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xed anhydride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28초

HDPE/EPDM/Boron Carbide/Triphenyl Phosphate 블렌드의 상용화제 첨가에 따른 난연성 및 기계적 물성 연구 (A Study on Flammability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HDPE/EPDM/Boron Carbide/Triphenyl Phosphate Blends with Compatibilizer)

  • 신범식;정승태;전준표;김현빈;오승환;강필현
    • 폴리머
    • /
    • 제36권5호
    • /
    • pp.549-554
    • /
    • 2012
  • 난연제 triphenyl phosphate는 HDPE(high-density polyethylene)/EPDM(ethylene-propylene diene monomer)/boron carbide 내에서 miscibility가 좋지 못하여 고분자의 기계적 물성을 크게 저하시킨다. HDPE/EPDM/boron carbide/triphenyl phosphate 블렌드의 분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상용화제로 PE-g-MAH(polyethylene-graft-maleic anhydride)를 사용하여 블렌딩하였다. Triphenyl phosphate 함량이 증가할수록 인장강도를 크게 저하시킴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상용화제 첨가로 인하여 기계적 물성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Triphenyl phosphate의 분산성의 향상은 SEM 분석을 통해서 확인하였다. HDPE/EPDM/boron carbide/triphenyl phosphate의 내열성과 난연성을 측정하기 위해서 TGA 분석과 LOI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산성이 향상됨에 따라서 triphenyl phosphate 첨가제의 기본적인 특성인 내열성과 난연성이 향상되었으며, 그 결과로 자기 소화성인 21% 이상의 한계산소지수(LOI)를 가지는 HDPE/EPDM/boron carbide/triphenyl phosphate 블렌드를 얻을 수 있었다.

MTA와 4-META/MMA & TBB레진 혼합 재료의 치근단 미세누출에 관한 연구 (APICAL MICROLEAKAGE OF MTA WITH 4-META/MMA & TBB RESIN AS A ROOT-END FILLING MATERIAL)

  • 김진철;김미리;고현정;양원경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4권4호
    • /
    • pp.371-376
    • /
    • 2009
  • 이 연구에서는 Mineral Trioxide Aggregate (MTA)와 4-methacryloxyethyl trimellitate anhydride (4-META) / methyl methacrylate (MMA) & tri-n-butylborane (TBB) 레진을 혼합하여 치근단 역충전 재료로 사용하였을 때의 미세누출을 MTA, 포틀랜드 시멘트와 비교하였다. 발치된 사람 치아의 근관형성 및 충전 후 치근단 절제와 역충전 와동을 형성하였다. MTA, Portland cement, MTA와 4-META/MMA & TBB레진을 혼합한 각각의 재료로 치근단을 역충전한 후 methylene blue dye에 72시간 동안 침적하여 염료가 침투한 길이를 10배 현미경 하에서 측정하였다. MTA와 4-META/MMA & TBB 레진 혼합 충전 군에서는 포틀랜드 시멘트나 MTA 충전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적은 미세 누출을 보였으며, 포틀랜드 시멘트와 MTA 충전군의 미세 누출 정도는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었다. 이 실험의 결과로 보아 MTA와 4-META/MMA & TBB레진 혼합 재료는 치근단 역충전시 포틀랜드 시멘트나 MTA에 비해 낮은 초기 미세누출을 보여, 치근단 봉쇄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사료된다.

가스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를 이용한 식품 중 클로로프로판올 화합물 분석 (A sensitive analytical method for determination of 3-monochloropropane-1,2-diol and 1,3-dichloropropan-2-ol in various foods by gas chromatography with mass spectrometer)

