으로 바뀐다. 이러한 표층퇴적상의 변화는 바람도 세어지고 풍향도 바뀌어 조간대를 공격하는 파랑의 에너지가 강해지면서 여름철에 퇴적되었던 니질 퇴적물을 침식시키기 때문이다. 캔코아 주상시료에서 퇴적구조는 여름철에는 조간대 상부 ($0{\~}l.3 {\cal}km$)에서는 니질 퇴적물의 평행엽층리와 상승연흔 사엽층리가 하부 $(1.7{\~}2.3 {\cal}km)$에서는 괴상의 니질 퇴적층이, 겨울철에는 전체적으로 평행엽층리와 연흔사층리가 우세하게 나타나며, 부분적으로 둔덕사층리 (HCS)가 나타난다.

  • PDF

시설하우스 농업배수 처리를 위한 인공습지에서 여재종류, 조합방법 및 부하량에 따른 오염물질 정화효율 평가 (Evaluation of Removal Efficiency of Pollutants in Constructed Wetlands for Treating Greenhouse Wastewater Under Different Filter Media, Configuration Methods and Agricultural Water Loading)

  • 이동진;박종환;김성헌;윤찬웅;조주식;이성태;허종수;서동철
    • 생태와환경
    • /
    • 제47권1호
    • /
    • pp.13-23
    • /
    • 2014
  • 본 연구는 시설하우스에서 비점오염원으로 인해 배출되는 오염된 농업배수를 인공습지에서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인공습지에서 여재종류, 조합방법 및 부하량에 따른 오염물질 정화효율을 평가하였다. 인공습지의 조합방법은 수직-수평흐름조, 수평-수직흐름조, 수평-수직-수평흐름조 및 수직-수평-수평흐름조로 구분하여 설계 및 시공하였으며, 여재는 왕사, 쇄석, 방해석 및 혼합여재로 구분하여 각 조에 충진하였다. 또한 농업배수 부하량을 150, 300, $600L\;m^{-2}day^{-1}$으로 달리하여 오염물질의 처리효율을 조사하였다. 조합방법별 수처리효율은 HF-VF-HF 조합방법이 다른 조합방법에 비해 높은 처리효율을 보였으며, 최적여재는 COD 처리효율은 왕사가 가장 높았고, T-N은 쇄석, T-P는 방해석이 가장 높았다. 하지만 모든 처리효율과 경제성 부분을 고려하였을 때 최적여재는 혼합여재가 가장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농업배수의 부하량에 따른 처리효율 결과 COD는 농업배수 부하량 $600L\;m^{-2}day^{-1}$까지 안정적인 처리효율을 보였으나, T-N 및 T-P는 $150L\;m^{-2}day^{-1}{\fallingdotseq}300L\;m^{-2}day^{-1}$ > $600L\;m^{-2}day^{-1}$의 순으로 농업배수의 부하량이 증가함에 따라 약간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따라서 시설하우스 농업배수 처리를 위한 인공습지 농업배수처리장의 최적조건은 HF-VH-HF 조합형 인공습지에 왕사, 쇄석 및 방해석이 혼합된 혼합여 재로 충진하고 부하량 $300L\;m^{-2}day^{-1}$ 이하의 농업배수를 주입하는 것이 최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자연정화공법을 이용한 소형 축산폐수처리장치의 최적여재 선정 (Selection of Optimum Filter Media in Small-Scale Livestock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by Natural Purification Method)

  • 김아름;김홍출;서동철;박종환;김성헌;이성태;정태욱;최정호;김현욱;조주식;허종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285-292
    • /
    • 2011
  • 소규모 축산농가로부터 발생되는 축산폐수를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인공습지를 개발하기 위하여 인공습지에서 가장 중요한 인자 중 하나인 최적 여재의 선정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최적여재를 선정하기 위하여 여재를 왕사, 쇄석, 제올라이트 및 방해석으로 달리하여 충진한 후 각 여재별 축산폐수 처리효율 조사한 결과 COD 처리효율은 왕사가 다른 여재에 비하여 높았고, SS 처리효율은 모든 여재에서 94-95%로 큰 차이 없었다. 또한 T-N 처리효율은 제올라이트가 다른 여재에 비해 높았고, T-P 처리효율은 방해석이 다른여재에 비해 높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COD, SS, T-N 및 T-P 모두를 안정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최적여재는 왕사였다. 소형 축산폐수처리장치에서 질소와 인 처리효율을 극대화 하기 위해 호기성조 (왕사:쇄석:방해석=3:2:1)와 혐기성조 (왕사:쇄석:제올라이트=3:2:1)에 혼합여재를 주입한 결과 최적 여재인 왕사에 비해 질소 및 인처리효율이 각각 15% 및 7% 향상되었다.