  • 김은주;박성국;최동미
    • 분석과학
    • /
    • 제21권6호
    • /
    • pp.543-552
    • /
    • 2008
  • 식품 중 클로로프로판올 화합물인 3-MCPD (3-monochloropropane-1,2-diol, $C_3H_7ClO_2$, MW. 110) 및 1,3-DCP (1,3-dichloropropan-2-ol, $C_3H_6Cl_2O$, MW. 128)를 분석하는 효과적인 방법을 확립하였다. 시료를 5M NaCl용액으로 균질화 한 후 알루미늄옥사이드와 섞어 유리컬럼에 충진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시료 중 클로로프로판올 화합물을 용출하였다. 용출된 클로로프로판올 화합물은 감압증류장치와 질소가스로 농축한 뒤 HFBA (Heptafluorobutyric anhydride, $C_8F_{14}O_3$, MW. 410)로 유도체화하여 GC/MS로 분석하였다. 3-MCPD-HFBA 유도체화 화합물(MW. 502)은 m/z 253, 275, 289, 291, 453를 선택이온으로 하고 1,3-DCP-HFBA 유도체화 화합물(MW. 325)은 110, 275, 277를 선택이온으로 설정하여 정성 정량 하였다. 확립된 분석법의 정량한계는 3-MCPD 및 1,3-DCP 모두 0.01 mg/kg이었고, 0.01~1.00 mg/kg의 농도범위에서 직선성($R^2{\geq}0.999$)이 좋았으며 평균회수율은 약 97%내외였다. 확립된 분석법을 이용하여 다양한 식품 중 클로로프로판올 화합물을 조사한 결과, 0.0~0.3 mg/kg (n=56/157) 수준으로 3-MCPD로 검출되었다.

Effects of Molecular Weights on the Physico-pharmaceutical Properties of Poly-L-glutamic acid-cytarabine Conjugates

  • Kim, Chong-Kook;Kwon, Kyoung-Ae;Jeong, Eun-Ju;Lee, Myung-Gull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12권2호
    • /
    • pp.88-93
    • /
    • 1989
  • In order to obtain some informations about the effect of molecular weight on the release rate of drug from drug carrier, two types of poly-L-glutamic acid (PLGA)-cytarabine (ara-C) conjugates, PLGA-ara-C:I and PLGA-ara-C:II, were synthesized using two types of PLGA having different average molecular weight, 43,000 and 77,800, respectively. The PLGA-ara-C conjugates were synthesized by mixed anhydride method and found to be covalently linked. Both types of conjugates charged negatively at biological pH. The pH-dependent release rate of ara-C was observed in both cases, and the release rate was accelerated in basic, acidic conditions (the k values were 0.015 $day^{-1}$ at pH 7.0, 0.024 $day^{-1}$ at pH 5.0, and 0.059 $day^{-1}$ at pH 9.0 in the case of PLGA-ara-C:I) and in the presence of pretense. The time required for the release of 16.5% of ara-C from PLGA-ara-C:I were 8 hr and 144 hr in the presence and absence of protease, respectively. Although both types of conjugates showed similar drug substitution ratio, they showed different release rates. Between the two types of conjugates, PLGA-ara-C:II showed the faster release rate (0.030 vs 0.042 $day^{-1}$ in pH 7.4 phosphate buffer solution at $37^{\circ}C$) and the smaller activation energy for the release of drug (12.5 vs 7.7 Kcal/mol) than PLGA-ara-C:I. The characteristic effect of molecular weight on the release rates of PLGA-ara-C conjugates suggests that the drug release rate might be effectively controlled over a prolonged period of time by the combined use of the different types of PLGA-ara-C conjugates having different molecular weights.

  • PDF

공정변수(工程變數)와 MAPP 결합제(結合劑)가 난기류(亂氣流) 혼합방식(混合方式)에 의하여 제조(製造)된 목섬유(木纖維)-폴리프로필렌섬유(纖維) 복합재(複合材)의 성질(性質)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Process Variables and MAPP Coupling Agent on Properties of Wood Fiber-Polypropylene Fiber Composite by Turbulent Air Mixing)

  • 윤형운;박종영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6권1호
    • /
    • pp.76-86
    • /
    • 1998
  • Effects of processing variables and MAPP (maleic anhydride polypropylene) coupling agent on the properties of composite were discussed for turbulent-air-mixed woodfiber-polypropylenefiber composites. In this research, density, composition ratio, and mat moisture content were established as processing variables, and emulsified MAPP prepared by direct pressure method was incorporated as the coupling agent. And the turbulent air mixer, which was improved in function through alteration of our previous fiber mixer, was used to mix wood fibers and polypropylene fibers. At the addition level of 1% MAPP, based on oven-dried wood fiber weight, woodfiber-polypropylenefiber composites generally showed enhanced the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And composites with low to medium densities of 0.6 to 0.8g/$cm^3$ greatly increased in these property values than with high densities of 1.0g/$cm^3$ or more by adding 1 % MAPP. Thus, MAPP addition was thought to be an effective way of enhancing properties for nonwoven web composites. At the mat moisture contents of 5 to 20%, however, the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were not enhanced by adding 1% MAPP. In the composites containing 15% polypropylene fibers, the lowest thickness swelling and water absorption values were observed at the 1% MAPP level. The addition of more than 1% MAPP had the adverse effect on the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composites.

  • PDF

타액 중 페닐알킬아민유도체류의 일제분석법 확립 (Development of Simultaneous Quantification Method of Phenylalkylamines in Oral Fluid)

  • 최혜영;백승경;장문희;최화경;정희선
    • 약학회지
    • /
    • 제55권2호
    • /
    • pp.145-153
    • /
    • 2011
  • A simultaneous detection and quantification method for determining the Phenylalkylamine derivatives, such as methamphetamine (MA), amphetamine (AM), 3,4-methylenedioxymethamphetamine (MDMA), 3,4-methylenedioxyamphetamine (MDA), ketamine (KT), norketamine (NKT), phentermine (PT), fenfluramine (FFA) and phenmetrazine (PM), in oral fluid was developed and validated according to international guidelines. The validated method was applied to actual oral fluid samples collected from drug abuse suspects. The recovery of phenylalkylamines from oral fluid collection devices was also assessed. Oral fluid specimens from 20 drug abuse suspects submitted by the police were collected using Salivette$^{TM}$, Quantisal$^{TM}$ or direct expectoration. The samples were screened using a biochip array analyzer. For confirmation, the samples were analyzed by GC-MS in selected-ion monitoring (SIM) mode after extraction using automated SPE with a mixed-mode cation exchange cartridge and derivatization with trifluoroacetic anhydride (TFAA). The results from the immunoassay were consistent with those from GC-MS. All the oral fluid samples gave positive results for MA, AM, PT and/or PM. The detection of phenylalkylamines in oral fluid can provide a better indication of recent use than urine or hair. Therefore, the oral fluid specimen was useful for demonstrating phenylalkylamines abuse in the driving under the influence of drug (DUID) as an alternative specimen for urine.

몬모릴로나이트로 강화된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나노복합재료의 난연특성 및 기계적 특성 (Flame Retardancy and Mechanical Property of Polypropylene/ Nylon Nanocomposite Reinforced with Montmorillonite)

  • 이종훈;박호식;안인구;이윤희;김연수;이영관;남재도
    • 폴리머
    • /
    • 제27권6호
    • /
    • pp.576-582
    • /
    • 2003
  • 열가소성 수지인 폴리프로필렌과 나일론 블렌드를 무기나노입자인 몬모릴로나이트와 상용화제 말레산 무수물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하여 복합화한 나노복합재료에 할로젠 계열의 난연제 데카브로모다이페닐옥사이드를 첨가하였을 때의 분산성과 난연특성 및 기계적 특성의 향상에 대해 실험하였다. 고분자 수지의 난연특성과 기계적 특성은 난연제의 첨가뿐만 아니라 나노복합화를 통해서도 향상될 수 있으며, 고분자 수지 내의 나노입자의 분산정도에 따라 매우 큰 차이가 생긴다. 고분자 수지와 무기나노입자 사이의 분산성과 그에 따른 난연특성 및 기계적 특성을 난연제와 무기나노입자의 함량에 .따라 정량적으로 측정하였다 폴리프로필렌/나일론 블렌드를 몬모릴로나이트로 복합화할 때 2회 이상 컴파운딩하면 완전히 분산되는 것을 XRD 결과로 확인하였다. 폴리프로필렌/나일론 블렌드를 복합화하면 나일론의 첨가로 인한 난연성의 저하를 극복할 수 있었으며, 무기나노입자가 완전히 분산되어 있을 때에는 추가적인 난연특성의 향상을 얻었다. 그리고 폴리프로필렌은 나일론의 첨가로 인하여 인장강도와 충격강도가 약간 증가하였으며, 무기나노입자와의 복합화를 통해서 추가적인 기계적 물성의 증가를 관찰하였다. 이로부터 폴리프로필렌의 기계적 물성의 향상을 위해 첨가한 나일론은 난연특성의 저하를 초래하지만 무기나노입자와의 복합화를 통해 난연특성의 향상과 추가적인 기계적 물성의 향상을 동시에 얻을 수 있었다.