한반도 고래불 해안사구에 자생하는 혼합 염생식물군락 근권세균의 분포 및 다양성 고찰 : 해안사구 보전을 위한 접근 (Distribution and diversity of rhizosphere bacteria of mixed halophytes vegetation native to the Goraebul sand dune, Korea : Approaches to coastal dune conservation)

  • 박종명;홍지원;이기은;김종국;유영현
    •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18
    • /
    • 2024
  • Coastal dunes must be conserved. Their native halophytes support coastal geography while their symbiotic microorganisms help vegetation thrive. The Goraebul coast has the largest, well-conserved dune system on the East Sea of the Korean Peninsula due to a climax mixed halophyte (C. soldanella, C. kobomugi, and E. mollis) vegetation support. This study identified rhizobacteria and their diversity in mixed halophyte communities unique to Goraebul. Five phyla, 12 genera, and 21 species were identified based on 16S rDNA sequences from 65 isolates. The phylum Bacillota, class Bacillota, order Bacillales, and family Bacillaceae were identified, with Bacillus as the dominant genus (46.15%). The richness and Shannon's diversity were higher at the species than at the genus level due to the dominance of Bacillus; however, various Bacillus species (7) were identified. Therefore, the climax mixed vegetation adapted to the Goraebul coast may exert natural selection pressure in favor of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Bacillus. However, despite this advantage, the Shannon equitability (0.86), Simpson (0.08), and Shannon diversity (2.79) indexes indicate a stable rhizosphere cluster and the climax mixed vegetation is affected by symbiotic relationships between healthy rhizosphere microbiota.

2001년 11월 오염시기와 2002년 봄 황사시기 제주도 고산에서의 잔류성 유기오염물질 농도 변화 (Concentration Variations of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in Gosan, Jeju during the Polluted Period in November 2001 and the Yellow Sand Period in Spring 2002)

  • 김영성;김진영;김연제;문길주;문광주;한진석;김상우;윤순창;권성안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469-490
    • /
    • 2003
  • Atmospheric concentrations of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POPs) were measured at Gosan, Jeju in November 2001 and spring 2002, each time for two weeks. Primary target pollutants were organochlorine pesticides, coplanar polychlorinated biphenyls (co- PCBs), and dioxin/furans listed in the Stockholm Convention adopted in May 2001.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 were also measur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overall characteristics of the POPs distribution as well as PM$_{2.5}$, a potent carrier of POPs. In the latter part of the measurement period of November 2001, almost every pollutant of combustion origin including dioxin/furans went high probably due to influence of emissions in the nearby area. The characteristics of atmospheric environment at Gosan in this period were rather close to urban areas far from those of a background area. A severe dust storm swept for three days at the end of the measurement period of spring 2002. However, changes in pollutant concentrations were relatively small except PM$_{10}$. Nevertheless, increases in particulate PAHs and OCDD (octachlorinated dibenzo-p-dioxins), mostly present in fine particles, were observed. Trends in organochlorine pesticide variations were mixed although possible volatilization of DDT residues from soil was inferred from the measurements of spring 2002.2.2.

Properties of recycled green building materials applied in lightweight aggregate concrete

  • Wang, Her-Yung;Hsiao, Darn-Horng;Wang, Shi-Yang
    • Computers and Concrete
    • /
    • 제10권2호
    • /
    • pp.95-104
    • /
    • 2012
  • This study uses recycled green building materials based on a Taiwan-made recycled mineral admixture (including fly ash, slag, glass sand and rubber powder) as replacements for fine aggregates in concrete and tests the properties of the resulting mixtures. Fine aggregate contents of 5% and 10% were replaced by waste LCD glass sand and waste tire rubber powder, respectively. According to ACI concrete-mixture design, the above materials were mixed into lightweight aggregate concrete at a constant water-to-binder ratio (W/B = 0.4). Hardening (mechanical), non-destructive and durability tests were then performed at curing ages of 7, 28, 56 and 91 days and the engineering properties were studied. The results of these experiments showed that, although they vary with the type of recycling green building material added, the slumps of these admixtures meet design requirements. Lightweight aggregate yields better hardened properties than normal-weight concrete, indicating that green building materials can be successfully applied in lightweight aggregate concrete, enabling an increase in the use of green building materials, the improved utilization of waste resources,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In addition to representing an important part of a "sustainable cycle of development", green building materials represent a beneficial reutilization of waste resour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