GC-MS를 이용한 사람 뇨시료 중 비만치료제 분석 및 비만치료제 남용 현황의 법과학적 고찰 (Development of a Simultaneous Detection and Quantification Method of Anorectics in Human Urine Using GC-MS and its Application to Legal Cases)

  • 최혜영;이재신;장문희;양원경;김은미;최화경
    • 약학회지
    • /
    • 제57권6호
    • /
    • pp.420-425
    • /
    • 2013
  • Phentermine (PT) and phenmetrazine (PM) have been widely used as anti-obesity drugs. These drugs should be used with caution due to its close relation to amphetamine in its structure and toxicity. PT and PM, amphetamine-type anorectics, have recently been considered as alternatives for methamphetamine abuse in Korea. In addition, the misuse and abuse of PT and PM obtained by illegal sources such as the internet become a serious social problem. In the present study, a simultaneous detection and quantification method for determining PT and PM in human urine was developed and validated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guidelines. The urine samples were screened using a fluorescence polarization immunooassay and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 mass spectrometry (GC-MS) after extraction using automatic solid phase extraction (SPE) with a mixed-mode cation exchange cartridge and derivatization with pentafluoropropionic anhydride (PFPA). The validation results for selectivity, linearity, limits of detection (LOD) and quantification (LOQ), intra- and inter-assay precision and accuracy and recovery were satisfactory. The validated method was successfully applied to authentic urine samples collected from 38 drug abuse suspects. PT and/or PM were identified with or without methamphetamine in urine samples. Abuse of PT and PM have increased continuously in Korea, therefore, closer supervision of the inappropriate use of anoretics is necessary.

상자성 복합체의 분자량에 따른 T1 및 T2 자기이완시간에 관한 연구 (The Molecular Weight Dependance of Paramagnetic Gd-chelates on T1 and T2 Relaxation Times)

  • 김인성;이영주;김주현;;김숙경;김태정;강덕식;장용민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17권2호
    • /
    • pp.61-66
    • /
    • 2006
  • 상자성 복합체의 분자량에 따른 물분자의 T1 및 T2 자기이완 특성을 조사해 보고자 하였다. DMF (15 ml)와 DTPA-bis-anhydride (0.71 g, 2 mmol) 용액에 4-aminomethylcyclohexane carboxyilc acid를 넣어 리간드를 합성한 후 $Gd_2O_3$ (0.18g, 0.5 mmol)을 넣어 최종적인 Gd 착화물을 합성하였다. 상자성 복합체의 자기이완율을 측정하기 위해 상자성 복합체를 3차 증류수를 사용하여 1 mM로 희석시켰으며 1.5T(64 MHz)에서 자기이완 시간을 측정하였다. T1 자기이완시간을 측정하기 위하여 반전 회복(Inversion-recovery) 펄스열을 사용하였다. 반전 회복 펄스열의 경우 반전시간(Inversion time, T1)은 50 msec에서부터 최대 1,750 msec까지 총 35개의 반전시간에서 영상을 획득하였다. T2 자기이완시간은 CPMG(Carr-Purcell-Meiboon-Gill) 펄스열을 사용하였다. 자기이완 시간을 구하기 위해 각각의 샘플에 관심영역(region of Interest)을 설정하여 영상의 신호강도를 측정한 후 비선형 곡선 맞춤을 실행하여 T1 및 T2값을 얻어낸 후, 이를 통해서 R1 및 R2를 계산하였다. 분자량이 587 달톤인 Omniscan의 1.5T에서의 T1, T2값이($205.1{\pm}2.57$) msec, ($209.4{\pm}4.28$) msec 임에 비해 새로이 합성된 상자성 Gd 화합물의 경우 모두 T1, T2값이 T1의 경우 분자량에 따라 $(96.35{\pm}2.04)-(79.38{\pm}1.55)$ msec, T2의 경우 $(91.02{\pm}2.08)-(76.66{\pm}1.84)$ msec로 감소한 결과를 얻었다. 새로이 합성된 Gd 화합물 간에도 분자량에 따라 R1 및 R2값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상자성 복합체의 분자량이 증가함에 따라 T1 및 T2 자기이완 시간이 단축되고 결과적으로 자기이완율 R1, R2가 분자량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 PDF

DTPA-bis(4-carboxycyclohexyl)amide 상자성 복합체의 자기이완특성에 관한 연구 (The Magnetic Relaxation Properties of DTPA-bis(4-carboxycyclohexyl) amide Paramagnetic Gd-chelates)

  • 김인성;이영주;이재준;김주현;김유경;;김숙경;김태정;강덕식;장용민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10권1호
    • /
    • pp.20-25
    • /
    • 2006
  • 목적 : 새로 개발한 상자성 복합체의 자기이완 특성을 조사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DMF(15 mL)와 DTPA-bis-anhydride(0.71g, 2 mmol)의 서스펜션 용액에 4-aminomethylcyclohexane carboxylic acid(0.63g, 4 mmol)를 넣어 리간드를 합성한 후 Gd2O3(0.18g, 0.5 mmol)을 넣어 최종적인 Gd 착화물을 합성하였다. 상자성 복합체의 자기이완율을 측정하기 위해 상자성 복합체를 3차 증류수를 사용하여 1 mM로 희석시켰으며 1.5T(64 MHz)에서 자기이완 시간을 측정하였다. T1 자기이완시간을 측정하기 위하여 반전 회복(inversion-recovery) 펄스열을 사용하였으며 T2 자기이완시간은 CPMG(Carr-Purcell-Meiboon-Gill) 펄스열을 사용하였다. 자기이완 시간 및 자기이완율을 영상으로 표현한 T1 자기이완 지도, R1 지도, T2 자기이완 지도 및 R2 지도를 구현 하였다. 결과 : 현재 시판중인 상자성 조영제인 Omniscan(Gadodiamide)의 $R1=4.9mM^{-1}sec^{-1},\;R2=4.8mM^{-1}sec^{-1}$에 비해 R1의 경우 SUK090(Gd-C32H74N5O24)는 $12.46mM^{-1}sec^{-1}$, SUK091(Gd-C34H78N5O24)는 $12.77mM^{-1}sec^{-1}$의 값을 나타낸 반면 SUK092(Gd-C30H56N5O17)는 $2.09mM^{-1}sec^{-1}$로 자기이완율이 감소하였다. R2의 경우 SUK090(Gd-C32H74N5O24)는 $8.76mM^{-1}sec^{-1}$, SUK091(Gd-C34H78N5O24)는 $7.60mM^{-1}sec^{-1}$의 값을 나타낸 반면 SUK092(Gd-C30H56N5O17)는 $1.82mM^{-1}sec^{-1}$로 감소 하였다. 결론 : 본 연구에서 합성한 상자성 복합체중 SUK090(Gd-C32H74N5O24)와 SUK091(Gd-C34H78N5O24)는 기존의 상자성 조영제에 비해 T1, T2 자기이완율이 크고 결과적으로 T1/T2 조영증강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된다.

  • PDF